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Yield

검색결과 860건 처리시간 0.031초

경북에서 도입 콤먼베치 및 자생종의 생육특성과 수량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Introduced Common Vetch (Vicia sativa) Cultivars and Korean Wild Common Vetch in Kyeongbuk)

  • 신정남;고기환;김종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7-122
    • /
    • 2013
  • 본 시험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2모작 작부체계에 알맞은 다수성이며 조숙성인 콤먼베치의 품종을 선발 할 목적으로 헤어리베치 Cold green, 콤먼베치 Maxivesa, Wild common, Rasina, Morava 및 Blanchefleur의 생육특성, 건물수량 및 사초품질을 평가하였다. 시험설계는 품종을 처리로한 6처리 3반복의 난괴법으로 배치하였다. 파종은 2010년 10월 11일과 2011년 10월 3일에 하였으며 수확은 2011년 5월 4일과 2012년 5월 10일에 실시하였다. 가을의 초형은 Wild common은 부복형이었으며 다른 품종들은 반직립형이었다. 유식물의 활력은 다른 품종들에 비해 Wild common이 다소 낮았다. 내한성은 Cold green과 Wild common이 우수했으나 다른 콤먼베치 품종들은 낮았다. 개화기는 Cold green이 4월 22일로 가장 빨랐으며 Wild common은 4월 26일 Rasina와 Blanchefleur가 4월 28일이었으며 Maxivesa가 5월 17일이었다. 1년차 시험에서 건물수량은 Cold green은 다른 5품종보다 수량이 높았으며 (p<0.05), Wild common은 나머지 4품종보다 많았으며 (p<0.05), Maxivesa와 Blanchefleur는 Rasina와 Morava보다 높았다 (p<0.05). 2년차 시험에서도 건물수량은 Cold green은 다른 5품종 보다 높았으며 (p<0.05), Wild common은 다른 4품종보다 높았다 (p<0.05). 일반적으로 베치의 CP 함량은 높았고 섬유소함량은 낮았다. 가을 파종 콤먼베치의 품종은 개화기가 빠르며 내한성이 강한 Wild common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헤어리베치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Changes of Green Manure and Nitrogen Yield of Hairy Vetch According to Seeding Date in Autumn)

  • 서종호;이호진;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400-404
    • /
    • 2000
  • 헤어리베치의 추계 파종시기별 이듬해 4월 하순의 녹비량 및 녹비질소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첫째 1996년 및 1997전 파종기 9월 10일, 10월 1일 및 10월 20일에 각각 파종량 10, 20, 30 및 40kg/ha의 처리를 두어 이듬해 1997년 및 1998년의 5월 1일에 각각 수확하였고, 둘째 1999년의 8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5회에 걸쳐 파종하고 이듬해 4월 22일, 4월 27일, 5월 2일의 3회에 걸쳐 수확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7년 및 1998년 5월 1일 수확시 헤어리베치의 질소함량은 4% 내외, 2000년 수확시는 3.5% 내외를 나타내었는데 파종이 빠를수록 수확시 질소함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헤어리베치의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녹비의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2년 모두 파종량 30 kg/ha와 40 kg/ha간에 차이가 없어 적정 파종량은 30 kg/ha로 생각되었다. 적정 파종량에서 녹비건물중 이 9월 10일 파종은 5.5-7 ton/ha, 10월 1일 파종은 4-4.5ton/ha, 順월 20일 파종은 1.3-2.2 ton/ha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는데, 특히 파종기 10월 이후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녹비의 질소량은 녹비건물중과 거의 비례하였는데 지상부에 포함된 질소량(파종량 30-40 kg/ha)은 9월 10, 10월 1일 및 10월 20일 파종이 각각 220-280, 160-180, 60-100 kg/ha로 파종기의 지연에 따라 뚜렷이 감소하였다. 2000년의 4월 하순 수확에서는 8월 20일, 8월 31일, 9월 10일과 9월 20일 및 9월 30일 파종이 각각 7-8, 6-7, 4-5 및 2-3 ton/ha의 녹비건물중을 나타내어 파종이 8월 하순이 9월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녹비질소량 역시 8월 20일, 8월 31일, 9월 10일과 9월 20일 및 9월 30일 파종이 각각 240-290, 200-260, 150-220 및 70-120 kg/ha 나타내어 8월 하순 파종이 9월 파종에 비해 증가하였다.

