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Consultation

검색결과 251건 처리시간 0.024초

우울 증상으로 의뢰된 입원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자문 의뢰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sultation Request Type of Inpatients Referred for Depressive Symptoms)

  • 윤나라;유승호;하지현;전홍준;박두흠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1호
    • /
    • pp.34-41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울 증상으로 정신건강의학과에 자문 의뢰된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자문 의뢰 형태, 재협진 여부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종합병원 입원환자의 우울장애의 특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8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정신건강의학과에 자문 의뢰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우울증상으로 의뢰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우울 증상으로 의뢰된 환자는 총 647명으로 전체 협진 중 13.82%에 해당하였다. 우울 증상으로 의뢰된 환자의 평균 나이는 58.6세로 전체 정신건강의학과에 협진 의뢰된 환자군의 평균 56.4세보다 높았으며, 3형 의뢰 형태(입원 이후 새롭게 발생한 정신건강의학과적 증상을 위한 협진 의뢰)가 가장 많았다. 이중 재협진 의뢰된 환자는 275명으로 전체의 42.5%였으며, 재협진군과 비재협진군을 비교해 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자문 의뢰 형태에서 두 군의 산술적 차이가 있었는데, 재협진군은 3형(보수형)-2형(병렬형)-1형(상호보완형)의 빈도순을 보였고 반면, 비 재협진군은 2형(병렬형)-3형(보수형)-1형(상호보완형)의 빈도순을 보였다. 결 론 종합병원에서 우울 증상으로 의뢰된 환자군은 전체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의뢰 환자 군에 비해 고령의 비율이 높았고, 그중 재협진군은 비재협진군에 비해 입원 이후 새롭게 증상이 발생하여 협진 의뢰된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각 과 주치의들과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은 입원환자들의 우울 증상에 주의를 기울이고, 적극적으로 치료계획을 논의함으로써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필요하면 조기 개입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화상교육 시스템을 이용한 사이버 집단 상담의 효과 분석 (Analysis Effects for Cyber Group Consultation Using Video Based System)

  • 남윤희;고대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13-22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화상 교육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이버 집단 상담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실시간 화상 사이버 집단 상담은 자기 존중감을 증진 시킬 것이다. 둘째, 화상 교육 시스템을 활용한 사이버 집단상담은 학생들의 내적 행동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이 두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대도시 D초등학교 학생 45명을 선발하고 이미 개발된 화상 교육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이버 집단 상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시간 화상사이버 집단 상담은 학생들의 자기 존중감을 증진시키고 내담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며 활발한 상호작용을 일으켜 상담자와 내담자 간에 정서적 안정감 및 친밀감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 상담의 사이버 영역을 한 단계 넓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며 본격적인 실시간 화상 교육 체제의 시행을 앞두고 다자간 화상시스템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섬망 및 우울장애로 자문 의뢰된 입원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의뢰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sultation Type of Inpatients Referred for Delirium and Depressive Disorder)

