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wing pigs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23초

논 생태 증진을 위해 설치된 둠벙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onstructed Small-scale Ponds for Ecological Improvement in Paddy Fields)

  • 김재옥;신현상;유지현;이승헌;장규상;김범철
    • 생태와환경
    • /
    • 제44권3호
    • /
    • pp.253-263
    • /
    • 2011
  • 본 연구는 인공 조성된 둠벙의 물리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둠벙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지 둠벙의 면적은 4.6~14.1 $m^2$였으며 모양은 원형과 사각형 모양이 대부분이었다. 조사 둠벙 중 가장 자리에 석축이나 목축을 두르지 않은 둠벙들은 주변 둑이 매몰되어 수심이 얕아져 둠벙의 기능을 잃을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둠벙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주변에 석축이나 목축 등을 둘러 매몰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연구대상지의 수질환경은 COD, TN, TP의 경우 농업용수 기준을 초과한 수질등급을 보였으며 특히 TN의 농도는 평균 8.03 mg $L-1$로 농업용수 수질기준을 약 8.0배를 초과하는 농도분포를 보였다. 조사지역 둠벙의 질소농도가 높은 원인으로는 홍성지역의 높은 축산 밀도, 농경지 주변 산재해 있는 축사 시설과 축산폐수를 이용한 저장 액비 사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농촌지역에서 둠벙과 같은 작은 저류지가 하천으로 유출되는 영양물질을 저감시켜 주는 소규모 침전지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대상지 둠벙의 평균적인 모래함량, 유기물 함량, 유효인산 함량은 각각 53.4${\pm}$16.6%, 21.8${\pm}$9.74 g $kg^{-1}$, 12.8${\pm}$7.59 mg $kg^{-1}$로 나타났다. 둠벙의 토양 특성 조사결과 모래함량과 유효인산 농도는 둠벙 안정화를 위한 식생정착에 적합한 농도분포였으나 신규로 조성된 5곳의 둠벙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높지 않아 식생 정착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 대상지 둠벙의 어류상은 붕어, 미꾸리, 미꾸라지, 드렁허리 4종이 출현하였으며 군집구조 분석결과 군집 안정도와 다양도 지수가 불량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단순한 어류상 구조는 둠벙이 주변 하천과 고립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논과 정수지역, 농수로 등 연중 수위와 환경변화가 큰 환경에 적응한 어종들만이 서식할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에서 도출된 요인점수(Facter score)를 바탕으로 조사한 둠벙을 구분한 결과, 요인점수 1에서 양의 값을 보이는 둠벙은 다른 둠벙에 비해 둠벙의 크기가 큰 것들로 구성되었으며 (Group I), 요인점수 2에서 양의 값을 보인 Group III은 다른 둠벙에 비해 유기물 농도가 높은 둠벙들로(S5, S6) 구성되었다(Fig. 4).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농촌지역 둠벙의 복원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둠벙과 주변하천과의 연계성, 둠벙의 크기를 비롯한 구조적 특성을 잘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거론하지 못한 둠벙 용수의 유 출입량, 둠벙 수체내 먹이 연쇄 구조 등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성장중인 돼지에 있어서 혈청중 Testosterone 및 대사물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s in Serum Testosterone Levels and Metabolites in Growing Pig)

  • 백무용;박창식;정영채;이기만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4-72
    • /
    • 1981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on changing phases of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estosterone and metabolites in the various grwoing stages of male pigs. The eight males were used to obtain serial blood samples at a, pp.oximately 20kg body weight intervals from birth to 130kg body weight. The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the jugular veins and serum was stored at -20$^{\circ}C$ until assay. Testosterone concentrations in the serum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1. Serum testosterone concentrations were elevated at birth and were reached a maximum level between 50 and 70kg body weight, which was when sexual maturity was reached. 2. Calcium values did not vary a, pp.eciably with body weight, and ranged from 9.6${\pm}$0.6 to 11.9${\pm}$0.8mg/100$m\ell$. Potassium and sodium concentrations ranged from 38.5${\pm}$2.9 and 233.9${\pm}$2.1mg/100$m\ell$ to 64.2${\pm}$6.5 and 269.1${\pm}$9.5mg/100$m\ell$, respectively. Magnesium values dro, pp.d at birth and then rose to peak at 15kg of body weight. Iron concentrations was 0.12${\pm}$0.02mg/100$m\ell$ at birth, rose to 0.20${\pm}$0.04mg/100$m\ell$ at 15kg of body weight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o 0.29${\pm}$0.04mg/100$m\ell$ at 30kg of body weight. Serum zinc concentrations rose from a low of 56${\pm}$3.3mg/100$m\ell$ at birth to a high of 83.3${\pm}$3.4mcg/100$m\ell$ at 15kg of body weight. Co, pp.r values rose from a low of 25${\pm}$2.5mcg/100$m\ell$ at birth to a high of 183${\pm}$4.3mcg/100$m\ell$ at 15kg of body weight. 3. Serum cholesterol concenrtration did not vary a, pp.eciably with body weight, and ranged from 90.5${\pm}$6.0mg/100$m\ell$ to 95.0${\pm}$6.3mg/100$m\ell$. Glucose concentrations ranged from 80.5${\pm}$1.2mg/100$m\ell$ to 108.7${\pm}$8.4mg/100$m\ell$. Serum total protein rose from alow of 2.7${\pm}$0.8mg/100$m\ell$ at birth to a rapidly high of 4.3${\pm}$0.1mg/100$m\ell$ at 15kg of body weight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to 7.3${\pm}$0.4mg/100$m\ell$ at 130kg of body weight. Serum albumin values ranged from 0.5${\pm}$0.1$m\ell$ to 3.0${\pm}$0.3mg/100$m\ell$. 4. The total concentrations of essential/nonessential amino acid were 944.7mg/100$m\ell$ and 934.4mg/100$m\ell$ at birth, respectively. The values of essential/nonessential amino acid gradually rose from a low level at birth to a high level at 130kg of body weight. The total concentrations of essential/non-essential amino acid ratios remained from birth to 130kg of body weight.