  • PDF

Assessment of Sustainable Production on Paddy Field Treated with Green Manure Crops Using Sustainability Index

  • Kim, Kwang Seop;Kim, Sook-Jin;Park, Ki Do;Lee, Choon-Woo;Ryu, Jin-Hee;Choi, Jong-Seo;Jeon, Weon-Tai;Kang, Hang-Won;Kim, Min-T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65-171
    • /
    • 2014
  • Assessment of sustainable production on a cropland can help to determine the most proper management practic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sustainable production on paddy field treated with green manure crops using sustainability index which based on nutrient index, microbiological index, and crop index related to nutrient-supplying capacity. Especially choosing appropriate indicators from a minimum data set (MDS) were used the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SI-2) as well as expert opinion (SI-1) usually used in sustainability index. Six treatments including the two tillage treatments and two green manure crops were investigated as follows; (i) moldrotary + rotary tillage without green manure crop (Con), with (ii) hairy vetch (Con-HV), and (iii) hairy vetch + green barely (Con-HV+GB), (iv) rotary tillage without green manure crop (Rot), with (ii) hairy vetch (Rot-HV), and (iii) hairy vetch + green barly (Rot-HV+GB). Con-HV and Rot-HV in SI-1 were maintained sustainability while Rot-HV and Rot-HV+GB in SI-2. Especially, treatments (Con and Rot) without green manure crops were more unsustainable than with green manure crops because of the low value of microbiological and crop index than with green manure crops. Meanwhile, sustainability indices and grain yield had the high correlation values ($R^2=0.756$ and 0.928 in SI-1 and SI-2, respectively). These results meant that application of green manure crops such as hairy vetch could improve both yield and soil quality in paddy.

Relating Hyperspectral Image Bands and Vegetation Indices to Corn and Soybean Yield

  • Jang Gab-Sue;Sudduth Kenneth A.;Hong Suk-Young;Kitchen Newell R.;Palm Harlan 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3-197
    • /
    • 2006
  • Combinations of visible and near-infrared (NIR) bands in an image are widely used for estimating vegetation vigor and productivity. Using this approach to understand within-field grain crop variability could allow pre-harvest estimates of yield, and might enable mapping of yield variations without use of a combine yield monit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within-field variations in crop yield using vegetation indices derived from hyperspectral images. Hyperspectral images were acquired using an aerial sensor on multiple dates during the 2003 and 2004 cropping seasons for corn and soybean fields in central Missouri. Vegetation indices, including intensity normalized red (NR), intensity normalized green (NG),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green NDVI (gNDVI), and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SAVI), were derived from the images using wavelengths from 440 nm to 850 nm, with bands selected using an iterative procedure. Accuracy of yield estimation models based on these vegetation indices was assessed by comparison with combine yield monitor data. In 2003, late-season NG provided the best estimation of both corn $(r^2\;=\;0.632)$ and soybean $(r^2\;=\;0.467)$ yields.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multiple hyperspectral bands was also used to estimate yield, and explained similar amounts of yield variation. Corn yield variability was better modeled than was soybean yield variability. Remote sensing was better able to estimate yields in the 2003 season when crop growth was limited by water availability, especially on drought-prone portions of the fields. In 2004, when timely rains during the growing season provided adequate moisture across entire fields and yield variability was less, remote sensing estimates of yield were much poorer $(r^2<0.3)$.

간척지에서 사료용 피 품종들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Comparison of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Millet Varieties in the Reclaimed Tidelands)

  • 신재순;김원호;이승헌;신하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15-220
    • /
    • 2006
  • 본 시험은 제주도에서 재배되고 있는 제주재래 등 총 6품종을 공시하여 피 품종 간의 생초 및 건물수량과 사료가치 등을 조사 분석하여 간척지에서 최적 사료용 피 품종 선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에 소재한 대호간척지에서 1년간 수행하였다. 출현율은 겸용인 Summer green 품종이 95.0%로 가장 높았다. 생초 및 건물수량은 Summer green 품종ol 각각 21,444kg/ha와 5,296.5kg/ha으로 가장 높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Shirohie(18.22%) 품종이 가장 높았다. TDN 함량은 Siberian 품종이 가장 높았으며 Panorama 품종이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간척지 토양에서 사료용 피 재배 시 출현률, 생초 및 건물생산성 그리고 사료가치 등을 종합하여 고려할 때 겸용인 Summer green 품종이 가장 우수하였다.

