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Space Network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초

지구환경보전을 위한 도시설계의 전개에 관한 연구 -건축가 피터 칼솝프의 어바니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 Design and Preservation of the Earth Environment -Focused on Peter Calthorpe's Urbanism-)

  • 곽동화;권영상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95-10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to grasp Peter Calthorpe's urbanism through the process that is compared with various developments of urban design field for the preservation of global environment. From this study, Peter Calthorpe's urbanism for global environment is comprehended according to design stages. As a design goal, He seeks a green urbanism that puts emphasis on land use and transportation. As a urban planning, he devises urban footprint for the tool of evaluation and urban planning, and proposes five place types toward mixed-use development, and advocates Transect for eco-friendly land use. As a urban design, he devises urban network model for transportation network based on accessibility, and devises TOD and TOC model for preventing urban sprawl and mitigating carbon emissions, and advocates TND model for pedestrian-friendly space and community life. He makes importance of urban design. Because he thinks that integrative solution is required to global environment and urban design of integrative characteristic is suitable to preserve glob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type classification of urbanism for the preservation of global environment and grasping purposes, method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s. Second, grasping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of Peter Calthorpe's urbanism as a green urbanism. Third, propos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our urban planning and design.

Assessing Spatial Disparities and Spatial-Temporal Dynamic of Urban Green Spaces: a Case Study of City of Chicago

  • Yang, Byungyu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87-496
    • /
    • 2020
  • This study introduces how GIS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re used to assess spatial disparities in urban green spaces in the Chicago. Green spaces provide us with a variety of benefits, namely environmental, economic, and physical benefi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socioeconomic relationships between green spaces and their surrounding communities and to evaluate spatial disparities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such as health-related, socioeconomic,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spatial statistics, such as optimized hotspot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space-time cluster analysis, which enable conclusions to be drawn from the geographic data. In particular, 12 variables within the three factors are used to assess spatial disparities in the benefits of the use of green spaces. Finally, the variables are standardized to rank the community areas and identify where the most vulnerable community areas or parks are. To evaluate the benefits given to the community areas, this study used the z- and composite scores, which are compared in the three different combinations. After identifying the most vulnerable community area, crime data is used to spatially understand when and where crimes occur near the parks selected. This work contributes to the work of urban planners who need to spatially evaluate community areas in considering the benefits of the uses of green spaces.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른 생태네트워크 변화 분석: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Analysis of Ecological Network According to Invalidation of Decision on Urban Parks: Focused on Busan)

  • 강정은;최희선;황희수;이상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618-634
    • /
    • 2018
  • 본 연구는 2020년 장기미집행 도시공원의 자동실효(이하 도시공원 일몰)로 인한 생태네트워크 측면에서의 영향을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도시공원 일몰과 관련하여 가능한 5개의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각 시나리오별 생태네트워크 변화를 FRAGSTATS의 경관지수들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일몰 예정 공원에 대해 전체 개발을 가정하는 시나리오 1은 해당 공원들의 전체 보전을 가정한 시나리오 5에 비해 녹지면적이 7,339.75ha가 감소하고, 생태공간의 파편화도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내부종 서식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심지 비중도 8.06%이상 감소되며, 녹지 간 연결성도 28.23% 이상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원 내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보전하는 것을 가정하는 시나리오 3은 시나리오 5(전체 대상지 보전)의 94% 지역에 대한 보전이 가능하며, 연결성 측면에서는 95.6% 이상 보완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생태지역 파편화 측면에서도 공원예정지 전체를 조성하는 것과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일몰 예정 공원에서도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보전하는 것은 생태네트워크 측면에서 효과가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 지자체에서 이들 보전지역을 중심으로 우선 해제를 시행하고 있는데, 이들 지역은 개발의 수준이 낮다고 해도 산발적 개발가능성이 높으므로 현재 추진 중인 우선 해제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도시정원 도입을 위한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 네트워크 구축 가능성 평가 (Feasibility of Green Network in a Highly-dense Urbanized Area by Introducing Urban Gardens)