  • PDF

성장중(成長中)인 수퇘지에 있어서 혈청중(血淸中) LH, FSH, Prolactin, Testosterone, GOT 및 GPT의 농도변화(濃度變化) (Changes in Serum LH, FSH, Prolactin, Testosterone, GOT and GPT Concentrations in the Growing Male Pig)

  • 박창식;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3-107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성장중(成長中)인 수퇘지에 있어서 혈청중(血淸中) LH, FSH, prolactin, testosterone, GOT 및 GPT의 농도(濃度)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출생시(出生時)부터 130kg까지 체중단계별(體重段階別)로 실시(實施)하였는 바, 공시돈(供時豚)으로는 6두(頭)의 삼원교잡종(三元交雜種) 수퇘지를 사용(使用)하였다. 그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혈청(血淸) LH의 농도(濃度)는 출생시(出生時)부터 130kg까지 2.89~4.25mIU/ml의 범위(範圍)를 나타내었다. FSH의 농도(濃度)는 1.25mIU/ml이하(以下)로 분석한계수준(分析限界水準) 이하(以下)였다. 2. 혈청(血淸) prolactin의 농도(濃度)는 출생시(出生時) 8.05ng/ml로 제일 높은 수준(水準)을 나타내었으며, 15kg부터 50kg까지는 3.07~4.25ng/ml의 범위(範圍)로 급격히 감소(減少)하였다. 70kg부터는 7.30ng/ml로 다시 증가(增加)했다가 110kg부터 다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였다. 3. 혈청(血淸) testosterone의 농도(濃度)는 출생시(出生時) 0.42ng/ml, 15kg부터 30kg까지 0.11~0.09ng/ml, 그리고 15ng/ml 50kg부터 1.15ng/ml로 증가(增加)하여 거의 일정(一定)한 수준(水準)을 유지(維持)하였다. 4. 혈청(血淸) GOT의 농도(濃度)는 출생시(出生時) 130.75 karmen units/ml, 15kg부터 70kg까지 58.56~65.25karmen units/ml, 그리고 90kg부터 83.60 karmen units/ml로 점차 증가(增加)하였다. 5. 혈청(血淸) GOT의 농도(濃度)는 출생시(出生時) 63.25 karmen units/ml, 15kg부터 70kg까지 27.25~30.75 karmen units/ml, 그리고 90kg부터 41.62 karmen units/ml로 점차 증가(增加)하였다.

  • PDF

사료내 녹차 생균제, 택사 생균제 및 해조류 발효물의 첨가가 모돈의 생산성 및 면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reen Tea Probiotics, Alisma canaliculatum (Alismatis rhizoma) Probiotics and Fermented Kelp Meal as Feed Additives on Growth Performance and Immunity in Pregnant Sows)

  • 김기수;김귀만;지훈;박성욱;양철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43-50
    • /
    • 2011
  • 녹차생균제, 택사생균제 및 해조류발효물이 모돈과 자돈의 생산성 및 면역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임신 모돈 32두와 공시모돈에서 생산된 자돈 319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설계는 모돈 기준으로 4처리구 8반복 반복당 1두씩 임의로 배치하였으며, 시험사료를 분만전 2개월부터 분만후 28일(이유시)까지 급여하여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무항생제 기초사료), 녹차 생균제 처리구(기초사료+녹차 생균제 0.05% 첨가), 택사 생균제 처리구(기초사료+택사 생균제 0.5% 첨가) 및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기초사료+해조류 발효물 0.5% 첨가)로 하였다. 자돈의 산자수, 생시체중, 이유두수 및 이유체중은 대조구에 비하여 첨가제 급여구가 증가를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설사지수는 첨가제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혈중 lymphocytes는 택사 생균제 및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MID는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청 IgG의 농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첨가제 처리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IgA 및 IgM의 농도는 녹차 생균제 처리구와 해조류 발효물 처리구가 택사 생균제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Cortisol의 수준은 첨가제 처리구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모돈 사료에 생균제와 발효물의 첨가 급여는 자돈의 생산성 개선효과가 있고 모돈의 면역성 향상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