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settlement behavior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9초

고성토 암버력 동다짐 지반의 침하거동 (The Settlement Behavior of Dynamically Compacted High Rock Embankment)

  • 지홍근;배경태;노정현;유광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61-6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부지 내 절토부에서 발생하는 암버력을 층당 7m씩 총 9층으로 단계별 동다짐 성토하여 조성된 최대 63m 고성토(高盛土) 암버력 지반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층 성토 완료 시 지중침하계를 설치하여 성토 중 침하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암버력을 성토 단계별로 동다짐할 경우 하부 성토지반의 구속압 증가로 인하여 지반의 변형특성이 초기 상태와 차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시공이력을 반영한 수치해석을 실시하여 지중침하계로부터 계측한 성토 단계별 침하량과 비교하였다. 한편, 최종 성토완료 후 선행재하 시 계측한 침하량을 분석하여, 본 연구대상 현장의 2차 크리프 침하량을 예측하였다.

연약 암염층(Sabkha)에 보강된 스톤컬럼의 침하거동에 관한 해석방법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Analysis Methods on Mechanical Behavior of Stone Column Reinforced in the Soft Sabkha Deposit)

  • 김세원;이철호;김기호;최항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53-6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일련의 현장시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연약 암염층(Sabkha)에 보강된 스톤컬럼의 침하거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스톤컬럼으로 보강된 복합지반의 침하거동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Saudi의 Kayan 지역에 시공된 스톤컬럼에 대한 현장 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스톤컬럼의 보강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현장시험결과와 Pribe의 간편법, 그리고 수치해석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 하였다. 수행된 연구결과, Priebe 제안식으로 산정한 침하량은 스톤컬럼이 시공된 실제 현장의 침하량보다 과다하게 평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치해석을 통해 스톤컬럼이 보강된 복합지반의 거동을 예측할 때, 주변에 시공된 스톤컬럼들의 구속에 의한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적절히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GCP 복합지반의 거동분석을 위한 유한요소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for Investigating the Behavior of Gravel Compaction Pile Composite Ground)

  • 김경업;박경호;김호연;김대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19-32
    • /
    • 2018
  • GCP(Gravel Compaction Pile, 이하 GCP)공법은 현재 정량적인 설계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설계 및 시공되고 있어 팽창파괴, 전단파괴 등 다양한 형태의 파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나 명확한 원인 규명과 파괴 예방 대책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국내와 시공 장비, 재료 특성 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해외의 지반에 적용하는 공법을 그대로 국내에 적용하고 있어 지지력, 침하량 등이 실측값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CP공법의 합리적이고 안전한 설계법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로써 국내 점토지반에 GCP공법을 적용하여 지반강도 변화에 따른 침하 및 응력 거동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BAQUS를 이용하여 복합지반의 침하량과 침하감소율, 응력분담비, GCP의 최대 수평변위량 및 발생 예상위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치환율 30%이상에서 복합지반의 침하감소율이 60%이상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GCP의 최대 수평변위량은 말뚝 직경의 2.6배의 깊이에서 발생하였으며, 치환율 40%이상에서는 수평변위량의 차이가 미미한 것을 확인하였다.

PBD가 설치된 연약지반의 원심모형실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entrifuge Model Experiments of Soft Soil Ground Installed with PBD)

  • 정길수;박병수;전상현;유남재
    • 산업기술연구
    • /
    • 제26권A호
    • /
    • pp.101-108
    • /
    • 2006
  • This study is the results of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n the consolidational behavior of multi-layered soft soil ground installed with plastic board drains (PBD). Centrifuge model tests with a marine clay sampled from field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solidational behavior of multi-layered ground where a dredged soil was placed on the soft clay ground and PBDs were installed. Tes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umerical analyses, using the 2-D equivalent model previously proposed. From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consolidation settlement occurred in the original ground due to embankment surcharge loads was in the range of 38% of total settlement in the whole ground. From the results of cone penetration tests executed after finishing the centrifuge model tests, the cone resistance was found to increase with depth. The measured water contents inbetween PBDs were in the ranges of 38~50% and their values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PBDs.

  • PDF

터널굴착으로 발생한 주변 단일지층 및 복합지층 지반에서의 지반변위에 대한 거동비교 (Comparison of Ground Movements in A Single Ground Layer and Multiple Ground Layers due to Nearby Tunnel Excavation)

  • 손무락;윤종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C호
    • /
    • pp.167-17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터널굴착으로 발생한 주변 단일지층 및 복합지층 지반에서의 지반변위에 대한 거동을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은 단일지층 및 복합지층 조건에서 서로 다른 시공조건(지반손실량)을 가진 터널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얻어진 지표면에서의 최대 침하량과 최대 수평변위량은 지층조건 및 시공조건별로 상호비교되었다. 뿐만 아니라, 수치해석을 통해 얻어진 지표면에서의 최대 침하량은 터널 굴착부 천단에서 발생된 최대 침하량과 지층조건 및 시공조건(지반손실량)별로 상호 비교되었으며, 지표면에서의 최대 침하량과 최대 수평변위량의 관계 또한 지층조건에 따라 상호 비교되었다. 더불어, 지층조건에 따라 터널굴착부에서 발생한 지반손실량($V_L$)과 지표면에서 형성된 총 침하부피량($V_s$)이 서로 비교되었다. 수치해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와 기존 현장계측자료와의 비교가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터널굴착으로 발생된 서로 다른 지층조건을 가진 주변지반에서의 거동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실무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터널의 계측결과 종합분석에 의한 지반의 거동 및 터널 구조체의 역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unnel Structures and Ground Behavior by Synthetic Analysis Method with Tunnel Monitoring Results used)

