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water Flow

검색결과 1,024건 처리시간 0.028초

지하수 유동 모텔을 이용한 지하수위 변동법의 적용성 분석

  • 구민호;이대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8-31
    • /
    • 2002
  • The water level fluctuation (WLF) method is a conventional method for quantifying groundwater recharge by multiplying the specific yield to the water level rise. A 2-D unconfined flow model with a time series of the recharge rate is developed. It is used for elucidating the errors of the WLF method which is implicitly based on the tank model where the horizontal flow in the saturated zone is ignored. Simulations show that the recharge estimated by the WLF method is underestimated for the observation well near the discharge boundary.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hydraulic stress resulting from the recharge is rapidly dissipating by the horizontal flow near the discharge boundary Simulations also reveal that the recharge was significantly underestimated with increase in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the recharge duration, and decrease in the specific yield.

  • PDF

방사성폐기물 지하처분장에 대한 가상의 사례 연구를 위한 KURT 부지의 지하수 유동 모의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the KURT site for a Case Study about a Hypothetical Geological Disposal Facility of Radioactive Wastes)

  • 고낙열;박경우;김경수;최종원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43-149
    • /
    • 2012
  •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지하처분연구시설인 KURT 부지에 가상의 심지층 처분 시설을 가정하고 안전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하수 유동 자료를 작성하기 위한 지하수 유동 모의가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의 전반적인 지하수 유동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광역 규모의 지하수 유동 모의를 먼저 실시하여 국지 규모 지하수 유동 모의에서 이용될 경계 조건을 구하고, 현장에서 확인된 단열 자료를 반영하여 국지 규모에서의 지하수 유동계가 모의되었다. 같은 방식으로 국지 규모에서 지하수 유동에 관한 경계 조건을 뽑아내어 KURT 부지 규모의 지하수 유동 모의에 이용하였다. 국지 규모의 지하수 유동 모의 결과로 얻어진 지하수위 분포를 통해 입자 추적(particle tracking) 모의를 수행하여 가상의 처분 부지 위치에서 지표로 흐르는 지하수의 유동 경로를 확인하고, 경로의 길이와 지하수의 시간당 유동량(discharge rate)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일련의 지하수 유동 모의 및 입자 추적 모의 방법은 향후 심지층 처분 시설의 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작성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수 변동자료와 모델링을 이용한 직리터널의 지하수 유출량 평가 (Estimation of Groundwater Flow Rate into Jikri Tunnel Using Groundwater Fluctuation Data and Modeling)

  • 이정환;함세영;정재열;정재형;김남훈;김기석;전항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4권5호
    • /
    • pp.29-40
    • /
    • 2009
  • 일반적으로 균열 암반 내 지하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터널 굴착과 지하 동굴 건설시 중요한 사안이다. 이런 경우에 굴착이전부터 굴착완료까지의 시추공 자료는 균열암반 내 지하수 유동 변화를 고찰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그러나 충분한 시추공 자료가 여의치 않은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시 직리터널 지역에 대해 수리상수, 터널 굴착 후기의 지하수 모니터링 자료, 국가지하수관측망 자료, 전기비저항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직리터널 건설로 인한 지하수 유출량을 평가하였다. 해석학적 방법에 의해 계산된 지하수 유출량은 $7.12{\sim}74.4\;m^3/day/m$이었으며, 수치 모델링을 이용하여 산출된 지하수 유출량은 $64.8\;m^3/day/m$이다. 두가지 모델을 비교할 때, 수치 모델링에서는 공간적인 수리상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반면에 해석학적 방법으로는 이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치 모델링에 의한 지하수 유출량이 더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수치 모델링에 의하면 터널 건설이 완료되고 약 1년 후에는 하강되었던 지하수위가 터널 굴착이전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모사되었다.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수위 및 온도 자료를 이용한 함양량 산정

  • 박창희;구민호;이대하;김형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51-356
    • /
    • 2002
  • Groundwater recharge rate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method utilizing Theis (1937) approach with specific yield estimation technique of Shevenell (1996) and the temperature method using observed data from National Groundwater Observation Stations. Results based on analysis of water level observation data of 10 alluvium wells reveal that the recharge rates for 5 wells of Kum river area range 3.7~25.0% and those for 5 wells of Nakdong river area range 3.6~21.7%. Results obtained from the temperature method based on water temperature data indicated that the upward flow resulted from evapotranspiration is dominant for 4 wells of the Kum river area and 5 wells of the Nakdong river area. The other wells showed the downward flow which is related to groundwater recharge in these areas.

  • PDF

제주도 지하수 유역의 적절성 평가와 수리학적 유역설정 (Hydraulic Watershed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on Jeju Island)

  • 김민철;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3-433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underground watersheds on Jeju Island, and to establish the hydraulic groundwater basin to be used as basis for the analysis of the groundwater model. In order to evaluate the adequacy of the groundwater basin on Jeju Islan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levation and groundwater level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25 observation wells. The analysis, conducted with an elevation step of 100 m, exhibited values of R2 in the range 0.1653-0.8011. No clear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elevation and groundwater level. In particular, the eastern and western areas showed an inverse proportionality between elevation and groundwater level. The Kriging technique was used to analyze the underground water level data and to define the equipotential lines for all areas of Jeju Island. Eight groundwater watersheds were delineated by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groundwater flow, the positions of the observation wells, and the long and short axes of the watersheds.

