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peach aphid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8초

5,6,8-Trichloro-2,4-di-trichloromethyl-benzo-1,3-dioxane의 合成과 殺충能에 관하여 (The Effects for insecticide and synthesis of 5,6,8-trichloro-2,4-di-trichloro methyl benzo-1,3-dioxane)

  • 이대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2-66
    • /
    • 1966
  • Chloral hydrate와 置換 benzene類의 縮合에 依한 殺蟲劑로는 1,1,1-trichloro-2,2-bis(p-chloro phenyl) ethane, 1,1,1-trichloro-2,2-bis(p-methoxy phenyl) ethane, 1,1-di chloro-2,2-bis(p-chloro phenyl) ethane 等 主로 bis compounds가 實用化되고 있다. 그러나 置換 phenol類에 있어서는 chloral hydrate의 mol 比를 높이면 dioxane型의 化合物이 生成되고 上記한 bis compounds처럼 殺蟲能을 가졌으리라고 豫測되므로 2,4,5-trichloro phenol과 chloral hydrate를 縮合하여 生成物의 構造를 檢討하였던바 5,6,8-trichloro-2,4-di-trichloro methyl-benzo-1,3-dioxane임을 確認하였으며 反應條件과 [귤응애] 및 [복숭아 흑진딧물]에 대한 殺蟲能을 檢討하였다.

  • PDF

테르펜계 유기인 화합물의 살충성 (Insecticidal Activity of Some Monoterpenoids)

  • 리영규;송철;경석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1호
    • /
    • pp.37-41
    • /
    • 2002
  • 7종의 monoterpene을 이용하여 phosphate, thiophosphate 및 carbamate를 합성하고, 이들 중 유기인계 화합물의 우리나라 주요 해충인 벼멸구(Nilaparvata lugens),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yura) 및 점박이응애(Tetraychus urticae)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500 mg/l 농도에서 carveol과 geraniol의 thiophosphate형은 벼멸구와 배추좀나방에 대하여 매우 좋은 살충효과를 보였는데 특히 carveol의 thiophosphate는 250 mg/l 농도에서도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은 100%였다. 한편 menthol, thymol 및 borneol의 경우는 phosphate형이 thiophosphate형보다 벼멸구와 점박이응애에 대해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Temperature and Culture Media Composition on Sporulation, Mycelial Growth, and Antifungal Activity of Isaria javanica pf185

  • Lee, Jang Hoon;Lee, Yong Seong;Kim, Young Cheol
    • 식물병연구
    • /
    • 제27권3호
    • /
    • pp.99-106
    • /
    • 2021
  • The fungal isolate Isaria javanica pf185 has potential as a mycopesticide because it demonstrates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the green peach aphid 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For commercialization of this isolate,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and least expensive culture conditions is required; however, these data are not currently available. This study describes the conditions for optimal development of conidia and production of metabolites for the biocontrol of the fungal pathogen.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were examined using cultures on solid agar and liquid media. High growth temperature enhanced spore formation but reduced antifungal activity in both solid and liquid media. The highest spore yield was obtained in a medium containing glucose as a carbon source and yeast extract as a nitrogen source. Soybean powder and wheat bran were effective nitrogen sources that promoted spore produc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the isolate. These results revealed the basic, cost-effective growth media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a biopesticide with insecticidal and antifungal properties for use in integrated pest management.

착색단고추 품종에 따른 복숭아혹진딧물의 발육특성 및 섭식행동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Feeding Behavior of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on Sweet Pepper (Capsicum annuum) Cultivars)

  • 윤규식;서미자;강민아;권혜리;박민우;조신혁;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57-265
    • /
    • 2011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착색단고추에 주로 피해를 주는 복숭아혹진딧물과 국내 전남지 역의 착색단고추 수출농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중 15품종을 선발하여 각각의 EPG 패턴과 섭식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생명표작성 조사를 통한 생태학적 연구를 통해 품종간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실질적인 섭식행동패턴인 체관부 섭식패턴과 구침을 빼고 있는 패턴의 시간과 빈도를 조사한 결과, Ferrari, Jinju, Debla, Rapido품종에서 체관부 섭식시간은 길고 구침을 빼고 있는 시간은 짧게 기록되었다. 반면에 Orobell, Thialf품종에서의 체관부 섭식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았으며 구침을 빼고 있는 시간은 높게 나타났다. 수명, 생식기간 및 산자수, 내적자연증가율을 확인하여 품종간 비교한 결과에서도, Ferrari, Debla, Orange glory Jinju품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urple, GreenAce, Orobell, Thialf품종은 낮게 나타났다. 두 실험결과를 토대로 실험에 이용한 15개 착색단고추 품종 중 복숭아혹진딧물이 선호하는 품종은 Ferrari, Jinju, Orange glory, Debla였으며, Purple, Orobell, Thialf품종은 선호하지 않는 품종으로 판단된다.