  • 이성민;유승호;하지현;전홍준;박두흠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1호
    • /
    • pp.10-18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섬망 및 우울장애로 정신건강의학과에 의뢰된 환자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자문 의뢰 형태, 재협진 여부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종합병원 입원환자에 있어 섬망 및 우울장애의 특징 및 자문 조정 정신의학의 개선 방향을 위한 자료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 법 건국대학교병원에 2005년 8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입원한 환자들 중 정신건강의학과로 자문 의뢰된 49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산화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문의뢰형태는 정신과 과거력, 입원 시 주호소, 의뢰된 증상의 특성 등에 따라 각각 상호보완형, 병렬형, 보수형, 선행 과거력형, 오진형, 단순 재의뢰형의 총 6가지로 분류되었다. 결 과 우울장애 환자의 평균 나이는 57.0세, 섬망 환자의 평균 나이는 68.6세로 섬망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성비의 경우 우울장애 환자에서 여성이 66.7%, 섬망 환자에서 남성이 60.8% 로 각각 더 높았다. 입원환자의 과별 분포는 우울장애의 경우 내과계 환자의 비율이 67.7%, 섬망의 경우 외과계 환자의 비율이 50.1%로 각각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자문 의뢰 형태에서는 우울장애의 경우 병렬형-상호보완형-보수형의 순서를 보였고, 섬망 환자의 경우 보수형-병렬형-상호보완형 순서였다. 우울장애 환자군 내에서 재협진군과 1회 협진군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재협진군에서 남성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문 의뢰 형태 분석에서 재협진군은 병렬형-보수형-상호보완형의 빈도 순을 보였으며 1회 협진군에서 병렬형-상호보완형-보수형의 순서를 보였다. 섬망 진단 환자군 내에서 재협진군과 1회 협진군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재협진군에서 외과계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문 의뢰 형태 분석에서 재협진군과 1회 협진군 모두 보수형-병렬형-상호보완형의 순서를 보였다. 결 론 정신과 자문 의뢰 형태를 분석한 결과 우울장애 환자군과 섬망 환자군에서는 연령, 성비, 자문 의뢰 형태, 재협진률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진은 환자를 입원시키는 시점부터 우울장애 및 섬망과 같이 호발하는 정신과적 공존 질환에 대해 정신건강의학과 자문을 통해 적극적으로 치료계획을 논의함으로써, 환자에게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우울장애와 섬망 등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고 조기에 개입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불면증으로 의뢰된 입원환자의 임상적 특징 및 협진 유형 분석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sychiatric Consultation for Insomnia Symptom in Hospitalized Patients)

  • 전한솔;유승호;하지현;전홍준;박두흠
    • 수면정신생리
    • /
    • 제25권2호
    • /
    • pp.68-73
    • /
    • 2018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환자들 중 불면증으로 정신건강의학과로 자문을 요청하게 되는 환자들의 인구학적 특성과 협진을 의뢰하는 형태를 알아보고, 또한 비 재협진군과 재협진군의 인구학적 특성과 협진 유형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불면증의 특징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 : 2005년 8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약 6년 6개월 간 입원한 환자들 중 정신건강의학과로 자문 의뢰된 4,9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중 불면증으로 의뢰된 236명의 환자들의 협진 결과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인구학적 특성 및 협진 유형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 대상자를 재협진군과 비 재협진군으로 구분하여 두 군의 인구학적 특성과 협진 유형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 과 : 6년 6개월 간, 병원에 입원한 전체 환자 중 정신건강의학과에 불면증으로 의뢰된 환자는 총 236명으로 전체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중 4.8%에 해당하였다. 불면증으로 의뢰된 환자의 평균 연령은 $62.0{\pm}14.3$세로 전체 정신건강의학과에 협진 의뢰된 환자 군의 평균 $56.7{\pm}18.7$세 보다 높았다. 이중 재협진 의뢰 되었던 환자는 65명으로 전체의 27.5%를 차지 하였고 이는 전체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의뢰 환자 중 평균 재협진 환자 비율(41.5%)에 비해 낮았다. 불면증으로 의뢰된 환자 군의 협진 의뢰 형태는 3형 의뢰 형태가(입원 후 생긴 정신건강의학과적 합병증 치료를 위한 협진 의뢰) 가장 많았고(51.3%) 2형 의뢰(입원 상의 문제와 정신건강의학과적 증상과의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경우)가 2번째로 많았다(36.0%). 결 론 : 대학 병원에서 불면증으로 의뢰된 환자 군은 전체 정신건강의학과 협진 의뢰 환자 군에 비해 고령, 남성의 비율이 높았고, 재협진률이 낮으며 2차적으로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 각 과 주치의들은 입원 환자들의 불면증에 발생 가능성에 유의하고, 필요시 적극적인 평가와 자문 의뢰를 시행하여야 하며, 자문 의뢰를 받은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은 초진 시 진단과 치료와 함께 재협진 시기 권고와 같은 적극적인 개입을 할 필요가 있다.

