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maturity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8초

들깨 수집종의 생육 및 수량관린 형질 비교 (Growth and Yield Components of Korean Perilla Collections)

  • 남상영;홍성택;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22-226
    • /
    • 2004
  • 들깨 유전자원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국적으로85점을 수집 2001년에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재배하고,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수집종 85점은 조생종이 19개로 전체의 23%, 중생 종이 57개로 67%, 만생종이 9개로 10%였는데, 조생종은 주로 중북부지역 수집종이었고, 만생종은 주로 남부평야지역에서 수집된 것들이었으며, 중생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다. 2. 천립중은 평균 2.7g이었는데, 경남 함양종이 3.9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강원 평창종은 1.7g으로 극소립종이었는데, 대부분 중$.$소립종이었다. 립중이 무거울수록 만생종인 경향이었다. 3. 종피색은 암갈색이 30%, 갈색이 55% 그리고 회갈색이 6%로 갈색계통이 전체의 91%였다. 회백색 계통이 경장이 길고, 립중이 무거웠다. 4. 경장과 절수, 분지수와 화방군수 그리고 화방군당삭수와 화방군장은 상호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었으며, 화방군당삭수와 천립중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5 .회백색 계통 1개 수집종과 3.5g이상의 대립인 경남 함양 종 등 4개 수집종을 교배모본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유채 성분육종 효율을 증진키 위한 세대단축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제4보 Winter형 유채의 유묘기 록체 저온감응이 하계고온 포장재배에 미치는 효과 (Studies on Rapid Advancement of Generations for a Breeding Efficiency Promotion of Rape Oil Improvement IV. Effect of Green Plant Vernalization on Shortening the Growing Period of Summer Cultured Rape in Field)

  • 이정일;권병선;김원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3-138
    • /
    • 1983
  • 유채에 있어서 유묘의 저온감응 처리가 하계고온포장에서의 좌지 방지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유채 세대단축 기술의 보완과 우량종자의 비격리 순수채종 방안을 검토코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 유묘의 저온록체 춘화처리후 하계고온의 일반포장조건에서 재배했을 때 추태, 개화단축 효과는 조생, 중생종에서 추태까지 34일, 개화까지 52일 소요했으며 만생종은 추태까지 44일, 개화까지는 73일을 소요했다. 2. 성숙까지의 전생육기간에서는 조생, 중생종들이 85-88일이 필요했으며 만생종에서는 108일이 소요되어 표준재배 227-240일 보다는 67%-55% 단축할 수 있었다. 3. Winter형의 B.napus에서 5월 이후의 고온재배에서는 전부 좌지하던 것이 국내품종도 록체춘화저온처리에서는 모든 공시품종이 완전 추태ㆍ개화, 성숙할 수 있었다. 4. 저온록체 처리후 하계고온재배시의 유채 주요형질들은 초장, 수장에 있어서 보통기재배보다 50% 내외로 빈약하였으며 수량형질인 분지수와 1수협수에서는 특히 적어서 보통재배시의 1/10 정도로 분지수 2-3개, 협수 4-7협에 불과했다. 5. 그러나 결실립수, 결실비율, 1,000립중 등에서는 다소 표준추파재배보다 떨어지나 큰 차이는 없었다. 6. 저온처리 하계고온 재배시의 주당종실중과 10a당 수량성에서는 1주당 8.8g으로 표준재배의 34.5g의 26%밖에 되지 않으며 10a당 수량성은 평균 53kg로 표준추파재배의 230kg에 비해 23%에 불과하였다. 7. 수량성이 10a당 불과 53kg 내외이긴하나 이같은 채종량은 육묘이식으로 100㏊ 이상의 (1,000배 증식율) 배경면적에 보급 증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매원이 없는 하계재배로 강실, 격리재배를 하지 않고도 순정한 채종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Population Biology of Korean Pomfret Pampus echinogaster (Basilewsky, 1855) (Perciformes: Stromateidae)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Yellow Sea