Effect of Incorporation Levels of Green Manure Crops on Rice Yield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 Kang, Se-Won;Seo, Dong-Cheol;Cho, Ju-Si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87-194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ice yield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ffected by incorporation levels of green barley (GB) and hairy vetch (HV). The GB and HV were applied to the pots at 500, 1,000, 1,500, and $2,000kg\;10^{-1}$ (GB500, GB1000, GB1500, GB2000, HV500, HV1000, HV1500, and HV2000, respectively), and inorganic fertilizer ($N-P-K=9-4.5-5.7kg\;10a^{-1}$) treatment as control. After rice harvesting, chemical properties of soil such as pH, OM, T-N, and available $P_2O_5$ in GB and HV treated treatments were improved over those in Control treatment. The rice yield ranged from 433 to $512kg\;10a^{-1}$ for GB treatments and 490 to $532kg\;10a^{-1}$ for HV treatments, indicating that rice yield was affected by incorporation levels of GB and HV. The rice yields in GB2000, HV1000, HV1500 and HV2000 treatments increased by 3.3, 3.1, 6.4 and 7.4%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respectively. Therefore, minimum incorporation level of GB and HV for increasing rice yield was $2,000kg\;10a^{-1}$ of GB and $1,000kg\;10a^{-1}$ of HV.

Established marginal seeding period for green cotyledon black soybean (Seoritae) cultivation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 Yun, Geon-Sig;Hwang, Se-Gu;Hong, Seong-TaeK;Hong, Eui-Yon;Kim, Hong-Si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05-305
    • /
    • 2017
  • Seoritae with green cotyledons refers to Korean native black beans harvested when the frost falls because the maturity is late. It is one of the beans preferred by consumers because of its softness and high sugar content. Because of late maturity, if the agricultural work is delayed by weather or agricultural schedule in green cotyledon black soybean (Seoritae), it affects seriously harvest and yield of soybea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rginal seeding period on June 30, July 10 and July 20 in Cheongju and Jecheon area in Korea to produce stable soybean yield. The yields of green cotyledon black soybean as seeding date in Cheongju area are as follows: Seolitae (Yeoncheon), Seoltae (Goesan) and Seoritae (Gogseong), which increased by 23%, 56%, 23% and 40%, respectively, compare to July 10th to June 30th. As soybean sowing is delayed, the quality of soybean seeds has de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immature seeds and fungal damaged seeds. The contents of anthocyanin in Cheongju area a functional substance of soybeans, was high on July 20 for Heukcheong, on June 30 for Seolitae (Yeoncheon), on July 10 for Seoritae (Goesan). The yields of Heukcheong and Seolitae (Yeoncheon) in Jecheon area were increased by 5% and 17%, respectively, compare to July 10th to June 30th, while Seolite (Goesan) and Seolite (Gogseong) were high in yields on June 30th. Similarly in Cheongju area, as the sowing period is delayed, the number of immature and mold damaged seeds in Jecheon area increased. The contents of anthocyanin in Jecheon area was high on July 10 for Heukcheong, on June 30 for Seolitae (Yeoncheon) and Seolitae (Goesan). From the above results, Sowing marginal date of green cotyledon black soybeans (Seolitae) in Cheongju area increased 30% in sowing on July 10 and increased 2% in sowing on July 20 compared to June 30. And Sowing marginal date of green cotyledon black soybeans (Seolitae) in Jecheon area increased 2% in July 10 compared to June 30, and the yield decreased rapidly on July 20. We have identified the seeding time limit of green cotyledon black bean in Chungbuk provinc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a variety of crop selection after double cropping of farmers. And by knowing the yield and seed quality of soybean according to sowing date, farmers will observe appropriate sowing period of soybeans for high quality. From the viewpoint of consumers, functional substances of Seoritae will meet the desire for health.