EPG를 이용한 복숭아혹진딧물 (Myzus persicae, Aphididae, Homoptera)의 기주 식물체별 조직내 섭식행동 (Feeding Behavior in the Plant Tissues with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Aphididae; Homoptera) Using EPG Technique)

  • 서미자;장진영;강은진;강명기;김남성;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71-276
    • /
    • 2005
  • 복숭아혹진딧물의 섭식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고추, 무, 배추, 가지, 참외 등 5종류의 기주식물에서 EPG기술을 이용하였다. 복숭아혹진딧물의 구침이 식물체 표면에 접촉된 후 전기적 연결이 일어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과 맨 처음 potential drop이 일어나기까지 소요된 시간, 구침의 세포간극내에서의 활동에 의하여 일어나는 potential drop의 수, 전기적 연결신호가 나타난 시점부터 체관부를 섭식하는 순간까지 소요된 시간 등을 조사한 결과 Potential drop 수에서는 기주들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나머지 요인에서는 기주식물들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참외나 배추보다는 고추, 무, 가지에서 즘 더 기주선호성과 관련된 섭식패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자 품종별 해충 발생 양상 (Occurrence Pattern of Insect Pests on Several Varieties of Potato)

  • 권민;박천수;함영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5-149
    • /
    • 1997
  • 우리나라에서 감자의 장려품종으로 지정된 7개 품종(남작, 수미, 대지, 세풍, 조풍, 남서, 대서)에 대한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강릉과 대관령 포장에서 살충제를 처리하지 않고 재배기간동안 해충종류 및 밀도를 조사하였다. 흡즙성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과 감자수염진딧물(Marcrosiphum euphorbiae Thomas)이, 잎을 가해하는 해충으로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유충이, 땅속으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땅속에서 괴경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청동방아벌레(Selatosomus puncticollis Mot.) 유충이 각각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품종별 진딧물 밀도는 대지, 남작, 세풍 품종에서 50엽당 평균 22.7, 30. 7, 32.3 마리로 낮은 반면, 수미와 남서 품종은 46.3와 42.3마리로 높았다. 파밤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엽은 세풍과 조풍 품종이 시험구당 평균 11.0과 14.3엽으로 적었고, 대지와 남서 품종이 153.3과 134.7엽으로 많았다. 정동방아벌레 유충에 의한 괴경피해율은 남작, 수미, 대지, 조풍 품종이 8.1, 10.3, 13.9, 14.0%로 낮았으나, 남서와 세풍 품정은 50.5%, 46.8%로 매우 높았다.

  • PDF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제 저항성(抵抗性)에 관한 연구(硏究) III. Acephate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 및 Esterase Isozymes (Studies of Insecticide Resistance in Green Peach Aphids, Myzus persicae(Sulz) III. Acephate Resistance, Cross-Resistance, and Esterase Isozymes)

  • 최승윤;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9-105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실내(室內)에서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을 OP계(系) 살충제 acephate로 누대도태(累代淘汰)시켜 저항성(抵抗性) 발달속도(發達速度)와 정도(程度), 다른 살충제와의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 유무(有無), 나아가 그들 계통(系統)에서 esterase isozyme을 검출(檢出)하여 살충제) 저항성(抵抗性)과의 관계를 검토(檢討)코자 하였다. 1. 복숭아혹진딧물의 acephate 저항성(抵抗性) 발달(發達) 속도(速度)는 5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1.0{\sim}1.6$배(倍), 10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2.2{\sim}2.8$배(倍), 15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3.5{\sim}5.1$배(倍), 20세대(世代) 도태(淘汰)에서 $6.7{\sim}9.3$배(倍)로 증대(增大)되었다. 2. Acephate 20세대(世代) 도태저항성(淘汰抵抗性) 계통(系統)은 24시간(時間) 조사(調査)에서는 acephate자체(自體)에 대하여 31.7배(倍), cypermethrin에 대해서는 507.3배(倍), oxydometon-methyl에 대해서는 49.7배(倍), pirimicarb에 대해서는 7.5배(倍)이었고 48시간((時間) 조사(調査)에서는 acephate 자체(自體)에 대하여 32.0배(倍), cypermetherin에 대하여 475.6배(倍), oxydemeton-methyl에 대하여 21.5배(倍), pirimicarb에 대(對)하여 8.9배(倍)이었다. 3. Acephate 저항성(抵抗性) 계통(系統)은 cypermethrin과 oxydemeton-methyl에 대하여 높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을 나타내었고 pirimicarb에 대해서는 낮은 교차저항성(交叉抵抗性)을 나타내었다. 4. Esterase isozyme의 영동대(泳動帶)에 있어서 $Est\;{\alpha}-1,\;Est\;{\alpha}-2,\;{\beta}-1$는 저항성(抵抗性), 감수성(感受性) 두 계통(系統) 모두에서 검출(檢出)되었으나 $Est\;{\beta}-2$는 acephate 저항성(抵抗性) 계통(系統)에서만 검출(檢出)되었다.

