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nd observation

검색결과 653건 처리시간 0.028초

고무차륜시스템에서의 지락보호를 위한 급전선로 절연과 부극전위와의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Influence Between the Power Feeding Line Insulation and Negative Rail Potential for the DC Ground Fault Protection in the Rubber Wheel System)

  • 정호성;신승권;김형철;박영;조상훈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2권4호
    • /
    • pp.577-583
    • /
    • 2013
  • We have analyzed influence of potential rise in negative bus, which caused by decrease of power feeding line insulation, upon protecting method of DC ground protection device which detecting potential rise between negative bus and ground in order to detect ground fault in the rubber wheel system. For this purpose, we proposed negative potential equation between negative bus and ground and calculated negative potential according to system condition changes by estimating power feeding line insulation changes in steel wheel system and rubber wheel system, and equalizing DC power feeding system when ground fault occurred. Also, in order to estimate negative potential of real system, we modeled the rubber wheel system, and simulated normal status, grounding fault occurrence and power feeding line insulation changes. In normal status, negative potential did not rise significantly regardless of vehicle operation. When ground fault occurred, negative potential rose up over 300V regardless of fault resistance. However, we also observed that negative potential rose when power feeding line insulation dropped down under $1M{\Omega}$. In conclusion, our result shows that in case of rubber wheel system unlike steel wheel system, relay will be prevented maloperation and insulation status observation can be ensured when ground over voltage relay will be set 200V ~ 300V.

Sentinel 위성기반 한반도 연속 지반변화 관측체계 개발 (Development of Continuous Ground Deform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Sentinel Satellite in the Korea)

  • 유정흠;윤혜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5_2호
    • /
    • pp.773-77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유럽에서 운영 중인 Sentinel-1 위성레이더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한반도 전역의 지반변화를 자동으로 분석하는 체계 구축을 수행하였다. 장시간에 걸려 발생하는 지반변화 자연재난은 광역적 지역에서 발생하게 되어 관측의 어려움과 분석을 위한 대용량의 자료가 요구되었다. 하지만, 인공위성의 발달로 광역지역을 주기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이렇게 축적된 다년간의 위성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시계열적인 지반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연구원에서는 한반도 전 지역을 대상으로 위성레이더 관측자료 취득에서 부터 지반변위 분석 및 분석 결과 표출까지 모든 과정을 자동화 하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체계를 기반으로 한반도 전 지역에 대한 주기적인 지반변화 자료의 갱신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변화 우려지역에 대한 사전적 정보제공을 통하여 대형 재난에 대한 예방단계의 대응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지역별 자동화 분석 체계와 동일대상 지역의 다 채널 분석 및 3차원 변화 분석체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다양한 지반변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pplication of X-band polarimetric radar observation for flood forecasting in Japan

  • Kim, Sun-Min;Yorozu, Kazuaki;Tachikawa, Yasuto;Shiiba, Michiharu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5-15
    • /
    • 2011
  • The radar observation system in Japan is operated by two governmental groups: Japan Meteorological Agency (JMA)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MLIT) of Japan. The JMA radar observation network is comprised of 20 C-band radars (with a wavelength of 5.6 cm), which cover most of the Japan Islands and observe rainfall intensity and distribution. And the MLIT's radar observation system is composed of 26 C-band radars throughout Japan. The observed radar echo from each radar unit is first modified, and then sent to the National Bureau of Synthesis Process within the MLIT. Through several steps for homogenizing observation accuracy, including distance and elevation correction, synthesized rainfall intensity maps for the entire nation of Japan are generated every 5 minutes. The MLIT has recently launched a new radar observation network system designed for flash flood observation and forecasting in small river basins within urban areas. It is called the X-band multi parameter radar network, and is distinguished by its dual polarimetric wave pulses of short length (3cm). Attenuation problems resulting from the short wave length of radar echo are strengthened by polarimetric wavelengths and very dense radar networks. Currently, the network is established within four areas. Each area is observed using 3-4 X-band radars with very fine resolution in spatial (250 m) and temporal (1 minute intervals). This study provides a series of utilization procedures for the new input data into a real-time forecasting system. First of all, the accuracy of the X-band radar observation was determined by comparing its results with the rainfall intensities as observed by ground gauge stations. It was also compared with conventional C-band radar observation. The rainfall information from the new radar network was then provided to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to simulate river discharges. The simulated river discharges were evaluated again using the observed river discharge to estimate the applicability of the new observation network in the context of operations regarding flood forecasting. It was able to determine that the newly equipped X-band polarimetric radar network shows somewhat improved observation accuracy compared to conventional C-band radar observation. However, it has a tendency to underestimate the rainfall, and the accuracy is not always superior to that of the C-band radar. The accuracy evaluation of the X-band radar observation i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only limited rainfall events, and more cases should be examined for developing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behavior of the X-band radar and for improving observation accuracy.