진료과별 적정 외래 진료시간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Appropriate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for Clinical Departments)

  • 이찬희;임현선;김영남;박애희;박은철;강중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4-260
    • /
    • 2014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ume appropriate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for each clinical department on the basis of measured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and satisfaction of outpatient. Methods: We surveyed the feeling and satisfactory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satisfaction, revisiting intention and recommendation to others to 1,105 patients of single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and measured their real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from October 28 to November 27 in 2013. On the basis of satisfaction, we estimated appropriate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through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in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Feeling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was 5.1 minutess, satisfactory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which was suggested by patient was 6.3 minutes, and real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was 4.2 minutes. Department which had longest real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was infection (7 minutes) and department which had longest satisfactory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was neurology (9.4 minutes). From the univariate an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al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was longer in pulmonology patient, new patient and afternoon patient, satisfactory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was longer in infection, neurology, neuropsychiatry, neurosurgery, and rehabilitation patient. Appropriate real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was suggested as 5.6 minutes which differentiated high and low satisfied patient group. However, we could not assume appropriate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for each clinical department because the number of patient who had bad satisfaction was too low. Conclusion: To improve patient's satisfaction, we hope outpatient reservation system is operated as each patient's outpatient consultation time is at least 5.6 minutes.

Validation of a Palliative Prognostic Index to Predict Life Expectancy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a Hospice Consultation Setting in Taiwan

  • Cheng, Wei-Hong;Kao, Chen-Yi;Hung, Yu-Shin;Su, Po-Jung;Hsieh, Chia-Hsun;Chen, Jen-Shi;Wang, Hung-Ming;Chou, Wen-Ch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6호
    • /
    • pp.2861-2866
    • /
    • 2012
  • Background: The aim of our study was to assess the practical utility of the palliative prognostic index (PPI) as a prognostic tool used by nurse specialists in a hospice consultation setting in Taiwan. Methods: In total, 623 terminal cancer patients under hospice consultation care from one medical center in northern Taiwan were enrolled between January 1 and June 30, 2011. PPI was assessed by a nurse specialist at first hospice consultation and patients categorized into groups by prognosis (good, intermediate, poor). Patient survival was analyzed retrospectively to determine significance of between-group differences. Results: By PPI sum score, 37.2% of patients were in the good prognosis group, 18% in the intermediate prognosis group and 44.8% in the poor prognosis group. The death rates were 56%, 81.2% and 89.6% and median survivals were 76, 18 and 7 days, respectively. The hazard ratio was 0.19 (95% confidence interval [CI] 0.10-0.24, p<0.001) for the poor versus good prognosis group and 0.54 (95% CI 0.43-0.69, p<0.001) for the poor versus intermediate prognosis group.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the poor prognosis group was 66% and 71%;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81% and 52%, respectively, to predict patient death within 21 days (area under the curve of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was 0.68). Conclusions: Assessment by PPI can accurately predict survival of terminal cancer patients receiving hospice consultation care. PPI is a simple tool and can be administered by nurse members of hospice consultation teams.

이익충돌 상황에서 공개가 자문행동에 주는 효과: 자문가역할수행집단과 사익추구집단의 비교 (Factors affecting Disclosing conflicts of Interest on consultation: comparison with Role-oriented and Self-interest Groups)

  • 김수빈 ;김지혜 ;정경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1호
    • /
    • pp.1-18
    • /
    • 2016
  • 이익충돌은 경영, 의학, 연구 등 자문이 필요한 상황에서 윤리문제를 일으키는 주요인 중 하나로 파악된다. 실제 현장에서는 공개를 해결책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공개의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보고는 일관적이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이익추구 성향에 따라 공개가 자문 행동에 주는 효과가 달라 지는지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참가자는 20대에서 40대의 성인남녀 190명(남: 65명, 여: 125명)으로, 온라인으로 실험과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실험에서 참가자는 자문가가 되어 가상의 파트너에게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때 참가자는 자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 적은 보상을 받으나 사익을 추구하면 많은 보상을 받게 되는 이익충돌 상황에 노출되었다. 총 2개의 과제 중 첫 번째 과제를 통해 자문가 역할을 최대화하는 집단과 사익추구를 최대화하는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두 번째 과제에서는 이 두 집단에게 각각 이익충돌 상황에 대해 공개 여부를 자발적으로 결정하게 한 뒤 공개여부가 후속적인 자문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자문가역할수행집단과 사익추구집단 간 공개여부의 선택비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집단 간 공개여부에 따라 자문행동에는 차이를 보였는데, 자문가역할수행집단에서는 자발적으로 공개를 선택한 집단이 비공개를 선택한 집단에 비해 파트너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 반면, 사익을 추구한 집단에서는 공개 여부가 자문행동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더불어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PDF

