• 제목/요약/키워드: Growth Hormone (GH)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4초

뱀장어 Vitellogenin과 Estrogen 수용체 유전자 발현에 대한 성장호르몬 및 웅성호르몬의 영향 (Effect of Growth Hormone and Androgen on Vitellogenin and Estrogen Receptor Gene Expression in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권혁추;최성희;김은희;권준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0권2호
    • /
    • pp.97-103
    • /
    • 2006
  • Vg은 난생 척추동물의 성숙한 암컷 혈청에 존재하는 성 특이 단백질로서 $E_2$에 의해 합성이 유도된다. 본 연구는 뱀장어 Vg과 ER 유전자 발현에 대한 androgen과 성장호르몬(GH)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미성숙 뱀장어($200{\sim}250g$)에 $E_2(5{\sim}5,000\;{\mu}g/kg\;bw)$, 뱀장어 recombinant GH(eGH, $1{\sim}10\;{\mu}g/kg$) 또는 methyltestosterone(MT, $1{\sim}5\;mg/kg$)를 각각 단독 또는 eGH 또는 MT와 혼합하여 주사한 후 10일 후에 샘플을 채취하였다. 간 ER과 Vg mRNA는 RT-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_2$에 의해 발현된 Vg 유전자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E_2(500\;{\mu}g/kg)+MT(5mg/kg)$ 또는 $E_2(500\;{\mu}g/kg)+eGH(10\;{\mu}g/kg)$의 처리는 각각 $E_2$ 단독처리에 비해 높은 Vg mRNA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eGH($10\;{\mu}g/kg$) 또는 MT(5mg/kg) 단독 처리는 Vg mRNA 발현을 유도하지 못했다. 한편 ER mRNA의 발현은 호르몬 처리에 관계없이 관찰되었다. Vg mRNA와 마찬가지로 ER mRNA의 발현도 $E_2(5{\sim}500\;{\mu}g/kg\;bw)$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E_2(500\;{\mu}g/kg)$와 MT(5mg/kg) 또는 eGH($10\;{\mu}g/kg$)의 혼합투여 또한 $E_2$에 의해 유도된 ER mRNA 발현을 증가시키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Vg 유전자 발현에 있어서 $E_2$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요소이지만 $E_2$ 자체만으로는 충분한 Vg 유전자를 발현하지 못하고 GH 또는 웅성호르몬 등의 도움이 필요하다. 또한 MT 또는 GH는 ER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다른 경로를 통해 Vg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특발성 저신장 아동의 야간 성장호르몬 분비와 수면양상 (Overnight Growth Hormone Secretions and Sleep Patterns in Idiopathic Short Stature Children)

  • 서상영;이기형;은백린;손창성;독고영창;신철;김백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4호
    • /
    • pp.363-369
    • /
    • 2003
  • 목 적 : 본 연구는 저신장 소아 중 성장호르몬 약물자극검사에서는 정상반응을 나타낸 특발성 저신장 소아들을 대상으로 야간의 수면 양상과 성장호르몬 분비가 정상 신장의 아동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성장호르몬 약물자극검사에서 정상반응을 보인 신장이 3 백분위수 이하인 특발성 저신장 아동 12명과 정상 신장 아동 9명을 대상으로 30분 간격으로 야간수면 동안의 자발적 성장호르몬 분비를 측정하고 동시에 polysomnography로 수면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1) 야간 수면 중 분비된 성장호르몬의 평균농도는 저신장 아동군이 정상 아동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2.8{\pm}0.2 ng/mL$ vs $4.7{\pm}0.6 ng/mL$), 특히 수면개시 후 서파 수면과 동반되는 성장호르몬 최대 분비치가 저신장 아동군이 낮았다. 2) 수면 중 성장호르몬 농도가 5 ng/mL 이상인 성장호르몬 분비 최대치의 횟수는 각각 $4.1{\pm}0.5$회, $5.8{\pm}0.6$회로 저신장군이 유의하게 적었다. 3) 전체 수면 시간에 대한 서파 수면 시간의 백분율도 저신장 아동군이 정상 아동군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다($16.4{\pm}1.3%$ vs $20.8{\pm}1.2%$). 결 론 : 야간 수면 동안의 자발적인 성장호르몬 분비 검사가 약물자극검사에서 정상반응을 보이는 특발성 저신장 아동의 추가적인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들 저신장 아동에서 보이는 야간 성장호르몬 분비 감소는 수면구조의 차이와 일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즙내 사람 성장 호르몬을 분비하는 형질전환생쥐의 형질 유전성에 관한 연구 (Stable Expression of hGH Transgene in the Milk of Transgenic Mice)