  • PDF

풋거름작물의 토양환원이 수박의 생육 및 토양의 질산염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corporation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Growth of Watermelonand Soil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 임태준;박진면;이성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8-33
    • /
    • 2018
  • 수박 휴작기에 풋거름 작물로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재배한 후 토양으로의 환원이 후작물 수박의 생육과 수량 그리고 토양의 질산태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파종 후 151일간 재배한 후에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토양 질소 환원량은 각각 79 kg/ha와 88 kg/ha였다. 헤어리베치와 호밀은 시설하우스 한 동씩 두 동의 면적에 풋거름 작물구, 풋거름작물에 요소 25%, 50%, 75% 처리구, 요소 100% 등 5처리를 각각 두었다. 수박의 생육은 각각의 헤어리베치 및 호밀 처리에서 동일한 생육을 나타냈고 수박의 수량에서도 처리간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토양의 질산태 질소함량은 수박 정식 후 재배일수가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정식 후 75일째에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는데 호밀처리구는 호밀만 투입만 처리가 52 mg/kg으로 가장 낮았고, 헤어리베치 처리간 비교에서도 마찬가지로 헤어리베치만 공급한 처리가 가장 낮은 44 mg/kg이었다. 헤어리베치와 호밀 등 녹비작물만의 투입으로도 수박의 재배기간 동안에 토양의 질산태 질소가 40 mg/kg 이상으로 존재하여 화학비료의 추가적인 시비 없이도 동일한 생육을 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수박의 수량과 재배기간에의 토양 중 질산태질소와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가림하우스 동계 녹비작물의 경운과 무경운이 고추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and No-tillage of Winter Green Manure Crops on Yield of Red Pepper in Plastic Film House)

  • 원종건;장길수;황지은;권오훈;권태영;조정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18-23
    • /
    • 2012
  • 본시험은 고추 연작으로 인해 염류가 집적되고 병충해가 빈번히 발생되는 고추 비가림하우스내 동계 녹비작물이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 친환경 고추재배 비가림하우스에서 우리나라에서 겨울철에 월동 가능한 자생콩과 녹비작물을 중심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다섯가지 녹비작물인 재배완두, 새완두, 살갈퀴,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가을에 파종하여 이듬해 봄에 녹비작물을 경운과 무경운 상태에서 고추를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계 녹비작물의 경운 유무에 따른 건물량은 경운에서 ha 당 8.3 ton이었고, 무경운재배에서는 7.0 ton이었다. 녹비작물별 건물량은 경운 무경운 동일하게 호밀에서 16.6, 14.6 ton으로 가장 많았고, 콩과 녹비작물에서는 살갈퀴가 6.6, 5.7 ton으로 양호하였다. 식물체내 질소 함유량은 살갈퀴와 새완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ha당 질소 공급량은 경운에서 살갈퀴가 226 kg, 호밀이 251 kg이었으며, 무경운재배시 살갈퀴는 197, 호밀은 222 kg이었다. 녹비작물의 경운과 무경운재배에 따른 고추 수량에서 주당 수확과수는 경운재배에서 55.5개로 무경운의 37개보다 18.5개가 더 많아 수량은 7.5 ton으로 무경운에 비해 약 67% 증수되었다. 경운과 무경운에서 공히 녹비작물별 고추의 수량은 질소질 비교의 공급량이 많았던 살갈퀴에서 현저히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산화탄소 유체를 이용한 녹차의 용매 추출물의 래디칼 소거 기능 (Effect of Free Radical Scavenging from Green Tea Extraction using Carbon Dioxide Fluid)

  • 강옥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936-941
    • /
    • 2005
  • 녹차 잎을 건조 분말하여 래디칼 소거기능을 추출하는 공정으로 순환 이산화탄소유체추출기를 활용할 때의 추출 최적조건을 구하였다. 건조한 녹차 잎의 분말사이즈는 80/100 mesh로 하고, 추출 압력과 온도를 각각 125 kgf 및 $25^{\circ}C$로 12시간 추출한 경우 가장 추출효율이 좋았다. 또한 용매를 열수추출과 에탄을 농도 를 달리한 추출 방법으로 나누어 래디칼 소거기능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95\%$농도에서 추출한 경우 가장 효율이 높았으며, 온도는 $100^{\circ}C$로 30분 추출이 최적 조건이었다. 각 추출 방법에 따른 추출 수율과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이산화탄소유체를 이용한 녹차 래디칼 소거기능 추출 공정이 열수나 에탄올에 비하여 각각 2.8배 및 1.87배 수율이 높았으며, 안정성 실험에서도 활성의 소실이 거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