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water recharge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4초

인공함양방식에 따른 인공함양 효율성 평가 (Evaluation for efficiency of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by artificial recharge system)

  • 차장환;이재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0-280
    • /
    • 2020
  • 지구 온난화 현상 및 이상기후로 지구환경 변화는 물환경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지표수에 의존도가 높은 국내의 수자원 공급시스템은 지구환경 변화에 의한 강우 분포의 시간적, 공간적 불균질성에 대한 취약성이 높으며, 이에 기후변화에 따른 상대적 변동성이 적은 지하수자원의 활용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하수 인공함양 기술은 강우, 지하수 및 하수 처리수 등의 잉여 수자원을 관정, 수로, 인공함양 분지 및 습지, 지하댐 등의 인공시설물을 활용하여 지하 대수층에 주입시킨 후 양질의 수자원을 확보하는 기술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활용하여 함양지역의 유역형상 및 지층경사, 대수층 두께, 체류시간, 수리상수 등 수리지질 인자를 고려한 인공함양 방식별 인공함양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인공함양 방식은 수직관정 및 수로(Ditch)를 적용하였다.

  • PDF

균열암반대수층의 적정채수량 산정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Optimal Yield from Fissured Aquifers)

  • 함세영;임정웅;배두종;최위찬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29
    • /
    • 1998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암반지하수 개발이 늘어나고 있으나 과잉 양수에 의한 암반지하수 고갈 및 수질오염이 우려된다. 따라서, 암반지하수 보존을 위해서는 양수정의 적정채수량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양수정의 적정채수량 결정을 위해서는 먼저 그 지역의 수리지질 특성에 맞은 지하수 모델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리상수를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적합한 모델을 이용하여 암반대수층의 수리상수를 결정하고, 자연적인 함양량의 범위내에서 암반대수층의 적정채수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 적정채수량 결정방법을 부산시 금련산에서 수행한 5개 굴착공의 양수시험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 PDF

제주도 수리지질 특성이 빗물 숨골 유입에 미치는 영향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influence of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on rainwater inflow into Sumgol, Jeju Island, South Korea)

  • 고창성;고은희;김민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9권4호
    • /
    • pp.21-31
    • /
    • 2024
  • Sumgol in Jeju Islan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groundwater recharge due to its permeabl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However,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rainwater inflows into Sumgols has not ye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inflow into three Sumgols located in the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Jeju Island and assessed hydrogeologic factors influencing these inflows. During two rainfall events, the studied locations in Sumgol exhibite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inflows, despite experiencing similar rainfall events. Additionally, the delay time for rainwater to reach the Sumgol locations after the rainfall was influenced more by rainfall intensity than by cumulative amount of rainfall. In Sumgols located in non-volcanic ash soil with low hydraulic conductivity, such as those in agricultural areas, rainwater inflows were observed even with small rainfall and low rainfall intensity. This study suggests that rainfall intensity, soil characteristics, permeability of lava flows, and land use are key factors influencing rainwater inflow into Sumgols, revealing that soil characteristics and the permeability of lava flows have a greater impact on surface runoff than land use.

홍성 북동부 농촌 지역 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오염과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Nitrate Contamination and Hydrogeochemistry of Groundwater in an Agricultural Area of Northeastern Hongseong)

  • 기민규;고동찬;윤희성;김현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3호
    • /
    • pp.33-51
    • /
    • 2013
  •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nitrate contamination and hydrogeochemic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for springs and surficial and bedrock groundwaters in northeastern part of Hongseong. Two fiel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at dry and wet seasons in 2011 for 120 sites including measurement of field parameters with chemical analyses of major dissolved constituents. Nitrate concentrations were at background levels in springs while 45% of bedrock groundwater and 49% of surficial groundwater exceeded the drinking water standard of nitrate (10 mg/L as $NO_3$-N). The difference in nitrate concentrations between surficial and bedrock groundwater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umulative frequency distribution of nitrate concentrations revealed two inflection points of 2 and 16 mg/L as $NO_3$-N. Correlation analysis of hydrogeochemical parameters showed that nitrate had higher correlations with Sr, Mg, Cl, Na, and Ca, in surficial groundwater in both dry and wet season. In contrast, nitrate had much weaker correlations with other hydrogeochemical parameters in bedrock groundwater compared to surficial groundwater and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only in wet season. Temporally, nitrate and chloride concentrations decreased and dissolved oxygen (DO) increased from dry season to wet season, which indicates that increased recharge during the wet season affected groundwater quality. Aerobic conditions were predominant for both surficial and bedrock groundwater indicating low natural attenuation potential of nitrate in the aquifers of the study area.

