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manure crop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4초

중부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춘파용 두과 녹비작물 선발 (Evaluation of Legume Green Manure Crops for Spring-Sowing in the Central Regions of Korea)

  • 조현숙;전원태;성기영;김민태;이종기;김충국;정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33-338
    • /
    • 2010
  • 최근 친환경농업과 화학비료의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하여 녹비작물의 재배면적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중부지역에서 동계 월동이 가능한 녹비작물은 헤어리베치, 알팔파로 그 종류가 적어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녹바작물의 이용확대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녹비작물을 선발하고자 봄에 두과녹비작물 8종을 밭토양에 파종하여 녹비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비작물의 수량은 크림손클로버에서 ha당 생체중으로 23.6 ton, 건물중으로 4.16 ton이 생산되어 가장 많았고, 레드클로버, 루피너스, 자운영, 알팔파 순이었다. 또한 녹비수량은 모든 두과녹비작물에서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작물별 질소 함량은 헤어리베치에서 kg당 41.3 g으로 가장 높았고 자운영, 네마장황, 화이트클로버, 레드클로버, 알팔파 순으로 32.2, 29.5, 29.2, 25.8 및 24.2 g이었다. 인산 함량은 알팔파(4.3 g $kg^{-1}$)와 크림손클로버 (4.2 g $kg^{-1}$)에서 높았고, 자운영, 레드클로버, 헤어리베치, 루피너스 순이었다. 칼리함량은 크림손클로버에서 35.9g $kg^{-1}$로 가장 많았고 레드클로버, 알팔파, 헤어리베치 순이었다. C/N율은 녹비작물 8종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C/N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5 미만이었다. 두과녹비작물별 질소생산량은 녹비작물 8종 모두 수확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여 6월 19일에 가장 많았으며 작물별로는 크림손클로버에서 ha당 71 kg이 생산되어 가장 많았고, 자운영 (51 kg), 레드클로버 (46 kg), 헤어리베치 (41 kg) 순이었다. 따라서 녹비작물의 건물수량과 C/N율, 질소 생산량을 기준으로 볼 때 수원지역에서 봄에 파종하여 녹비로 이용 가능한 두과녹비작물은 크림손클로버, 자운영, 레드클로버, 헤어리베치가 우수하였다.

Nitrogen Use and Yield of Silage Corn as Affected by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Soil-incorporated at Different Time in Spring

  • Seo, Jong-Ho;Lee, Ho-Jin;Hur, Il-Bong;Kim, Si-Ju;Kim, Chung-Guk;Jo, Hyeon-Suk;Lee, Jung-Sam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2-275
    • /
    • 2000
  • Winter green manure crops including legume increase grain yield of subsequent crop and substitute N fertilizer requirement with organic-No Hairy vetch grows vigorously and can provide N-rich green manure for corn with its soil incorporation after wintering. But, grain yield of corn as succeeding crop would be reduced if its planting time is delayed until late spring.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the proper incorporation time of hairy vetch green manure and planting time of subsequent corn in cropping system with winter hairy vetch(green manure)-summer corn. Hairy vetch was incorporated into soil at a ten-day interval between April 10 and May 10 and corn was planted at 5 days after each hairy vetch incorporation. Soil nitrate concentration on April 10 and 20 in hairy vetch plot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at winter fallow. Above-ground dry matter and organic-N of hairy vetch increased linearly with delayed hairy vetch incorporation time from April 10 to May 10. Average dry matter and organic-N produced by hairy vetch were 5.7 ton/ha and 248 kgN/ha, respectively. Corn growth and yield decreased as delayed corn planting time after May in spite of increasing dry matter and N-yield of hairy vetch. Nitrogen concentration of corn grain, stalk and whole plant at harvest were the highest in May 5 planting, but total N-uptake of May 5 planting were not different from that of April 25 planting because of lower grain yield.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per incorporation time of hairy vetch and corn planting time were April 20 and April 25, respectively, because grain yield was the highest and corn could use hairy vetch-N effectively to produce dry matter.

  • PDF

녹비작물 토양환원이 백수오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Growth and Quality in Cynanchum wilfordii Hemsley)

  • 윤철구;김기현;김인재;홍성택;홍의연;김영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5-120
    • /
    • 2017
  • Background: The study aimed to obtain data on the effects of cultivation and soil reduction of green manure crop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organically cultivated Cynanchum wilfordii Hemsley. Methods and Results: The experiment comprised four treatments: control, hairy vetch, barley, and hairy vetch + barley (3 : 2). The plant height in the hairy vetch treatment (86.3 c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the other treatments, whereas the stem diameter leaf area, and special product analysis division (SPAD) value did not differ across the treatments. The largest soil reduction of green manure crop was recorded in the barley treatment (440 kg/10 a), whereas the smallest was recorded in the single treatment with hairy vetch (80 kg/10 a). The hairy vetch + barley (60 : 40) treatment showed 63% more soil microorganisms than contro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stimation revealed tha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1,740 mg/kg), and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was 92.6% in the barley treatment.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ctivation was highest in the control (51.1%), and the root yield was the highest in the barley treatment (310 kg/10 a). Conclusions: The root yield,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ey increased in presence of the green manure crop barley.