  • PDF

GRACE 위성 중력자료를 활용한 한반도의 평균 수자원변화량 산정 (Estimation of Average Terrestrial Water Storage Changes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GRACE Satellite Gravity Data)

  • 이상일;김준수;이상기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8호
    • /
    • pp.805-814
    • /
    • 2012
  • 대부분의 수문자료는 지상관측을 통해 얻어진다. 그러나 어떤 지역은 접근이 어렵거나 장기적인 관측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지상관측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새로운 방법이 요구된다. 시 공간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미항공우주국 NASA에서 2002년 지구 중력장을 측정하는 GRACE(Gravity Recovery And Climate Experiment) 인공위성 자료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GRACE Level-2 중력자료를 이용하여 공간평활화 반경별(0 km, 300 km, 500 km)로 한반도의 수자원변화량(GRACE-based TWSC)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지상 수문 관측자료를 이용한 수자원 변화량(land-based TWSC)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Land-based TWSC는 WAMIS의 강우량, 증발 산량 및 GLDAS의 유출량 자료를 이용해 계산하였다. GRACE-based TWSC와 land-based TWSC의 RMSE 검정 결과, 공간평활화 반경 500 km의 위성자료가 한반도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의 월별 평균 TWSC는 0.986 cm/month로 나타났고, 이러한 큰 변화폭 때문에 안정적수자원 확보를 위한 대처 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하수 수위변동에 따른 중력 변화 양상 (Observation of gravity changes associated with variations of ground water table)

  • 엄주영;서기원;구민호;권병두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9-123
    • /
    • 2009
  • 지하수 수위 변동에 따른 중력 변화를 이동식 기조력 중력계(PET)를 이용하여 충청남도 금산군에 위치한 국가 지하수 관측소(금산 금산 지하수관측소)에서 측정하였다. 중력 탐사는 2008년 11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약 10개월에 걸쳐 수행되었다. 또한 중력탐사가 수행되는 기간 동안 지하수 수위변화에 대한 자료도 얻었다. 얻어진 중력 자료로부터 지하수의 수위변동에 의한 효과만을 추출해 내기 위하여, 대기압에 의한 효과, 조석 효과, ocean loading 효과, polar motion과 drift 효과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보정된 중력 자료를 관측정에서 측정한 지하수 수위변동과 직접 비교하여 중력 신호에 대한 지하수 수위 변동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6월에는 지하수 관측소에 대한 양수 작업이 있었다. 이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지하수의 수위 강화와 충전이 있었으며, 이와 연관된 중력변화도 매우 성공적으로 관측되었다. 지하수 수위변동에 의한 중력 효과의 관측은 대수층의 water mass balance와 수자원에 대한 모니터링에 있어서 아주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보인다.

  • PDF

2005년 Fukuoka 지진기록을 이용한 국내 및 일본의 지진동 감쇄 특성 평가 (Study on the Earthquake Ground Motion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Korea and Japan using 2005 Fukuoka Earthquake Records)

  • 최인길;중도정인;전영선;대조정수;연관희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5-54
    • /
    • 2006
  • 2005년 3월 20일 발생한 Fukuoka 지진 시 국내 및 일본에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지반운동 감쇄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 및 일본에서 제시된 지반운동 거리감쇄식을 이용한 예측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국내 강지진동 예측 시 일본에서 개발된 감쇄식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동일 거리에 위치한 국내 및 일본 관측소에서 측정한 기록이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국내 및 일본에서 제시된 지반운동 거리감쇄식의 예측값이 매우 유사하게 나타나 국내에서의 강지진동 예측 시 일본에서 제시된 지반운동 감쇄식을 200km 이상의 비교적 원거리에 대한 국내 감쇄식의 평가 등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리안 위성을 위한 위성 지상국 후보지 전파 환경 측정 및 간섭 연구 (A Study of Radio-Wave Interference on Location Selection of Satellite Ground Stations)

  • 양재수;배상수;황유민;김진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944-95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위성의 지상국 위치를 선정함에 있어 전파 간섭을 피하고, 사용자의 위성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지상국 위치 선정 전파 간섭 연구이다. 위성 지상국의 위치 선정을 위해 부지 확보가 용이하고, 평가지표의 평가항목별로 평가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지상국 후보지에 대해 전파 환경을 조사하고, 측정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10명의 전문가의 적합성 판단을 통해 후보지의 적합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향후 다른 후보지들의 측정 결과와 비교를 통해 최적의 지상국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위성 지상국을 구축하고 있는 세계적 추세에 맞추어, 우리나라의 위성 지상국 위치 선정을 위한 정량적인 평가기준이 될 수 있다.