  • Oh, Chul-Woong;Na, Jong-Hun;Kim, Jin-Ko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1호
    • /
    • pp.83-89
    • /
    • 2009
  • Investigations were made on population biology of Pampus echinogaster (Basilewsky, 1855)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 Yellow Sea, between August 2005 and July 2006. Population struc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s. Monthly variation of gonadosomatic index (GSI) of both sexes defined spawning period extending from March through July. A similar pattern was also observed in change at maturity stages. For males and females GS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patosomatic index (HSI). Fecundity, ranging from 41,250 to 103,610 eggs, was related to body size, indicating that body size is the useful determinant of fecundity. The sexual maturity ($L_{50}$) was estimated as 14.98 cm TL for males and 19.32 cm TL for females. Parameters of growth estimated by the modified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model showed that the values of $L_{\infty}$ and K for combined data were 39.12 cm TL and 0.65 $yr^{-1}$. The growth performance index of this study (2.75)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evious study (2.45). This difference could be attributed to sampling method. The recruitment patterns indicated one normally distributed group. Percentage of the recruitment was 51.04% in the spawning season and the highest in August (19.78%).

Gametogenic Cycle and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Atrina (Servatrina) pectinata (Bivalvia: Pinnidae) in Western Korea

  • Chung, Jae Seung;Chung, Ee-Yung;Lee, Chang-Hoo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63-375
    • /
    • 2012
  • The gametogenic cycle,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per year and first sexual maturiity of the pen shell, Atrina (Servatrina) pectinata,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Compared two previous results (the spawning periods in the reproductive cycles in 1998 and 2006)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with the present results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pawning periods: the spawning period (June to September)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one month longer than those of two previous reports (June to July or June to August)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However,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studied by the qualitative and quatitative analyses occurred once per year. In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using an image analyzer system, the patterns of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 (%) of the areas occupied by follicles to the ovary area in females (or that of the areas occupied by spermatogenic stages to the testis area in males) showed a maximum in May, and then sharply droped from June to September, 2006.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spawning season of A. (S.) pectinata occurred once a year from June to September, indicating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Shell heights of sexually mature pen shells (size at 50% of group sexual maturity, $GM_{50}$) that were fitted to an exponential equation were 15.81 cm in females and 15.72 cm in males (considered to be one year old).

한국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황돔(Dentex tumifrons)의 성숙과 산란 (Maturation and Spawning of Yellowback Seabream Dentex tumifrons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 최유정;최정화;이해원;정재묵;김현지;김도균;진수연;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07-111
    • /
    • 2020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yellowback seabream Dentex tumifrons using samples collected by monthly bottom trawling in Korean coastal water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8. We analyzed monthly changes in gonadosomatic index (GSI), maturity stage, histology, fecundity, and total length at group maturity. Spawning occurred in May and October. Fecundity varied with total length as F=1.3754TL3.2664, with a range of 1,220 to 155,625 eggs per female. At group maturity, 50%, 75%, and 97.5% estimates of female total length were 18.4, 20.5, and 25.3 cm, respectively.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이 만족도 및 학습문화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집단 성숙도에 따른 비교 분석 (The Effect of CoP(Community of Practice) Influence Factors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Culture Activation in R&D Groups: Based on Comparison Analysis by Group Maturity)

  • 오성호;김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407-420
    • /
    • 2015
  • 본 연구는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이 공동체 활동 만족도와 조직 내 학습문화 활성화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고, 실행공동체의 성숙도에 따른 성숙 집단과 미성숙 집단의 비교를 통해 기업의 실행공동체 담당자들에게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실행공동체 영향요인을 개인요인, 상호작용요인, 지원요인, 환경요인으로 구성하고, 수집된 총 371개의 설문을 기반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연구 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동에 있어 개인요인, 상호작용요인, 지원요인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환경요인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행공동체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문화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개발 직군의 실행공동체 활동 강화가 조직문화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구개발 직군의 경우 성숙도에 따른 집단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성숙도 보다는 실행공동체 내 상호작용 요인을 강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Interpretation of Agronomic Traits Variation of Sesame Cultivar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Shim, Kang-Bo;Hwang, Chung-Dong;Pae, Suk-Bok;Park, Jang-Whan;Byun, Jae-Cheon;Park, Keum-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4-28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s and yield components of 18 collected sesame cultivars to get basic information on the variation for the sesame breeding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ll characters except days to flowering, days to maturity and 1,000 seed weigh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Seed weight per 10 are showed higher coefficient of variance. Capsule bearing stem length and liter weigh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ed yield per 10 are. Th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grouped the estimated sesame cultivars into four main components which accounted for 83.7% of the total variation at the eigenvalue and its contribution to total variation obtained from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Z_1$) was applicable to increase plant height, capsule bearing stem length and 1,000-seed weight. The second principal component ($Z_2$) negatively correlated with days to flowering and maturity by which it was applicable to shorten flowering and maturity date of sesame. At the scatter diagram, Yangbaek, Ansan, M1, M2, M4, M7 and M9 were classified as same group, but M10, Yanghuk, Kanghuk, M5, M6, M12 and M13 were classified as different group. This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sesame breeder to understand genetic relationship of some agronomic characters and select promising cross lin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sesame variety.