Variation of γ-Oryzanol by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in Korean Rice Cultivars

  • Kim, Heon-Woong;Lee, Sung-Hyeon;Lee, Young-Min;Jang, Hwan-Hee;Hwang, Kyung-A;Cho, Hyun-Suk;Lee, Jeong-Tae;Jeon, Weon-Tai;Kim, Jung-B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75-283
    • /
    • 2014
  • The ${\gamma}$-oryzanol, ferulic acid esters, which are well-known for their function on cholesterol lowering and prevention of inflammation, diabetes and cancer, are found in the seeds of cereal crops such as rice, corn, wheat and rye. Among them, rice has been reported to contain the highest ferulic acid esters. Since rice cultivation with green manure as a N source is an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quantify as well as evaluate the variations in these compounds in rice samples as affected by different green manure conditions. A total of ten components of ${\gamma}$-oryzanol were isolated and cycloartenyl ferulate, 24-methylenecycloartanyl ferulate, campesteryl ferulate and sitosteryl ferulate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components in Korean rice cultivars, 'Unkwang' and 'Hopum'. Comparing the ${\gamma}$-oryzanol contents of these varieties, 'Unkwang' showed clearly similar pattern with conventional type. With the PLS-DA (partial least squares of discriminant analysis) using SIMCA 11.0 ver., the specific pattern and cluster of ${\gamma}$-oryzanol scores with green manure conditions were confirmed, and thus distinguishing green manure effects were possible.

호밀녹비 이용 시 중질소($^{15}N$)를 이용한 질소원 유래별 콩의 집적질소 분획추정 (Estimation of Soybean N Fraction Derived from N Sources by $^{15}N$ in Soybean Cultivation with Rye as Green Manure)

  • 서종호;이성희;조영손;이재은;이충근;권영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0-57
    • /
    • 2008
  • 월동 후 녹비용 호밀에 시용한 질소가 콩의 질소고정 및 흡수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하여, 2004년 온실 및 2005년 포장에서 포트시험을 통해 시비질소량별 토양, 호밀 및 콩의 질소회수율을 조사하였다. 1. 2004년 온실폿트 시험에서는 호밀에 시용한 질소비료 량이 증가할수록 호밀지상부가 토양에서보다 질소비료로부터 질소를 흡수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호밀이 없는 조건에서는 논흙이 밭흙보다 콩의 건물 중 및 질소흡수량이 현저히 증가하였는데, 지력이 높았던 논흙에서는 밭흙에 비해 콩이 질소고정 유래 질소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토양유래 질소의 비율이 높았다. 2. 밭흙에서 무녹비와 대비하였을 때 호밀녹비 이용 시의 콩 시비질소회수율은 낮았지만 토양의 시비질소회수율(질소유기화)이 높아 전체회수율은 높았으며, 또 호밀녹비 이용시 콩의 시비질소회수율은 호밀에 대한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3. 2004년 온실포트 실험에서의 콩의 근류고정유래의 질소비율은 약 $92{\sim}95%$로 2005년 포장포트에서의 $82{\sim}84%$보다 약 10% 정도 높았으며, 콩의 근류고정유래 질소량 및 질소량 분획 추정에서는 2년 모두 Difference method와 $^{15}N$ method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가림하우스 동계 녹비작물의 경운과 무경운이 고추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and No-tillage of Winter Green Manure Crops on Yield of Red Pepper in Plastic Film House)

  • 원종건;장길수;황지은;권오훈;권태영;조정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18-23
    • /
    • 2012
  • 본시험은 고추 연작으로 인해 염류가 집적되고 병충해가 빈번히 발생되는 고추 비가림하우스내 동계 녹비작물이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 친환경 고추재배 비가림하우스에서 우리나라에서 겨울철에 월동 가능한 자생콩과 녹비작물을 중심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다섯가지 녹비작물인 재배완두, 새완두, 살갈퀴,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가을에 파종하여 이듬해 봄에 녹비작물을 경운과 무경운 상태에서 고추를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계 녹비작물의 경운 유무에 따른 건물량은 경운에서 ha 당 8.3 ton이었고, 무경운재배에서는 7.0 ton이었다. 녹비작물별 건물량은 경운 무경운 동일하게 호밀에서 16.6, 14.6 ton으로 가장 많았고, 콩과 녹비작물에서는 살갈퀴가 6.6, 5.7 ton으로 양호하였다. 식물체내 질소 함유량은 살갈퀴와 새완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ha당 질소 공급량은 경운에서 살갈퀴가 226 kg, 호밀이 251 kg이었으며, 무경운재배시 살갈퀴는 197, 호밀은 222 kg이었다. 녹비작물의 경운과 무경운재배에 따른 고추 수량에서 주당 수확과수는 경운재배에서 55.5개로 무경운의 37개보다 18.5개가 더 많아 수량은 7.5 ton으로 무경운에 비해 약 67% 증수되었다. 경운과 무경운에서 공히 녹비작물별 고추의 수량은 질소질 비교의 공급량이 많았던 살갈퀴에서 현저히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수 재배 시 풋거름작물 이용이 토양특성 변화와 수수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Manure on Soil Properties and Grain Yield of Sorghum (Sorghum bicolor Moench))