잠재오염원을 이용한 포항지역의 광역적 지하수 오염 위험성 평가 (Assessment of Regional Groundwater Pollution Hazard using Potential Pollutant of Pohang Area)

  • 이사로;김용성;김덕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국 EPA에서 개발된 DRASTIC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하수 오염 취약성을 평가 후, 잠재오염원 자료를 이용하여 광역적인 지하수 오염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포항지역에 대해 지하수면의 깊이, 충진량, 대수층, 토양층, 지형경사, 수리전도도, 선구조, 잠재오염원 등 수리지질학적 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잠재오염원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GIS 기반으로 DRASTIC 시스템에 적용하여 광역적 지하수 오염 취약성을 평가하였으며,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결과와 잠재오염원의 분포를 중첩 분석하여 지하수 오염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지하수 오염 위험성은 대수층의 지하수 오염에 대한 취약성과 잠재오염원의 분포 정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유형에 따라 적절한 지하수 수질관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그 결과는 행정구역별로 도출하여 향후 관리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한 지하수 오염 위험성 평가 기법은 비교적 손쉽게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실제 지하수 수질관리 계획 수립 시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부산 남동지역 연안 대수층내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과 유출 (Submarine Discharg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quifer off Busan, Korea)

  • 양한섭;황동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7-177
    • /
    • 2007
  • We measured the salinity, pH, and concentrations of $^{222}Rn$ and nutrients in groundwater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quifer off Busan from March to September 2005 to evaluate its submarine discharg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Salinity in coastal groundwater increased sharply at 20 m depth and exceeded 25 ppt below 40 m during the study period, indicating that a strong transition zone between fresh groundwater and seawater developed between 20 and 40 m depths. Fresh groundwater in the upper layer of this transition zone was characterized by high pH, $^{222}R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and low dissolved inorganic silicate (DSi) relative to seawater in the lower layer. In addition, the vertical profiles of the $^{222}Rn$, DIN, and DIP concentrations imply that a strong advective groundwater flow occurs along the interface of fresh groundwater and seawater near 20 m depth. The geochemical constituents in coastal groundwater also showed strong seasonal variation,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s in summer (June 2005) due to the changes of groundwater recharge and sea level. This implies that the input of terrestrial chemical species into the coastal ocean through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could change seasonally. To ascertain the seasonal variation of SGD and SGD-driven chemical species fluxes, and associated ecological responses in the coastal ocean, more extensive studies are necessary using various SGD tracers or seepage meters in the future.

만경-동진강 유역 지하수의 화학적 특성에 대한 농업용수 측면의 예비적 평가 (A Preliminary Assessment of Groundwater Chemistry for Agricultural Water Supply in the Mangyeong-Dongjin Watershed)

  • 최한나;권홍일;윤윤열;김용철;고동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6권1호
    • /
    • pp.65-75
    • /
    • 2021
  • We investigated hydrochemical and stable isotop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a large agricultural plain, the Honam plain, to evaluate the adequacy of agricultural water supply. For preliminary assessment for the area, we collected 23 groundwater samples from domestic wells and conducted hydrochemical and water stable isotope analysis. Groundwater in the study area is mainly Ca-HCO3 type resulting from water-rock interactions. Stable oxygen and hydrogen isotopic compositions indicated that recharge water is derived from precipitation while some sampling sites had evaporation signatures. Irrigation water quality using sodium absorption ratio and salinity hazard showed most of the groundwater samples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irrigation. The groundwater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study area was affected by both seawater intrusion and agricultural activities, indicating a higher possibility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near the coastal areas. Elevated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phosphate ions in the groundwater are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fertilizer appl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ble to provide preliminary information on groundwater quality for agricultural water supply in the Mangyeong-Dongjin watershed.

