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tea powder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1초

노인식 제공을 위한 일부 노인의 음식 기호도 조사 (Food Preference Test of the Korean Elderly Menu Development)

  • 박선주;이해정;김완수;임재연;최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8-107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food preferences of the Korean elderly for Korean elderly menu development. The elderly subjects preferred steamed rice cooked with 1.2 times water than that with 1.5 times water (p < 0.001) , whole rice grain gruel than the gruel with ground grain (p < 0.05) . Green tea powder gruels developed as a snack,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of the elderly between gruel with different contents of green tea powder (2, 3, $4\%$). The preferences of the salt concentration of the soup were tested by using soybean sprout soup and soybean paste soup. The elderly preferred 0.7 - $0.8\%$ salted bean sprout soup and $7\%$ soybean paste soup. The elderly preferred Kimchi cut in widths of 1 - 2 cm than that in 0.5 cm. The elderly preferred sweeter grape jam ($67\%$ vs. $50\%$ or $37\%$ sugar content) and were not concerned about chewing seeds. This result could be useful to develop menus for the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1): 98$\sim$107, 2006)

복합운동과 녹차섭취가 비만 여고생의 체중과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and Green Tea Intake on Body Weight and Adiponectin Obese High School Female)

  • 조현숙;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72-977
    • /
    • 2006
  • 복합운동과 녹차섭취가 비만 여고생의 체중과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U시 U여고생 중 체질량 지수(BMI) $27\;kg/m^2$ 이상인 자를, 운동군 9명, 녹차군 9명, 운동녹차군 9명, 통제군 9명, 총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합운동은 12주간, 주 4회, 1일 $60{\sim}70$분, $55{\sim}75%$HRmax의 걷기운동과 $1\sim}2\;kg$의 덤벨체조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녹차는 1스틱 당 0.8 g 든 가루녹차를 1일 4회, 12주 동안 섭취시킨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체중은 집단내 변화에서 운동군, 녹차군, 운동녹차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간 변화에서는 운동군과 운동녹차군이 녹차군과 통제군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아디포넥틴은 집단내 변화에서, 운동군, 녹차군, 운동녹차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통제군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간 변화에서, 운동군과 운동녹차군은 통제군보다 아디포넥틴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복합운동과 녹차섭취가 비만 여고생들의 체증 감량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나, 비만의 결정인자인 아디포넥틴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체중감량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향후 비만 예방과 개선을 위해서는 복합운동과 녹차섭취에 대한 보다 효율적이고 맞춤적인 운동처방과 섭취방법의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차 잎가루를 첨가한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not Made with Parched Tea Leaf Powder)

  • 김상희;홍진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7-37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for producing tea leaf Jeung-pyun that does not contain added parched tea leafs (0, 0.5, 1, 1.5, and 2%) while producing Jeung-pyun that has a variety of functional ingredients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tea leafs. Moisture contents were 56 ~66%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The pH of Jeung-pyun samples was 5.65~5.74. The L-value decreased as the amount of added tea leaf increased, and the a-value was low in the group made with added tea leafs. The b-value was high in the 1% added group and had a tendency to increase vs the control group as amount of added tea leaf increased. In the groups with added tea leaf the volume was evaluated as being higher in the order of 1>1.5>2%. The specific volume of the group with added tea leaf was evaluated as being higher in the order of 1>1.5>2%.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with added tea leaf were evaluated as being high. For characteristics of cell uniformity, rice wine flavor, and sweetness, the control group was evaluated as being high, and for characteristics of color, moistness, and softness the 1% added group was evaluated as high. Astringency was evaluated as being high in the 2% added group. Texture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samples were maintained in an incubator at $20^{\circ}C$ for 0, 1, 3, 5, and 7 days. Characteristics for hardness, gumminess, chewiness tended to increase with longer periods of storage. Characteristics for cohesiveness, springiness tended to decrease as the storage period increased. As determined by this study, addition of 1% tea leaf was the most favorable method for making use of tea leafs the production of Jeung-pyun and a potentiality for the use of tea leafs in food was discorvered.