  • 이철상;김선정;한용만;유대열;이경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5-182
    • /
    • 1994
  • Rat $\beta$-casein 유전자와 사람 성장호르몬 (hGH) 유전자의 융합유전자를 생쥐 수정란의 웅성전핵에 미세주입하여 형질전환생쥐 (transgenic mouse) 6계통을 확립하였다. 이들로부터 사람성장호르몬(hGH)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조사한 결과, 6계통중 4계통의 생쥐 유즙에서 hGH가 2~900 ng/ml 수준으로 발현되고 있었으며, 혈중에서는 hGH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형질전환생쥐에서 사람성장호르몬이 우선특이적으로 발현, 분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사람성장호르몬의 발현이 확인된 두 계통 (ChGH2-2, CChGH2)의 형질전환생쥐를 대상으로 하여 세대별, 산차별로 유즙내 사람성장호르몬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3세대에 걸쳐, 또한 제1세대에서의 세차례 반복된 비유기에도 유즙내 사람성장호르몬은 지속적으로 분비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형질전환생쥐에서의 외래유전자의 발현성은 반복되는 비유기와 여러 세대에 걸쳐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Role of Glucocorticoids in Fasting-induced Changes in Hypothalamic and Pituitary Components of the Growth Hormone (GH)-axis

  • Kim, Eun-Hee;Seo, Sang-Hee;Chung, Hyun-Ju;Park, Seung-J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2권5호
    • /
    • pp.217-223
    • /
    • 2008
  • To directly test if elevated glucocorticoids are required for fasting-induced regulation of growth hormone (GH)-releasing hormone (GHRH), GHRH receptors (GHRH-R) and ghrelin receptors (GHS-R) expression, male rats were bilaterally adrenalectomized or sham operated. After 7 days, animals were fed ad libitum or fasted for 48 h. Bilateral adrenalectomy increased hypothalamic GHRH to 146% and decreased neuropeptide Y (NPY) mRNA to 54% of SHAM controls. Pituitary GHRH-R and GHS-R mRNA levels were decreased by adrenalectomy to 30% and 80% of shamoperated controls. In shamoperated rats, fasting suppressed hypothalamic GHRH (49%) and stimulated NPY (166%) mRNA levels, while fasting increased pituitary GHRH-R (391%) and GHS-R (218%) mRNA levels. However, in adrenalectomized rats, fasting failed to alter pituitary GHRH-R mRNA levels, while the fasting-induced suppression of GHRH and elevation of NPY and GHS-R mRNA levels remained intact. In fasted adrenalectomized rats, corticosterone replacement increased GHRH-R mRNA levels and intensified the fasting-induced decrease in GHRH, but did not alter NPY or GHS-R response. These data suggest that elevated glucocorticoids mediate the effects of fasting on hypothalamic GHRH and pituitary GHRH-R expression, while glucocorticoids are likely not the major determinant in fasting-induced increases in hypothalamic NPY and pituitary GHS-R expression.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to Consider Genetic Evaluat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hort Stature

  • Seokjin Kang
    •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Genomics
    • /
    • 제5권2호
    • /
    • pp.18-23
    • /
    • 2023
  • Conventional evaluation method for identifying the organic cause of short stature has a low detection rate. If an infant who is small for gestational age manifests postnatal growth deterioration, triangular face, relative macrocephaly, and protruding forehead, a genetic testing of IGF2, H19, GRB10, MEST, CDKN1, CUL7, OBSL1, and CCDC9 should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Silver-Russell syndrome and 3-M syndrome. If a short patient with prenatal growth failure also exhibits postnatal growth failure, microcephaly, low IGF-1 levels, sensorineural deafness, or impaired intellectual development, genetic testing of IGF1 and IGFALS should be conducted. Furthermore, genetic testing of GH1, GHRHR, HESX1, SOX3, PROP1, POU1F1, and LHX3 should be considered if patients with isolated growth hormone deficiency have short stature below -3 standard deviation score, barely detectable serum growth hormone concentration, and other deficiencies of anterior pituitary hormone. In short patients with height SDS <-3 and high growth hormone levels, genetic testing should be considered to identify GHR mutations. Lastly, when severe short patients (height z score <-3) exhibit high levels of prolactin and recurrent pulmonary infection, genetic testing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STAT5B mutations.

소아 성장호르몬결핍증 치료에 사용되는 성장호르몬 서방형 주사제의 경제성 평가 (Economic evaluation of a weekly administration of a sustained-release injection of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growth hormone deficiency)

  • 강혜영;김덕희;양세원;김윤남;김미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1호
    • /
    • pp.1249-1259
    • /
    • 2009
  • 목 적:소아 성장호르몬결핍증의 저신장 치료에 사용되는 성장호르몬 생물학적 제제인 서방형 주사제의 비용-효과성을 사회적 관점에서 기존 매일 주사제와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성장 호르몬 치료를 받는 환아를 대상으로 시각화 척도 방법에 의해 건강 관련 효용을 측정하였다. 2008년 7월, 이 연구에 참여한 2개 병원에서 저성장증 치료를 받고 있는 149명의 환아 보호자에게 매일 주사제에 대한 효용과 주 1회 주사제를 사용할 경우 기대되는 효용을 인터넷을 통해 설문조사 하였다. 성장호르몬 주사요법 중 매일 주사제와 주 1회 주사제 투여에 소요되는 직․간접 비용은 차이가 없으므로, 두 제형의 의약품비만을 비교하였다. 결 과:매일 주사제에서 주 1회 주사제로 전환할 경우 예상되는 효용값은 0.584에서 0.784로 증가하며, 연평균 추가비용은 4,060,811원이 발생한다. 점증적 비용-효용비는 20,304,555원/QALY (quality-adjusted life year gained)로 계산되었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점증적 비용-효용비는 최소 15,751,198원/QALY에서 최대 25,489,929원/QALY이다. 결 론:Base case 및 시나리오 분석결과에서 제시하는 점증적 비용-효용비는 우리 나라 1인당 GDP의 0.85-1.37배 범위 내에 있으므로 매우 안정적으로 비용-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매일 주사제에서 주1회 주사제로의 투약방법 변경은 비용-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주 1회 주사제가 추가 비용을 부담하더라도 경제성이 우수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천연형 인성장호르몬 DA-3002의 변이원성 연구 (Mutagenicity Study of DA-3002, an Authentic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rhGH))