  • 김성국;정건호;신성휴;김민태;김충국;심강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290-296
    • /
    • 2016
  • 본 시험은 풋거름작물인 헤어리베치, 풋거름보리, 그리고 헤어리베치와 보리를 혼파 재배한 다음 토양에 환원하고 수수를 이식하여 재배하였다. 풋거름작물이 수수 재배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수수의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풋거름작물을 통한 질소공급량은 헤어리베치+보리 혼파구에서 ha당 145 kg이었으며, 헤어리베치 단파구는 81 kg, 풋거름보리 단파구는 74 kg이었다. 풋거름작물을 이용하여 수수를 재배할 경우 토양 산도(pH)가 높아지고 치환성 양이온 함량과 총질소 함량도 증가하여 토양의 화학성이 개선되었다. 또한 풋거름작물을 이용하여 수수를 재배할 경우 토양내 총탄소 함량이 증가하여 향후 농업부분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수수 생육단계별 엽색도는 헤어리베치+보리 혼파구에서 가장 높았고 헤어리베치 단파구에서 가장 낮았다. 수수의 종실 수량구성요소인 주당립중은 헤어리베치+보리 혼파구에서 가장 무거웠고 천립중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수량은 10a당 헤어리베치+보리 혼파구에서 평균 427 kg, 헤어리베치와 풋거름보리 단파구에서 379 kg이 생산되어 화학비료를 시용한 관행구 369 kg 보다는 높았다. 따라서 화학비료를 시용하지 않고 헤어리베치+보리 혼파재배로 친환경으로 수수를 재배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녹비작물과 돈분액비의 혼용재배가 벼 생육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ixed Cultivation with Green Manure Crops and Liquid Pig Manure on Rice Growth)

  • 강세원;서동철;한종학;서영진;이상규;최익원;전원태;강위금;허종수;조주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95-1102
    • /
    • 2011
  • 본 실험은 화학비료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녹비작물(자운영, 라이그라스)과 돈분액비 혼용이 벼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녹비작물의 biomass 생산량은 자운영 (site 1)의 경우 APLM 100 처리구에서 $182kg\;10a^{-1}$으로 가장 많았고, 라이그라스 (site 2)의 경우 LPLM 100 처리구에서 $978kg\;10a^{-1}$으로 가장 많았다. Site 1 및 2에서 녹비작물의 유무와 돈분액비 투입량에 따른 수확기 벼의 부위별 T-N, T-P, $K_2O$, CaO, MgO 및 $SiO_2$ 함량은 전반적으로 큰 차이 없이 비슷한 경향이었다. Site 1 및 2에서 수확기 토양의 OM, T-N 및 Avail. $P_2O_5$ 함량은 공시토양의 OM, T-N 및 Avail. $P_2O_5$ 함량에 비해 약간 증가하였으며, 처리별 무기성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돈분액비 투입량이 증가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수확기 벼의 1,000립중은 site 1 및 2에서 각각 APLM 100 및 LPLM 100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수확기 벼의 수량은 site 1의 경우 APLM 100 처리구에서 $636kg\;10a^{-1}$로 control 처리구에 비해 약 10%가 증수되었고, site 2의 경우 LPLM 100 처리구에서 $775kg\;10a^{-1}$으로 control 처리구에 비해 약 12%가 증수되었다. 따라서 녹비작물과 돈분액비의 혼용재배는 벼의 증수효과가 우수하여 화학비료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fluence of Upland Soil Texture on Dry Weight and Growth of Yellow Mustard as a Landscape and Green Manure Crop

  • Cho, Hyeoun-Suk;Seo, Myung-Chul;Park, Tea-Seon;Kim, Jun-Hwan;Sang, Wan-gyu;Shin, Pyeong;Lee, Geon-Hw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77-682
    • /
    • 2015
  • Although it is not a landscape crop according to MIFAFF(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yellow mustard is considered a superb landscape crop because of its growth and flower characteristics. We sowed yellow mustard as a landscape and green manure crop in upland soil (four types of soil texture) in spring. And we studied its flowering characteristics, dry weight, and nitrogen yield. The growths of yellow mustard were possible in every soil ranging from sandy soil to clay loam. Its height was 54.1 ~ 76.1cm and the number of node per hill was 11.3 ~ 17.0. Its flowers had a light yellow. It took about 44 ~ 50 days to flower, and flowered for 22~25 days. The dry weight of yellow mustard was $2.27{\sim}3.60tonha^{-1}$ with highest in sandy loam and loam. Among the nutrients of yellow mustard, nitrogen(T-N) was $12.6{\sim}20.8gkg^{-1}$, and C/N ratio was 21.6~37.7. The nitrogen yield of yellow mustard was $35{\sim}62kgha^{-1}$. In conclusion, because of its flowering characteristics and dry weight, yellow mustard was considered appropriate for both green manure and landscape crop u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