한일 말차의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Ingredients at Powdered Green Teas Commercialized in Korea and Japan)

  • 김기선;고즈쿠에 노부유키;한재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7-183
    • /
    • 2004
  • 시판되고 있는 말차를 가격에 따라 상품, 중품, 하품으로 구분하여 색도, 수분,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Ca, Mg, P, Na, K, Fe 등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도는 'L' 값은 $58.66{\sim}60.69$, 'a'는 한국 중급인 S2(-7.18)와 한국 하급인 S3 (-7.48)의 순으로 한국 말차가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b'는 S5(일본 중)가 37.21, S6 (일본 하)가 35.47순으로 일본의 말차가 더 진한 황색-청색을 띠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의 말차의 색상이 더 푸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 일반성분 중 수분 함량은 $1.36{\sim}3.77%$로 P<.001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11.14{\sim}32.56%$의 분포로 한국산은 S1(상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일본산은 S6(하급)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P<.01의 유의차를 보였다. 지방은 $5.74{\sim}11.14%$의 분포로서 P<.05 수준의 많은 유의차로 나타났고, S1(한국 상)이 11.14%로 가장 높았고, 탄수화물도 $48.89{\sim}76.89%$의 분포로 S1(한국 상)이 60.88%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P<.001). 회분 $4.87{\sim}7.36%$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S4(7.36%), S6(6.84%), S5(6.76%)의 순으로 일본말차에 더 많은 함량을 나타내어 P<.001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무기성분은 Ca $157.69{\sim}279.29mg$의 함량으로 S3(279.29mg), S1(188.23mg), S2(180.52mg), S6(179,60mg)의 순으로서 S3(한국하), S1(한국상), S2(한국중)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한국 말차가 Ca 함량이 더 높았다. Mg의 경우는 시료 100g당 $346.63{\sim}590.03mg$로 S3(590.03mg), S4(530.00mg), S2는 346.63 mg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의 함량은 S4 (398.47mg), S5(373.90mg), S6(371.55mg), S2(355.40mg), S1(346.66mg), S3(237.38mg)의 순으로서 $237.38{\sim}398.47mg$의 분포를 보여 S4(일본 상), S5(일본 중)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Na은 $141.78{\sim}231.54mg/100g$로서 S2(231.54mg), S1(292.95mg), S5(191.31mg)로 의 순으로 한국산 말차에 함량이 높았고, K은 $1,357.70{\sim}2,716.12mg/100g$으로 S4(2,716.12mg), S5(2,254.20mg), S6(2,221.45mg), S1(2,148.16mg), S2(1,842.36mg), S3(1,357.70mg)의 순으로 일본산이 훨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Fe함량은 $17.60{\sim}24.34\;mg/100g$으로서 S6 (24.34mg), S5(21.43mg), S4(20.02mg), S2(19.98mg), S1(19.25mg), S3(17.60mg)으로서 S6(일본 하), S5(일본 중), S4(일본 상), S2(한국 중)의 순으로 일본산이 조금 높게 나타났다. 말차속의 무기질 함량 중 Ca과 Na은 한국산 말차가 더 많았고 Mg, P, K, Fe의 함량은 일본의 말차속에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말차의 모든 무기질함량은 P<.001의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불용성 물질(A.I.S.)은 한국산 $57.70{\sim}63.52g%$, 일본산 $56.59{\sim}59.51g%$의 분포로서 S3(63.52g%), S4(59.51g%), S5(58.84g%)의 순으로 거의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한국산에 조금 높았고, P<.05 수준의 유의차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산 말차의 경우 차 잎이 더 많이 자라 잎맥의 형성이 더 많이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첨가물질에 따른 도토리묵의 관능적${\cdot}$기계적 특성 (Sensory and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of Acorn Starch Mook with Additives)