  • 강경구;김옥진;김동환;백남기;안병옥;김원배;양중익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4호
    • /
    • pp.294-300
    • /
    • 1995
  • DA-3002, an authentic 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rhGH), was examined for mutagenicity in the reverse mutation test on bacteria, in the chromosomal aberration test on cultured mammalian cells and in the micronucleous test on mice. The reverse mutation test was performed by a plate incorporation method with or without a metabolic activation system(S9 Mix)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TA100, TA1535, TA98 and TA1537. DA-3002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revertant colonies in any of the test strains under any conditions at dose levels ranging from 0.0125 to 0.4 IU/plate, compared with the vehicle control. In the chromosomal aberration test using cultured Chinese hamster lung(CHL) cells, DA-3002 did not increase the number of aberrant cell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9 mix at concentrations of 0.0125 IU/mι to 0.4 IU/mι, compared with the vehicle control. In the micronucleus test, male ICR mice were given DA-3002 intraperitoneally at a dose level of 20, 40 and 80 lU/kg. The incidence of bone marrow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in the DA-3002 treated mice did not differ from that of the vehicle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A-3002 doesn't have mutagenic potential under the present test conditions.

  • PDF

Outcome of Endoscopic Transsphenoidal Surgery in Combination with Somatostatin Analogues in Patients with Growth Hormone Producing Pituitary Adenoma

  • Zhou, Tao;Wang, Fuyu;Meng, Xianghui;Ba, Jianmin;Wei, Shaobo;Xu, Bain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5호
    • /
    • pp.405-409
    • /
    • 2014
  • Objective :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endoscopic surgery in combination with long-acting somatostatin analogues (SSAs) in treating patients with growth hormone (GH)-secreting pituitary tumor. Methods : We performed retrospective analysis of 133 patients with GH producing pituitary adenoma who underwent pure endoscopic transsphenoidal surgery in our center from January 2007 to July 2012.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range of 3-48 months. The radiological remission, biochemical remission and complication were evaluated. Results : A total of 110 (82.7%) patients achieved radiological complete resection, 11 (8.2%) subtotal resection, and 12 (9.0%) partial resection. Eighty-eight (66.2%) patients showed nadir GH level less than 1 ng/mL after oral glucose administration. No mortality or severe disability was observed during follow up. Preoperative long-acting SSA successfully improved left ventricle ejection fraction (LVEF) and blood glucose in three patients who subsequently underwent success operation. Long-acting SSA (20 mg every 30 days) achieved biochemical remission in 19 out 23 (82.6%) patients who showed persistent high GH level after surgery. Conclusion : Endoscopic transsphenoidal surgery can biochemically cure the majority of GH producing pituitary adenoma. Post-operative use of SSA can improve biochemical remission.

Growth Hormone 1 T1663A Polymorphism, Recreational Physical Activity and BMI, and Breast Cancer Risk in Chinese Women

  • Gao, Chang-Ming;Ding, Jian-Hua;Wu, Jian-Shong;Cao, Hai-Xia;Li, Su-Ping;Liu, Yan-Ting;Tang, Jin-Hai;Tajima, Kazu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421-5425
    • /
    • 2015
  •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hormone 1 (GH1) T1663A polymorphism, recreational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BMI) with reference to breast cancer, we conducted a case-control study with 669 cases of breast cancer and 682 population-based controls in Jiangsu Province, China.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elicit detailed information. All subjects completed an in-person interview. GH1 genotypes were identified using PCR-RFLP methods. Odds ratios (ORs) were estimated with an unconditional logistic model. The distribution of GH1 genotyp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s and cases ($x^2$=2.576, P=0.276). Results of stratified analysis by the participation status of the recreational physical activity showed that the persons with GH1 A allele were at a decreased risk of breast cancer (adjusted-OR=0.66; 95% CI, 0.50-0.87) only among inactive individuals. Stratified analysis by BMI showed that the genotype A/A was associated with a decreased risk of breast cancer only among individuals of the BMI <25 (adjusted-OR=0.80; 95% CI, 0.66-0.98).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creational physical activity and BMI may modify any association between the GH1 T1663A polymorphism and breast cancer r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