  • PDF

진딧물 기생봉 목화면충좀벌과 진디면충좀벌의 기주와 온도에 따른 생물학적 특성 비교 (The Effect of Temperatures on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 Aphid Parasitoids Aphelinus asychis (Walker) and Aphelinus varipes (Förster) (Hymenoptera: Aphelinidae) on Two Aphid Hosts)

  • 강은진;변영웅;김정환;최만영;최용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97-403
    • /
    • 2012
  • 진딧물 기생봉인 목화면충좀벌과 진디면충좀벌의 기주를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로 하여 15, 20, 25, $30^{\circ}C$에서 사육하면서 기주섭식수, 기생수, 우화율, 성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목화진딧물이 기주일 때 $15^{\circ}C$, $25^{\circ}C$에서 목화면충좀벌의 기주섭식수(5.4, 9.7마리)가 진디면충좀벌(2.0, 2.9마리)보다 많았으며 복숭아혹진딧물이 기주일 때 2종 기생봉 간 기주섭식수의 차이는 없었다. 목화진딧물에 기생한 목화면충좀벌의 기생수가 $15^{\circ}C$에서 11.1마리, $30^{\circ}C$에서 21마리로 진디면충좀벌의 기생수(7, 12.3마리)보다 많았으며 복숭아혹진딧물에 기생시켰을 때는 $20^{\circ}C$$25^{\circ}C$에서 목화면충좀벌의 기생수(12.1, 17.1마리)가 진디면충좀벌(6.1, 10마리)보다 더 많았다. 목화진딧물을 기주로 했을 때 $30^{\circ}C$에서 목화면충좀벌의 우화율(83.3%)이 진디면충좀벌(69.4%)보다 높았으며 복숭아혹진딧물에서는 우화율 차이가 없었다. 목화진딧물에서 사육했을 때 진디면충좀벌의 암컷비율이 $15^{\circ}C$에서 75.2%, $30^{\circ}C$에서 73.9%로 목화면충좀벌의 암컷비율(19.5, 48.6%)보다 높았으며 복숭아혹진딧물에서 사육했을 때는 목화면충좀벌의 암컷비율이 $15^{\circ}C$에서 65.3%, $25^{\circ}C$에서 90.0%여서 진디면충좀벌의 암컷비율(34.4, 78.8%)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목화진딧물에서 2종 기생봉간 산란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의 차이는 없었고 복숭아혹진딧물에서는 $20^{\circ}C$에서 목화면충좀벌의 발육기간(19.9일)이 진디면충좀벌(16.5일)보다 길었다.

그라디오러스에 발생하는 BYMV와 CMV에 관한 연구 (Bean Yellow Mosaic Virus and Cucumber Mosaic Virus Causing Mosaic Disease on Gladiolus in Korea)

  • 이순형;김정수;최용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8-202
    • /
    • 1983
  • 그라디오러스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을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 이 병율이 $43.3\%$이었다. BYMV는 명아주에 엽맥괴사병징, 강남콩에 심한 모자익 병징 그리고 잠두에 모자익 병길을 일으켰다. CMV는 명아주에 국부병반, 담배와 오이에 모자익 병징을 일으켰다. 분류 동정된 두 바이러스는 모두 복숭아 혹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었다. 바이러스를 순화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두 바이러스 모두 260nm에서 최고의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한천내확산법을 이용한 항혈청과의 반응 결과 SDS를 처리한 BYMY와 CMV는 각각 그 바이러스의 항혈청과 뚜렷한 반응대를 형성하였다. 바이러스 입자의 진자현미경검경 과파 BYMV는 길이가 750nm였으며, CMV는 직경이 30nm이었다.

  • PDF

생물적 방제인자로서의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 I. 포식행동과 포식력 (The Asian Ladybird, Harmonia axyridis, as Biological Control Agents: I. Predacious Behavior and Feeding Ability)

  • 서미자;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9-71
    • /
    • 2000
  • 무당벌레(Harmonia axyridis)의 기본적인 행동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무당벌레는 먹이인 진딧물을 탐색할 때에 주로 작은턱수염을 이용하여 접촉감각에 의한 기주탐색을 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무당벌레가 복숭아혹진딧물을 공격하게 되면 공격받은 진딧물 주위의 다른 복숭아혹진딧물은 근처의 잎으로 이동하거나 아래로 떨어져 도망하는 방어기작이 관찰되었다. 무당벌레가 먹이탐색을 위하여 이동하는 시간과 먹이를 잡고 섭식하는 시간은 무당벌레의 발육단계에 따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무당벌레의 포식력을 조사한 결과 1일 평균 복숭아혹 진딧물은 약 120마리, 목화진딧물은 약 257마리를 섭식하였다. 오이 잎과 토마토 잎에 산란된 온실가루이 알은 무당벌레 3령충의 먹이로 제공하였을 경우 오이 잎에서는 2,420개, 토마토 잎에서는 2,750개의 알을 섭식하였으나, 진딧물을 제공한 무당벌레 유충과는 달리 정상적인 발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