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een Coverag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4초

위성영상과 토지피복도를 활용한 녹피율 산정방법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Methods on the Ratio of Green Coverage Using Satellite Images and Land Cover Maps)

  • 문창순;심준영;김상범;이시영
    • 농촌계획
    • /
    • 제16권4호
    • /
    • pp.53-60
    • /
    • 2010
  •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attributes and limitations of each method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verified analysis results, so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lect an efficient method that may be applied to assess the green coverage ratio. Green coverage areas of each sites subject to this study were assessed utilizing the following four methods. First, assessment of green coverage area through direct planimetry of satellite images. Second, assessment of green coverage area using land cover map. Third, assessment of green coverage area utilizing the band value in satellite images. Forth, assessment of green coverage area using and land cover map and reference materials. For this study, four urban zones of the City of Seosan in Chungcheongnam-do. As a result, this study show that the best calculation method is the one that combines the merits of first and second methods.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suitable for application in research sites of middle size and above. It is also deem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apply this method in researches of wide area, such as setting up master plans for parks and green zones established by each local self-government organizations.

황해 부유 녹조 면적 산출을 위한 멀티 위성센서 활용 (Application of Multi-satellite Sensors to Estimate the Green-tide Area)

  • 김근용;신지선;유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2호
    • /
    • pp.339-349
    • /
    • 2018
  • 황해 녹조 대발생은 2008년 이후 매년 여름 대규모로 발생하고 있으며, 인공위성 분석을 통해 녹조 규모를 추정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녹조 면적 산출을 위한 위성영상 선택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의 공간해상도에 따른 녹조 면적 산출 결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녹조 면적 산출에 적합한 위성영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이용한 위성영상은 Landsat ETM+, MODIS, GOCI로 영상의 공간해상도는 각각 30, 250, 500 m 이다. NDVI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녹조 픽셀을 분류하였고, 임계값에 따른 녹조 면적 산출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Linear Spectral Unmixing(LSU) 기법을 이용하여 한 픽셀 내에 녹조가 차지하는 비율을 추정하였고, 녹조 비율의 차이가 면적 계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NDVI 알고리즘을 이용한 녹조 면적 산출 결과, 공간해상도가 낮을수록 녹조 면적이 과대추정되는 경향을 보였고, 최대 1.5배 차이를 보였다. 또한, LSU 분석 결과에서 픽셀 내의 녹조 비율이 0.1(10%) 미만인 픽셀이 대부분이었고, 0.5(50%) 이상 녹조 비중을 차지하는 픽셀은 세 타입의 영상 모두에서 약 2% 수준으로 극히 적었다. 즉, NDVI 분석 결과에서 녹조로 분류된 픽셀의 경우 한 픽셀의 공간을 녹조가 100% 채우고 있지 않더라도 모두 동일 면적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실제보다 과대추정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이러한 현상은 공간해상도 차이에 의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무인 항공영상을 이용한 심층학습 기반 녹피율 산정 (Derivation of Green Coverage Ratio Based on Deep Learning Using MAV and UAV Aerial Images)

  • 한승연;이임평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757-1766
    • /
    • 2021
  • 녹피율은 행정구역면적 대비 녹지가 피복된 면적의 비율로, 실질적인 도시녹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녹피율은 토지피복지도를 기반하여 산출되는데, 토지피복지도의 낮은 공간해상도와 일정하지 않은 제작시기는 정확한 녹피율 산출과 정밀한 녹피분석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녹피율 산출방안으로 항공영상과 심층학습을 활용한 방안을 제안한다. 항공영상은 높은 해상도와 비교적 일정한 주기로 정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심층 학습은 항공영상 내 녹지를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다. 지자체는 매년 다양한 목적을 위해 유인항공영상을 취득하여 이를 활용해 신속하게 녹피율을 산출한다. 하지만 미리 취득된 유인항공영상은 취득 시기와 해상도, 센서와 같은 세부사항을 선택할 수 없어 정밀한 분석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다양한 센서의 탑재가 가능하고 낮은 고도의 비행으로 인해 고해상도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보완될 수 있다. 이에 두 가지 항공영상으로부터 녹피율을 산출하였고 그 결과, 모든 녹지 유형으로 부터 높은 정확도로 녹피율을 산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유인항공영상으로부터 산출된 녹피율은 복잡한 환경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고자 활용한 무인항공영상은 복잡한 환경에서도 높은 정확도의 녹피율을 산출할 수 있었고 추가밴드 영상을 통해 더 정밀한 녹지 영역 탐지가 가능했다. 추후 기존 유인항공영상에 새로 취득한 무인항공영상을 보완적으로 사용해 녹피율을 효과적으로 산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도시공원의 기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emperature of Urban Parks)