수집 검정콩의 품종군 분류 (Classification of Black Soybean Collections in Korea)

  • 김수경;김대호;손범영;강동주;한경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02-213
    • /
    • 1997
  • 본 시험은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검정콩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고 우량계통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집한 검정콩 28개 재래종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에 의한 품종군 분류와 품종군별 생산적 검정을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 검정콩의 결실일수는 58∼82일, 생육일수는 117∼148일로 변이폭이 컸으며, 결실일수와 생육일수가 길어질수록 100립중이 무거워지는 경향이었다. 2. 만숙군에서 비율이 낮았고, 생육일수는 개화일수, 결실일수, 100립중, 경장, 분지수 등과는 각각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3. 주성분분석 결과 상위 2개의 주성분만으로도 전체 변동의 76.5%를 표시할 수 있었으며, 품종간 유연도를 나타내는 single link cluster 분석으로 28개 수집재래종을 9개의 품종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4. 품종군 분류에 의해 다협, 소립, 다수성인 남해 -2, 함양-1을 나물콩용으로 선발하였다.

  • PDF

수집재래 검정콩의 종실특성 (Seed Characteristics of Black Soybean Collections in Korea)

  • 김석동;김용호;홍은희;박의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37-441
    • /
    • 1993
  • 양질의 밥밑콩 품종 육성 및 유전자원으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전국에서 수집한 검정콩 965계통을 대상으로 종실의 외형적 특성과 그 분포를 조사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검정콩 계통의 100립중 전국평균은 28.1g이었으며 도별 변이를 보면 경기도와 경북 수집 계통이 무거웠으며 전북, 전남지역이 가볍게 나타났다. 2. 성숙군별 100립중의 차이는 중, 만숙군에서는 성숙군이 늦을수록 100립중이 무거웠다. 3. 수집검정콩 종실의 입형은 대체로 타원형이었으며 길이:폭:두께 비율의 평균은 1:0.77:0.77이었다. 4. 수집검정콩의 자엽색 분포에서는 72%가 황색자엽이었으며 27%가 녹색자엽이었다.

  • PDF

북한강 지류 상천천에 서식하는 대륙종개 Barbatula nuda (Nemacheilidae)의 산란특성과 수조 내 산란행동 (Spawning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of Siberian Stone Loach, Barbatula nuda (Nemacheilidae) in Sangcheoncheon Stream, a Tributary of Bukhangang River, Korea)

  • 곽영호;김정배;송하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0-29
    • /
    • 2023
  • 대륙종개의 산란특성과 산란행동을 규명하기 위해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에 위치한 북한강의 지류 상천천에서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7회 조사하였다. 전체 조사기간 동안 대륙종개 890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성비(♂:♀)는 1 : 1.34로 수컷이 암컷보다 많았다. 상천천의 대륙종개는 수온 12~15.7℃인 3월 15일~4월 24일에 산란하였다. 최소 성적성숙개체는 전장 56.7 mm였고 만 1년생 개체였으며, 전장 80.5 mm 이상 개체부터 산란이 관찰되었고 만 2년생 개체였다. 50% 군성숙전장은 67.2 mm로 나타났다. 대륙종개의 복강에 HCG호르몬 10 IU/g으로 주사한 결과, 약 15시간 후에 산란이 유도되었으며 수컷이 암컷의 몸을 원형으로 감는 산란행동이 관찰되었다. 산란 후 암컷과 수컷은 바닥에서 휴식을 취하였고 바닥에 떨어진 수정란은 산란에 참여하지 않은 개체들에게 일부 섭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