  • 우종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115-12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공사중 계측 결과와 유지관리 계측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하여 터널의 변위와 응력 등을 분석하였으며, 지반조건이 비교적 연약한 풍화대를 통과하는 지하철 터널의 거동을 분석하여 터널 라이닝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공사중 계측결과 상부 및 하부 반단면 굴착 완료시의 계측결과를 단순화하여 터널 굴착시 천단침하가 지표침하와 내공변위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천단침하와 천단숏크리트 라이닝응력이 역해석 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측항목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간극수압 분석결과를 통해 배수형 터널에 설계시 적용되고 있는 잔류수압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침하가 예측되는 지반에서 강관말뚝 주면 마찰 저항에 따른 말뚝의 거동 분석 (Analysis of Pile Behaviors with Friction Resistance of Skin of Steel Pipe Pile in Ground where Settlement is Predicted)

  • 이기철;신세희;이학린;김동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1호
    • /
    • pp.107-117
    • /
    • 2020
  • 개단 강관말뚝의 경우 일반적으로 말뚝에 작용하는 외부 주면 마찰력뿐만 아니라 설치과정에서 폐색된 흙이 강관 내부에 작용하는 내부 마찰저항이 존재한다. 내·외부 저항에 따라 극한하중의 변화가 예상되며, 말뚝이 시공된 지반이 점성토일 경우 지반 침하로 유발되는 부주면 마찰력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관말뚝 내·외부 저항 특성에 따른 거동을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며, 지반 침하 발생 전·후의 마찰력 분포, 축력, 침하량을 산정하였다. 해석 결과, 내부 마찰 저항은 외부 마찰 저항보다 적은 영향을 미쳤지만 전체적인 말뚝 거동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하였을 때,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설계 시 두 가지 저항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강도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Stone Column 공법의 침하감소효과 (Settlement Reduction Effect of the Geogrid Reinforced Stone Column System)

  • 박시삼;조성한;유충식;이대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5-23
    • /
    • 2006
  • 모래다짐말뚝 및 쇄석말뚝 공법의 경우, 연약지반의 보강, 극한지지력의 증대 및 기초지반의 압밀을 가속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수십 년간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쇄석말뚝공법은 비교적 강성이 크고 압축성이 작은 쇄석 등을 이용하여 다짐말뚝을 형성, 연약지반을 개량하는 공법이지만 횡방향 구속압력이 충분하게 발휘되지 않는 지반에서는 팽창파괴(bulging failure)에 대한 저항이 없어 적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쇄석말뚝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팽창파괴 및 전단파괴 등을 방지하여 침하량을 상당부분 억제시킬 수 있는 고강도 지오그리드 보강 쇄석말뚝공법을 개발하였다. 본 공법 개발을 위해 삼축압축시험을 통하여 치환율 및 구속압력에 따른 일반적인 쇄석말뚝의 거동특성을 우선 살펴보았다. 아울러 유한요소 해석을 통한 3차원 수치해석을 시행하여 지오그리드의 종류 및 지오그리드 보강심도변화에 따른 지오그리드 보강 쇄석말뚝공법의 거동특성 및 침하저감효과를 평가함으로써 지오그리드 보강 쇄석말뚝의 적용성을 평가해 보았다.

  • PDF

개별요소법을 통한 지반의 포화도와 밀도가 함몰에 미치는 영향 평가 (Influence of Saturation and Soil Density on the Ground Subsidence Using Distinct Element Method)

  • 김연호;김현빈;박성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8호
    • /
    • pp.27-36
    • /
    • 2018
  • 연속적인 입자 유실에 의해 발생하는 지반 함몰 유형은 지반의 포화상태 및 상대밀도에 따라 전개 거동이 다르게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포화상태에 따라 함몰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해 상대밀도에 따른 해석을 개별요소법을 통해 수행하여 영향 인자에 따른 지반 함몰 전개 거동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밀한 지반인 경우, 포화상태에서는 비교적 작은 침하량과 침하 영향범위가 발생하였고 부분포화상태에서는 지반 내부에 동공을 형성하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 느슨한 지반인 경우, 포화상태에서는 침하량과 침하 영향범위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부분포화상태에서도 동공을 형성하지 못하고 즉각적인 함몰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지반의 상대밀도 및 포화상태는 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맞물림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며 함몰 거동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층 두께와 교통하중 크기를 고려한 공동 발생 지반의 안정성 분석에 관한 수치해석 (A Numerical Analysis on Stability Analysis of Cavity Ground considering Pavement Thickness and Traffic Load)

  • 유승경;안희철;김영호;한중근;홍기권;박정준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87-29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공동 발생 지반에 대한 안정성 분석을 목적으로 포장층 두께와 교통하중 크기를 고려한 일련의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수치해석 방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선행된 수치해석 연구를 활용하여 공동 발생 지반의 역학적 거동을 모사하였으며, 기존의 현장계측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지반의 간극비, 지표침하, 전단응력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전반적인 지반의 역학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 산정한 응력비 및 비파괴심도와 지표침하량의 관계를 이용하여 공동 발생 지반의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포장층 두께가 감소하고 교통하중 크기가 증가할수록 지표침하량의 증가와 함께 비파괴심도 및 지반의 전반적인 안정성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