  • 윤용한;송태갑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9-4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emperature of urban parks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 coverage in open space as well as the forest condition and decreasing city temperature by difference of purposed are. Futhermore, this research interpre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ind direction, air temperature, the land coverage of the green space, the number of tree, green volume, height of tree and the mitigation of city temperature with the revolu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cool air in open space move leeward and decreasing city temperature is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of the land coverage in open space. Specifically, in order of the arbo $r_{-a}$rbor in the forest zone,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rees was related with temperature surrounding significantly. This study found that the use possibility of the green volume was recognized as the index of the green volume relative to air temperature surrounding. Green space of the city control area is more effective decreasing temperature than that of housing zone.

  • PDF

경량형 옥상녹화에 따른 열부하 저감 잠재성 연구 (Reduction Potential for Thermal Load by Extensive Green Roofs)

  • 김연미;남미아;장대희;김현수;김현옥
    • KIEAE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67-77
    • /
    • 2013
  • Based on the increasing demand for a solution to reduce thermal load, extensive green roofs have great opportunity for application to existing roofs due to their light-weight and easy maintenance. The present study delivers data regarding thermal behavior and heat reduction potential in relation to vegetation coverage between green roof types. 1) In the hottest hour in a day, green roofs showed considerable potential to mitigate heat load in roof environments, which can be up to $10^{\circ}C$ difference. 2) Compared to conventional cement roofs, the extensive green roofs only have a slight potential to cool the air over green roofs. By statistical analysis of linear regression, green coverage has little to do with the reduction of air temperature; the cooling effect was proven only in nighttime. 3) Green roofs act as an insulating roof membrane, the inner substrate of green roofs remained cooler than cement roof surfaces in the daytime, but in the nighttime the green roofs generally were warmer than the cement roof surfaces. 4) The variable of vegetation coverage resulted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rmal behavior in the air, but had the greatest effect in keeping the substrate cool in the daytime. The high vegetation coverage also hindered the rapid cooling of the substrate in the nighttime, and therefore was warmer than other measured temperatures. In order to draw a clear conclusion to combat urban heat island effect with extensive green roofs, the experiment needs to be applied on a larger scale.

녹지의 규모와 기온저감효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cale of Green Spaces and Decreasing Air Temperature)

  • 윤용한;배병호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10-19
    • /
    • 2002
  • 녹지의 규모와 녹지내외의 기온저감효과와의 관련성을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규모가 서로 다른 4개의 녹지를 대상으로 기온분포를 관측하였다. 그 데이터를 근거로 녹지내외의 기온분포, 녹지주변의 기온저감효과와 그 영향범위, 녹지내의 기온저감효과와 그 강도 및 토지피복비율과 기온, 그리고 녹지의 규모와 기온저감효과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 등에 의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 토지피복현황의 차이가 기온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았다. 풍상과 풍하쪽의 기온저감효과의 영향범위를 비교하면, 풍하쪽에는 저온역이 형성되었고, 그 효과는 녹지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기온저감효과의 영향범위가 확대되었다. 더욱이 녹지내외의 기온저감효과는 녹지의 규모와 거의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녹지 조건에 따른 최고기온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Maximum Temperature Condition in Green Space)

  • 윤용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81-186
    • /
    • 2001
  • 본 연구는 토지피복현황과 수림형태 등이 다양한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기온저감효과와의 관련성을 파악한 결과 아래와 같은 효과가 실증되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녹지 내의 토지피복현황과 기온분포, 토지피복비율 및 녹적량과 기온 저감효과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 등에 의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 포장면과 나지 주변에서는 고온역이, 수림지와 수면 주변에서는 저온역이 형성되었다. 특히, 교목+소교목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구역과 수림으로 둘러싸인 수면, 소하천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기온이었다. 또한, 저온을 형성하는 메커니즘은 토지피복비율(수림지, 초지, 수면)등이고, 그 토지피복의 종류와 비율에 따라 기온저감효과가 서로 달랐다. 더욱이 녹정량과 기온과의 관계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고, 그 효과는 교목, 소교목, 관목의 순이다.