천리안 위성을 사용한 방출장파복사량 검증 : 청미천, 설마천 (Assessment of Outgoing Longwave Radiation using COMS : Cheongmi and Sulma Catchments)

  • 백종진;서찬양;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465-476
    • /
    • 2013
  • 방출장파복사량은 수치예보모형, 수문모형, 증발산 등에 사용되는 인자로 지구의 에너지 균형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현재 국내외에서는 이를 정확하게 관측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지상관측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정지궤도 위성인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를 사용하여 방출장파복사량(Outgoing Longwave Radiation, $R_{lu}$ )를 계산하였다. 이 자료의 검증을 위해 유량조사사업단에서운영 관리하는 청미천/설마천 Flux Tower의 자료를 사용하여 계산된 $R_{lu}$ 와 MODIS 위성자료를 사용하여 계산된 $R_{lu}$ 를 비교 및 검증하였다. 전반적으로 COMS의 자료가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어 COMS의 사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COMS를 이용한 증발산 산정 연구를 할 계획이다.

Sounding Rocket 통신 시스템에서의 LTE-Cat.M1 사용 적합성 시험 (LTE-Cat.M1 Conformity Test in Sounding Rocket Communication Systems)

  • 이승환;김태훈;김혜민;김다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589-594
    • /
    • 2024
  • 본 연구는 LTE-Cat.M1 모듈을 사용하여 Sounding Rocket LTE 통신 시험 결과를 소개한다. 개발된 LTE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은 임무탑재장비와 지상관측장비로 구성되며, 10 Hz의 속도로 일정하게 임무탑재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여 지상관측장비에서 수신 시 계측되는 데이터 사이 시간을 바탕으로 지연율을 확보하였다. 실제 비행시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상 네트워크 지연율 시험과 하드웨어 내부 지연율 시험, 지상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행 시험 결과 상승 단계에서 핸드오버에 실패하여 13초간 통신이 유실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이후 낙하산이 전개되어 일정한 위치 변위를 가진 상황에서 통신이 다시 연결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LTE-Cat.M1 기술은 Sounding Rocket 임무 중 하강 단계 관측 임무나 데이터 백업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입체 영상칩을 이용한 영상기준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mage Control Point Using Stereo Image Chip)

  • 김훈정;김감래;정해진;조원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3-431
    • /
    • 2008
  • 최근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활용한 기본지리정보 사업 수행에 있어 영상과 지상간의 좌표체계를 일원화 하는 기준점 측량은 수치정사영상 제작시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필수적 공정으로 중복 예산 및 작업에 의해 추가 제작상의 어려움을 주는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상과 동일한 좌표체계를 가지는 스테레오 영상칩 제작을 통해 신규영상에 대한 영상 기준점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서 기존 작업 방법에 대한 개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실험방법은 DPPDB의 파일구조 분석을 통해 스테레오 영상 칩 제작 기준을 정하였으며, SPOT과 IKONOS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스테레오 영상 칩을 제작하였다. 소요 정확도 확보를 위해 기준점수량에 따른 3차원 모델링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여 수치정사영상제작을 위한 최적의 기준점 배치 및 수량을 제시하였으며, 신규영상과의 중첩도시를 통한 동일점 관측을 실시하여3차원 지상좌표를 추출하고 신규 SPOT 위성영상에 대한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제작된 스테레오 영상 칩과 지상좌표와의 정확도 분석 수행결과 지상기준점으로 활용상에 문제가 없으며, 동일점 관측을 통해 신규 위성영상을 활용한3차원 모델링 수행 시 측량을 통해 취득한 지상좌표를 활용한 모델링 결과값과 근접한 결과를 획득함으로서 영상 기준점 활용에 대한 적정성을 제시한 결과로서 기준점 측량 작업 공정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