  • 최희준;이정아;손희정;조동길;송영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2-26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들의 경관생태학적 특성과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잠재적인 녹지패치들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생활권 내 녹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정원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공원 서비스 소외지역 및 중점녹화지구로 분류된 역삼동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우선, 대상지 일대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의 현황을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5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 녹지 네트워크 분석 및 잠재적 녹지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FRAGSTATS를 통한 경관지수 분석 및 다중버퍼생성분석을 통한 연결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 내 녹지면적은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녹지의 유형별 특징으로는 가로녹지의 경우 핵심지역면적(TCA)이 $1,618m^2$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선형 연결 녹지임에도 공원($1,128m^2$)에 상응하는 크기를 보였고, 개인정원의 경우 패치의 모양이 불규칙하면서도(ED=78.1m/ha), 최근린 평균거리가 33.9m로 낮아 사유지내에서의 자유로운 정원조성을 통해 고밀 시가화지역의 녹지군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자투리공지의 경우 대상지 내 가장 고루 분포하는(LPI=5.7%, SHEI=0.9) 녹지유형이나 외부교란에 노출되어 있어($TCA=66m^2$), 이를 고려한 정원으로의 활용방안을 시사하였다. 대상지 내 녹지네트워크 형성에 있어서도 50m의 버퍼 범위를 연결녹지로 상정한 경우 전체 대상지의 84%가 소규모 녹지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투리공지의 연결만으로도(27%) 가로녹지(26%) 조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구축효과가 기대되었다. 이에, 주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자투리 공공녹지에 지역기반의 커뮤니티 가든 등 도시정원 조성을 장려하고, 가로녹지, 개인정원, 옥상정원도 동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고밀 시가화지역 내에 녹지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지역거점공공병원의 지속가능한 외부공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ustainable Outdoor Space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 윤은지;임영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7-25
    • /
    • 2017
  • Purpose: Since hospitals have a big impact on the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hospitals' sustainability must be considered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al aspects. So far, research on sustainable hospitals has mainly been conducted on indoor environment, but outdoor space of hospital is as important as we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ustainability of hospital outdoor space and to make proposals for improving sustainable regional public hospitals. Methods: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sustainable outdoor space of hospital was defined. Also, the evaluation contents of outdoor space were extracted from domestic and foreig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With this analytic frame, we visited 4 regional public hospitals in Korea, interviewed the facility managers, and analyzed sustainability of hospital outdoor space. Results: Analysis of 4 regional public hospitals reveals that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sustainability in all 4 categories; urban and network, natural environment, community, and user. In terms of community, sustainability has rarely been applied to all four hospitals. The site selection and terrain of the site were essential to sustainability. Implications: Establishing a master plan considering future expansion is critical. Also more attempt to show regional characteristics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omprehensive outdoor space that considers sustainability and also healing environment. Level difference in the site can be used as a design element.

컬러 시각을 이용한 사람 손의 검출 (Human Hand Detection Using Color Vision)

  • 김준엽;도용태
    • 센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3
    • /
    • 2012
  • The visual sensing of human hands plays an important part in many man-machine interaction/interface systems. Most existing visionbased hand detection techniques depend on the color cues of human skin. The RGB color image from a vision sensor is often transformed to another color space as a preprocessing of hand detection because the color space transformation is assumed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However, the actual effect of color space transformation has not been well investigated in literature. This paper discusse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pixel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hand skin detection in four widely used color spaces; RGB, YIQ, HSV, and normalized rgb.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using the normalized red-green color values is the most reliable under different backgrounds, lighting conditions, individuals, and hand postures. The nonlinear classification of pixel colors by the use of a multilayer neural network is also proposed to improve the detection accuracy.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활밀착형 치유정원 연관키워드 분석 (An Analysis of Keywords Related to Neighborhood Healing Gardens Using Big Data)

  • 황지루이;이애란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2호
    • /
    • pp.81-90
    • /
    • 2022
  • 본 연구는 도심내 정신건강의 녹색치유공간의 사회적 필요성에 기인하여 생활밀착형 정원에 대한 현 시대의 사회적 인식요소 분석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빅데이터 툴 중 덱스톰을 활용하여 웹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을 진행하여 키워드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해 요소의 추출과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치유공간과 치유환경은 도시 내부인 생활밀착의 공간 안에 친화적 건강 환경을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생활밀착은 시설뿐 아니라 생활문화와 도시환경을 연동하여 국가와 지방행정, 시민이 참여하는 사업과 활동을 담고 있으며 생활밀착형 정원은 녹색복지와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내실화되고 있다. 결론으로 정신건강에 유익하고 친근한 생활권의 공익형 정원은 긍정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치유 환경으로서의 녹색인프라이다.