청원 수막재배 지역의 물수지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Groudwater Budget in a Water Curtain Cultivation Site)

  • 장선우;정일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1259-1267
    • /
    • 2015
  • 우리나라에서는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농촌의 지하수 개발문제가 새로운 도전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른바 수막재배(Water Curtain Cultivation : WCC)라 불리우는 동절기 농업활동이 주된 이슈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인 충북 청원군 수막재배지역내 충적대수층의 물수지를 검증하기 위해 3차원 유한차분모형인 MODFLOW를 구축하였다. 세계적인 추세인 학제간 융합방식을 현장규모에 맞게 도입한 지하수 모델링을 수행하였고, 특히 정밀한 지하수 함양량의 입력을 위해 SWAT모형을 이용한 소유역 지하수 함양량을 계산하였으며 양질의 현장자료를 기반으로 모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검보정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하천의 보와 배수 시스템과 같은 인위적인 경계조건하에서 지하수 양수가 진행될 때 하천과 대수층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모의하는 것이다. 또한 부지내의 누적 물수지의 계절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지하수 고갈과 회복량을 정량화할 수 있었다.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Hydrology in the Lake Rotorua Catchment, New Zealand, and Community Involvement with Lake Water Quality Restoration

  • White, Paul A.;Hong, Timothy;Zemansky, Gil;McIntosh, John;Gordon, Dougall;Dell, Paul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14
    • /
    • 2007
  • Water quality in Lake Rotorua, New Zealand, deteriorated since the 1960s because of excessive phytoplankton growths due principally to increasing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lake waters. Nutrient concentrations in eight of the nine major streams feeding Lake Rotorua have increased since 1965. The groundwater system has a key role in the hydrology of the Lake Rotorua catchment and the groundwater system is probably the control on the time delay between intensification of agricultural land use and response of surface water quality. All major, and many minor streams, in the catchment are fed by springs. Two lithological units are most important to groundwater flow in the Lake Rotorua catchment: Mamaku Ignimbrite, erupted in about 200,000 years ago and Huka Formation sediments which filled the caldera left by the Mamaku Ignimbrite eruption. Rainfall recharge to groundwater in the groundwater catchment of Lake Rotorua is estimated as approximately 17300 L/s. A calibrated steady-state groundwater flow model estimates that approximately 11100 L/s of this flow discharges into streams and then into the lake and the balance travels directly to Lake Rotorua as groundwater discharge through the lake bed. Land use has impacted on groundwater quality. Median Total Nitrogen (TN) values for shallow groundwater sites are highest for the dairy land use (5.965 mg/L). Median TN values are also relatively high for shallow sites with urban-road and cropping land uses (4.710 and 3.620 mg/L, respectively). Median TN values for all other uses are in the 1.4 to 1.5 mg/L range. Policy development for Lake Rotorua includes defining regional policies on water and land management and setting an action plan for Lake Rotorua restoration. Aims in the action plan include: definition of the current nutrient budget for Lake Rotorua, identification of nutrient reduction targets and identification of actions to achieve targets. Current actions to restore Lake Rotorua water quality include: treatment of Tikitere geothermal nitrogen inputs to Lake Rotorua, upgrade of Rotorua City sewage plant, new sewage reticulation and alum dosing in selected streams to remove phosphorus.

  • PDF

경북 고령군 강변여과 취수 지역의 지하수 유동 모사 및 민감도 분석 (Simulation of Groundwater Flow and Sensitivity Analysis for a Riverbank Filtration Site in Koryeong, Korea)

  • 원이정;구민호;김형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2호
    • /
    • pp.45-55
    • /
    • 2006
  • 강변여과수 취수 방식의 도입이 고려되었던 경상북도 고령군 낙동강변의 충적대수층을 대상으로 2차원 지하수 유동모사를 수행하여, 취수정 및 주변 대수층에서의 지하수위와 하천수 유입량의 계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개념모델의 하천 경계조건은 연평균 하천수위를 고정 수두로 설정하는 경우와 실제 관측된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변동 수두로 설정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모사를 수행하였다. 모사 결과 산정된 하천수 유입 비율은 고정하천수두 모사의 경우 연중 $74.3{\sim}87.0%$의 범위를 보이며 연평균 82.4%인 반면, 변동하천수두 모사의 경우 $52.7{\sim}98.1%$, 연평균 78.5%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기별로 변동하는 하천수위가 하천수 유입 비율에 큰 영향을 미치며, 하천수 유입 비율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변동하천수두 조건을 이용해야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강변으로부터 취수정까지의 이격거리를 변화시키면서 모사를 반복 수행한 결과 취수정 이격거리가 커질수록 하천수 혼합 비율은 다소 감소하지만 그 영향이 수 % 정도로 매우 작게 나타났다. 강변여과 취수 시 지하수위 및 하천수 혼합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대수층의 수리전도도 및 저유계수, 지하수 함양량, 취수량 등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수층의 평균 지하수위와 하천수 유입 비율은 취수량과 지하수 함양량 변화에 민감한 반면, 취수정의 지하수위는 수리전도도와 취수량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