  • PDF

도시녹지가 미기상조절에 미치는 실증적 연구 (Positive Study of How Green Zones in the City Effect the Relief of Micro-Climate Control)

  • 윤용한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279-286
    • /
    • 2004
  • 본 연구는 토지피복현황과 수림의 층위구조 등이 다양한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미기상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정성 및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녹지내의 기온 및 습도를 관측하였다.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녹지내의 토지피복 현황과 그 비율, 녹적량과 기온 및 습도와의 관련성을 회귀분석 등에 의해 해석하였다. 그 결과 고온역은 포장면과 나지 주변에서, 저온역은 수림지 및 수면 주변에서 형성되었다. 또한, 수림(교목+소교목)으로 둘러싸인 수면, 소하천 주변에도 저온을 나타냈다. 습도는 기온분포에 거의 대응하는 형태로 고온역이 저습역이고, 저온역이 고습역으로 나타났다. 녹지가 미기상조절효과를 갖는 메커니즘은 토지피복비율의 종류,그 비율의 차이에 따라 미기상조절효과의 정도가 서로 달랐다. 더욱이 각 녹적량의 증가는 수고에 관계없이 모두 기온은 떨어뜨리고 습도는 상승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그 효과의 효율은 교목, 소교목, 관목의 순이다. 지금까지의 실증결과로부터 고온완화에는 수림지, 수면,초지의 순으로, 그 비율을 증가해서 배치하면 효과가 커지고, 같은 방법으로 습도의 상승에는 수면, 수림지, 초지의 순으로 그 비율을 증가해서 배치하면 효과가 높아진다. 그 효율성을 고려하면 수면, 소하천을 핵으로 그 주변은 교목 중심의 수림이 좋고, 그 층위구조는 단층림보다는 2∼3층의 혼효림이 미기상조절에 미치는 효과가 크다.

대도시 외곽지역 논경작지의 토지이용 및 피복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모형 연구 (A Study on Temperature Change Profiles by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of Paddy Fields in Metropolitan Areas)

  • 기경석;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27
    • /
    • 2009
  • 본 연구는 도시미기후 측면에서 냉섬 역할을 하는 논경작지의 대규모 택지개발로 인한 도시기온 변화량를 분석하여 논경작지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도시온도 상승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천시 부평구와 부천시의 개발 전 후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1989년 5월 17일과 2000년 5월 7일 위성영상을 산림, 초지 및 식재지, 논경작지, 나지, 시가화 지역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기존 인천시 부평구와 부천시 중앙에 넓게 분포하고 있던 논경작지 대부분이 신도시 건설로 인해 시가화 지역과 개발 중인 나지로 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지피복변화 유형별 지표면 온도 변화 현황 분석 결과, 지표면 온도가 높아진 주요 유형은 논경작지에서 나지로 변화된 유형($+1.4939^{\circ}C$), 논경작지에서 시가화 지역으로 변화된 유형($0.9356^{\circ}C$)이었다. 논경작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논경작지 변화지역을 대상으로 블록별 평균 지표면 온도차를 분석한 결과, 1989년 세부 연구대상지는 논경작지였기 때문에 $19{\sim}20^{\circ}C$ 사이의 균일한 온도분포를 나타낸 반면, 시가화 지역으로 변한 2000년 블록별 지표면 온도는 $19.1{\sim}23.9^{\circ}C$로 온도편차가 크고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논경작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도시기온 변화 원인 분석을 위해 지표면 온도 변화량과 도시기온 변화 영향요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녹지율 상관계수는 -0.662로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건폐율, 불투수포장율, 용적율은 지표면 온도 변화량과 상관계수가 +0.231, +0.226, +0.123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논경작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지표면 온도 변화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녹지율을 독립변수로 지표면 온도 변화량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 논경작지에서 시가화 지역으로 변화할 경우 녹지율 및 불투수포장율이 0%라 가정할 때 $+3.889^{\circ}C$의 온도 상승이 예상되며 녹지율이 10% 증가할 때마다 $+3.889^{\circ}C$에서 $-0.430^{\circ}C$ 만큼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 조건에 따른 기온변화 (Air Temperature Variation by Effect of Green Space Condition)

  • 윤용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8-33
    • /
    • 2003
  • In this study, we observed air temperature to make clear that land coverage condition and stand form has a certain relationship to air temperature during the night in various green space. And with revolution analysis, we interpreted relationship of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green space, The way of analysis is this land coverage rate and air temperature, of number of tree volume of tree air temperature. With this experimental result, we can propose green plan, which is taking into consideration lower effect of air temperature. In this result, lower zone is formed in forest and water area, higher zone is formed in paved surface and barren ground. but this gap is a little. arbor+subarbor area, in the point of water area surrounded stand is formed relative lower air temperature. As a result to make up efficiency lower air temperature area, it is needed to make water area which has surrounded forest, and it is needed to make stand form lower air temperature 2~3 layer forest. In order of arbor, subarbor, shrub, the lower air temperature is more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