보행접근성 분석에 기반한 근린공원의 공원서비스 평가 - 성남시 분당구를 대상으로 - (Evaluation of Park Service in Neighborhood Parks based on the Analysis of Walking Accessibility - Focused on Bundang-gu, Seongnam-si -)

  • 황해권;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9-70
    • /
    • 2024
  •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공원녹지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공원녹지는 도시 내에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옥외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어 중요한 공간이다. 공원서비스 권역은 거리를 기반으로 어느 범위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척도이다. 이 과정에서 접근성이라는 개념은 중요하게 작용하며 특히 보행은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이동수단으로서 공원 이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공원서비스 권역 분석은 소외지역을 발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수혜지역에 대한 세부적인 평가는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접근성을 바탕으로 공원서비스 권역을 평가하고자 한다. 공원서비스는 이용자가 직접 공원을 방문함으로써 발생하는 서비스로서 접근성이 이용 가능성으로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보행네트워크의 정량화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통합도 값을 바탕으로 보행접근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합도 값은 보행네트워크의 접근성 정도를 수치화하여 보여주는 지표로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도 값이 높을수록 공원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당구의 공원서비스 권역은 43%를 차지하고 있으며, 보행접근성이 높은 구간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지만 일부 보행접근성이 좋은 구간은 제외되어 있다. 이는 도시계획 과정에서 주거지역과 상업 및 업무 지역이 우선적으로 지정되고 그 후에 공원녹지 지역이 선정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분당구를 기준으로 공원서비스 권역 및 공원서비스 권역 내 보행접근성을 법정동별로 분류하였다. 개별 법정동 별로 차이가 나타나며, 이에 따른 공원에 대한 이용 가능성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같은 도시계획 과정에서 만들어진 지역이라도 보행접근성에 따른 공원서비스 권역의 평가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활용하여 생활권 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개별 동 단위의 평가가 가능하며 추후 이를 반영한 공원녹지 정책에서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뉴스초점 - 조경(造景)의 이해 (What is 'Landscape Architecture'?)

  • 김윤제
    • 기술사
    • /
    • 제45권1호
    • /
    • pp.49-53
    • /
    • 2012
  • It has been a common misconception that landscape architecture is a gardening, landscape gardening or planting. However, landscape architecture is entirely different from gardening, landscape gardening and planting when it comes to professional category. Landscape architecture is a interdisciplinary science to improve a quality of citizen's life through analysing social culture, psychological configuration, aesthetic characteristic and integrating them in human society. Today's landscape architecture is a interdisciplinary technology including ecological and artistic value to create most of outdoor space used by human through preserving nature and enhancing the environment. The field has been changed constantly in the flow of the period and social development as providing green network system, recreation area,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city.

  • PDF

I. 주거지 외부공간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아동의 외부활동 행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Outdoor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Children by the Physical Character of Outdoor Space of Housing Area in Daegu)

  • 김묘정;김수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69-17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guidelines for housing area that consider the children's outdoor behavior. This study was complemented the limit of study method of the previous studies limiting the subject to play space in APT. So, this study was progressed the analyzation of physical characters of outdoor spaces, the observation of children's activities behavior, and the survey of children's opinion and satisfaction. Especially, 2 objective housing area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the deferent areas. The deferents were the structure of street, the location shape of parks, and the physical characters(accessibility, network etc.). Finally, founding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7 guidelines of housing area for children were presented : play space, park & green space, space of around the education facilities, space of around the commercial facilities, street space, square, and parking lot. This study have means that expand the objective range and use the variety study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