  • 최미용;조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99호
    • /
    • pp.346-35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녹차와 백년초의 기능성을 살린 도토리묵을 실용화시키고 효과적인 배합비를 알아보기 위해 녹차와 백년초 분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도토리묵을 제조한 후 pH, 산도, 색도, 물성,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도토리묵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pH는 녹차와 백년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산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001). 색도는 녹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과 적색도(a)값은 유의적으로 점차 감소하여(p<0.001)고, 황색도(b)값은 유의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백년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값과 황색도(b)간은 유의적으로(p.0.001)감소하였고, 적색도(a)값은 증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 었다(p<0.001). 물성은 녹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 탄력성, 씹힘성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응집성은 증가하였다. 부서짐성의 경우 녹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 부서짐성, 탄력성, 씹힘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응집성의 경우 백년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조금의 차이는 있었지만 많은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관능검사는 녹차 분말 첨가 도토리묵의 경우 색상, 외관, 향미, 쓴맛은 G3(1.5%)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씹힘성의 경우 녹차 분말을 첨가한 것 보다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탄력성의 경우 녹차 분말이 첨가되면서 약간씩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견고성의 경우 녹차 분말이 첨가되면서 낮아졌으며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떫은맛의 경우 대조군이 녹차 분말 첨가군보다 높았으며, 전반적인 선호도의 경우 G3(1.5%)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년초 분말 첨가 도토리묵의 경우 색상은 0.5% 첨가한 O1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외관은 1.5% 첨가한 O3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향미와 신맛의 경우는 백년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했다(p<0.001). 씹힘성, 탄력성, 견고성의 경우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01), 떫은맛의 경우는 백년초 분말에 의한 신맛의 영향으로 1% 백년초 분말이 첨가된 O2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선호도는 0.5% 백년초 분말이 첨가된 O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녹차와 백년초의 기능성을 살린 도토리묵을 실용화시키는 효과적인 배합비는 녹차 분말 1.5% 첨가와 백년초 분말 첨가 0.5%가 바람직한 것으로 보이며 백년초 분말은 1%까지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도토리묵에 녹차와 백년초 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충분히 활용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국 전통음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I. 전통음료의 종류와 제조방법-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I. Types and Processing Methods-)

  • 이철호;김선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54
    • /
    • 1991
  • 우리나라 전통 음청류에 관한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8세기부터 1940년대까지의 기록으로부터 주류를 제외한 전통음료의 종류와 제조방법을 조사하였다. 옛 문헌에 기술된 음청류는 모두 70여가지로 집계되었으며 이들을 제조방법과 품질특성에 따라 순다류, 유사다류, 탕류, 장류, 숙수류, 미음류, 미식류, 식혜류, 수정과류, 화채류의 10가지로 분류하였다. 옛 문헌에서는 장(漿), 탕(湯), 청(淸), 다(茶)사이에 명확한 구분을 하고 있지 않았다. 밥을 유산균 발효시켜 물로 회석하여 만든 음료인 장(漿)은 신라, 고려시대에는 보편화된 음료로 보이나 오늘날에는 완전히 잊혀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의 음료는 18세기에 기술된 제조방법과 오늘의 제조방법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 PDF

녹차 분말 함유 쌀스펀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및 산화방지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sponge cake with added green tea powder)