테오필린에 대한 약물동력학 자문서비스의 비용-편익분석 (Cost-Benefit Analysis of Clinical Pharmacokinetic Consultation Service of Theophylline)

  • 한은아;양봉민;이의경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8-179
    • /
    • 2000
  • Background : Economic evaluation of clinical pharmacokinetic consultation services for theophylline, which is being widely used recently, is considered in patients for both proper care and cost efficiency. Mathods : This is a cost-benefit analysis of clinical pharmacokinetic consultation service for theophylline. Trial groups were chosen from 2 general hospitals which was performing clinical pharmacokinetic consultation- services in 1998. Control group was chosen from another one general hospital. The analysis includes 25 patients (sample patients) for trial group and 17 patients for control group. Results : On the basis of incremental analysis, it is estimated that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annual costs of the clinical, pharmacokinetic services of theophylline for the patients in the trial group was about \65 million, whereas total annual benefits from those services was estimated to be about \551 million. The net benefits incurred to the sample patients, thus calculated, was about \485 million per year. In the analysis, we assumed that indirect benefits accruing to those services were non-existent. If that amount was included, the estimated net benefits would be much greater than the calculated one. Conclusion : We found that clinical pharmacokinetic consultation services for theophylline could produce more marginal benefits than marginal costs by those services from the social point of view. More controlled prospective trial in the future would be helpful for affirm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 PDF

외래 초진환자의 만족진료시간과 관련 추가 비용 지불 의사 (Analysis of New Patient's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s for Securing Satisfactory Consultation Time)

  • 이찬희;임현선;김영남;윤수진;박양숙;김선애;박은철;강중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9-46
    • /
    • 2017
  • Background: We evaluated new patient's satisfactory consultation time (SCT) and their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s (WPAC) for their SCT. Methods: We surveyed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SCT, WPAC for their SCT, and payable amount to 612 new patients of single general hospital and measured their real consultation time (RCT). To compare WPAC and payable amount, we divided RCT into 4 groups (${\leq}3$ minutes, 3-5 minutes, 5-10 minutes, and > 10 minutes), and SCT into 3 groups (${\leq}5$ minutes, 5-10 minutes, and > 10 minutes). On the basis of WPAC, we estimated new patient's SCT. Results: RCT was 6.2 minutes, SCT was 8.9 minutes, and medical service satisfaction score was 4.3 (out of 5). The number of patients having WPAC (payable group) was 381 (62.3%) and the amount was 5,853 Korean won. Their RCT and SCT were longer than non-payable group (6.4 minutes vs. 5.7 minutes, 9.3 minutes vs. 8.2 minutes). From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PAC of RCT 5-10 minutes was higher than that RCT ${\leq}3$ minutes (odds ratio= 1.78). Payable amount was highest in RCT > 10 minutes (6,950 Korea won) and SCT > 10 minutes (7,458 Korean won). Intuitively we suggest 10 minutes as SCT, based on payable group's SCT (9.3 minutes) and cut-off time differentiating payable group with non-payable group (10 minutes). Conclusion: We found that new patient had WPAC for their SCT and the longer the SCT, the greater the amount. From this, we hope that current simplified new patient consultation fee calculating system should be modified combining the consultation time factor.

Effects of a Face-to-face Self-management Program on Knowledge, Self-care Practice and Kidney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before the Renal Replacement Therapy

  • Choi, Eun Sung;Lee, Jia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70-107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ace-to-face self-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on knowledge, self-care practice and kidney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CKD) before kidney replacement therapy.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61 patients with CKD visiting an outpatient department of nephrology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n=31) took the pre-test, then after 3 weeks, face-to-face education and individualized consultation (1st intervention), after a week of self-practice, the 1st post-test, followed by re-enforcement education and consultation (2nd intervention), and 4 weeks later, the 2nd post-test. The control group (n=30) took the pre-test and post-tests at 4 and 8 weeks. Results: Scores for knowledge of CKD and self-care practice over time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Kidney function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Health care providers can identify various and individualized needs, and provide effective education and consultation through face to face self-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hronic irreversible illnesses. Nurses can coordinate for these program by designing and providing systematic and effectiv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