갑천 유역의 지하수 유동 평가 (Evaluation of Groundwater Flow for the Kap-cheon Basin)

  • 홍성훈;김정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6호
    • /
    • pp.431-446
    • /
    • 2007
  • 지하수 유동 모델에 반영되는 유역의 수리지질학적, 수문학적 특징들은 지하수 유동 특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현장 특성들이다. 상기 특징들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438개의 관정자료를 토대로 갑천 유역(유역 면적$648.3km^2$)의 대수층 구조 특성을 분석하고, 24개의 하천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 유동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검 보정된 준분포형 유출모형(SWAT)의 소유역별 지하수 함양량 결과를 3차원 지하수 유동 모델(MODFLOW)과 연계하여 갑천 유역의 광역 지하수 유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모의된 지하수위와 86개 지하수 관측정의 지하수위 비교에서 결정계수는 0.99, 유역 전체의 물교환량의 상대오차율이 약 0.57%로 갑천 유역의 지하수 유동 특성을 잘 반영하였다. 갑천 유역의 지하수는 지형 및 대수층 특성과 하천의 영향에 의하여 전반적으로 유역 남쪽에서 북쪽으로 유동하는데 산지 지역에 존재하는 하천들은 손실과 이득 하천의 형태를 반복하는 반면, 갑천 중 하류 부분과 갑천-유등천 합류 부근은 이득하천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소유역별 지하수 물교환량 분석한 결과, 상기 지역을 포함하는 소유역의 하천 공급원이 해당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보다 지하수 유동 체계에 따라 인근 소유역에서 공급되는 지하수 유입량 비율이 훨씬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유등천 중 상류 지역의 소유역을 제외한 산지 지역의 경우는 하천 공급원이 지하수 유동 체계에 의한 유입량보다 해당 유역 내에서 공급되는 지하수 함양량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표수와 지하수의 상호작용 및 하천 유출에 지하수 유동 특성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Influence of ambient groundwater flow on DNAPL migration in a fracture network

  • 지성훈;여인욱;이강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43-46
    • /
    • 2003
  • We consider influences of the aperture variation and the ambient groundwater flow on the migration of DNAPL within a fracture network. In context of a modified invasion percolation (MIP) growth algorithm, we formulate a mechanistic model that includes capillary and gravity forces as well as viscous forces within the DNAPL and the ambient groundwater. The MIP model is verified against laboratory experiments, which is conducted using a two-dimensional random fracture network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aperture variation and ambient groundwater flow can be significant factors controlling DNAPL migration path within fracture networks.

  • PDF

금정터널내의 지하수 유출량과 기저유출량 변화 분석 (Analysis of Groundwater Discharge into the Geumjeong Tunnel and Baseflow Using Groundwater Modeling and Long-term Monitoring)

  • 정재열;함세영;유일륜;황학수;김상현;김문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691-1703
    • /
    • 2015
  • When constructing tunnel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structural, geological and hydrogeological conditions. Geumgeong tunnel that has been constructed in Mt. Geumjeong for the Gyeongbu express railway induced rapid drawdown of groundwater in the tunnel construction area and surrounding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groundwater flow system and baseflow using long-term monitoring and groundwater flow modeling around Geumgeong tunnel. Field hydraulic tes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estimate hydraulic conductivity, transmissivity, and storativity in the study area. Following the formula of Turc and groundwater flow modeling, the annual evapotranspiration and recharge rate including baseflow were estimated as 48% and 23% compared to annual precipit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transient modeling for 12 years after tunnel excavation, baseflow was estimated as $9,796-9,402m^3/day$ with a decreasing tendency.

Distribution of Rare Earth Elements and Their Applications as Tracers for Groundwater Geochemistry - A Review

  • Hwang, Heejin;Nyamgerel, Yalalt;Lee, Jeonghoo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83-389
    • /
    • 2021
  • Several studies investigating the behavior and environmental distribution of rare earth elements (REEs) have been reviewed to determine the geochemical processes that may affect their concentrations and fractionation patterns in groundwater and whether these elements can be used as tracers for groundwater-rock interactions and groundwater flow paths in small catchments.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 equipped with an ultrasonic nebulizer and active-film multiplier detector, is routinely used as an analytical technique to measure REEs in groundwater, facilitating the analysis of dissolved REE geochemistry. This review focuses on the distribution of REEs in groundwater and their application as tracers for groundwater geochemistry. Our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suggests that REEs in ice cores can be used as effective tracers for atmospheric particles, aiding the identification of source regions.

Improving the Genetic Algorithm for Maximizing Groundwater Development During Seasonal Drought

  • Chang, Sun Woo;Kim, Jitae;Chung, Il-Moon;Lee, Jeong Eun
    • 지질공학
    • /
    • 제30권4호
    • /
    • pp.435-446
    • /
    • 2020
  • The use of groundwater in Korea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o the point where its extraction is restricted in times of drought. This work models the groundwater pumping field as a confined aquifer in a simplified simulation of groundwater flow. It proposes a genetic algorithm to maximize groundwater development using a conceptual model of a steady-state confined aquifer. Solving the groundwater flow equation numerically calculates the hydraulic head along the domain of the problem; the algorithm subsequently offers optimized pumping strategies. The algorithm proposed here is designed to improve a prior initial groundwater management model. The best solution is obtained after 200 iterations. The results compare the computing time for five simulation cases.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facilitate better groundwater development compared with a basic genetic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