  • 이민정;황은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54-36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녹차 분말을 쌀가루 중량의 1, 3, 5%로 첨가하여 쌀스펀지 케이크를 제조하고 품질특성, 산화방지 활성과 관능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녹차 분말을 첨가하지 않는 대조군에서 22.59%로 가장 낮았고, 녹차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의 범위는 23.82-25.48까지 증가하였다. 케이크의 외관에서는 대조군과 녹차 분말을 1-3% 첨가한 실험군에 비해 녹차 분말을 5% 첨가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부피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텍스처 측정 결과, 녹차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와 탄력성도 증가하였고, 부착성은 감소하였으며, 응집성, 씹힘성과 탄성은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녹차 분말 첨가의 쌀스펀지 케이크 외부 표면 색도 측정결과 $L^*$, $a^*$$b^*$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녹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내부색의 경우는 녹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은 감소하였고, $a^*$$b^*$값은 유의적 증가하였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산화방지 활성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을 통해 살펴본 항산화활성은 녹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관능평가인 색, 맛, 향기, 텍스처와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9점 만족도를 기준으로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기호도 측정결과, 쌀가루 중량의 1% 수준에서 첨가할 경우, 향에 대한 선호도는 대조군보다 높았고, 3% 수준에서 첨가할 경우는 질감 및 전체적인 선호도는 대조군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녹차가루 첨가 발효유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및 저장성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antioxidant activity and storage properties of fermented milk added with green tea powder)

  • 여수빈;여수환;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76-58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녹차가루의 첨가량을 0.5, 1, 2, 3%를 첨가한 발효유를 제조하고 이에 따른 품질특성, 항산화 활성 및 저장성을 평가하였다. 녹차가루를 첨가한 발효유에서 발효가 진행될수록 pH는 낮아졌으나 대조군에 비해 첨가군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적정산도 역시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나 녹차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정 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유산균 수는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 비해 적었으며 당도는 낮아졌다. 색도의 경우 녹차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과 a 값은 낮아졌고 b값은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FRAP에 대한 항산화활성은 녹차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가 완료된 발효유를 $4^{\circ}C$에서 30일간 저장한 결과, pH와 적정산도, 유산균 수 모두 적정 발효유의 범위 내에 속하였으며 색도는 녹차의 갈변에 의한 적색도 값이 증가하였으나 큰 변화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발효유 제조 시 녹차가루의 첨가는 발효유의 발효 및 품질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건강기능성을 향상시켜 새로운 기능성 발효유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기능성 엿제품 재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ufacturing Functional Malt Syrup)

  • 허윤행;정은자;방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8-73
    • /
    • 2007
  • 엿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이들의 제품에 클로렐라, 홍삼, 녹차, 알로에를 첨가하여 기능성 엿을 제조하고, 각 시료의 환원당, 색도 그리고 관능적 품질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도당은 대조구, 클로렐라, 홍삼, 녹차 및 알로에엿에서 7.39%, 7.35%, 7.25%, 8.87% 및 7.43%로 나타났고, maltose는 68.10%, 60.46%, 68.32%, 67.88% 및 70.46%로 나타났다. Maltotriose는 21.12%, 20.51%, 20.30%, 22.14% 및 21.72%로 나타났다. 색도는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구가 72.44였으며, 클로렐라, 홍삼, 녹차, 알로에는 각각 22.93, 23.34,23.56, 19.64였다. 적색도 a값은 대조구가 -1.55, 클로렐라, 홍삼, 녹차, 알로에는 각각 -1.77, -0.20, -0.40, -0.44였다. 그리고 황색도 b값은 대조구가 22.81, 클로렐라, 홍삼, 녹차, 알로에는 각각 8.72, 4.00, 6.57, 6.44였다. 관능은 순위검사 결과 홍삼을 첨가한 것(S3)이 관능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나 1% 유의수준에서 S3, 녹차첨가(S4) 및 알로에 첨가(S5)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루녹차가 유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Korean Fried Rice Cake))

  • 박재남;권석임;김종군;박진규;한인준;송범석;김재훈;변명우;이주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2
    • /
    • 2008
  • 본 연구는 유과의 저장안전성 및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가루녹차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가루녹차 첨가 유과의 품질 및 저장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가루녹차 1, 2, 3% 첨가량에 따른 수분 함량은 변화가 없었으며, 조지방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루녹차 첨가 유과의 기공크기와 팽화율은 가루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과의 경도는 2% 이상의 가루녹차 첨가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녹차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평가항복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얻었으나 1%의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 효과는 가루녹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들에 의해 1% 가루녹차의 첨가가 품질 및 저장성 향상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