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quality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3초

무농약 산머루 즙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eng added with Pesticide Free Wild Grape (Vitis amurensis) Juice)

  • 강창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01-30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농약 산머루 즙의 양을 각각 50 g, 100 g, 150 g, 200 g 수준으로 다르게 첨가하여 양갱을 제조하고 색도, 당도, 기계적 조직감,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무농약 산머루 양갱의 색도는 명도(L)값과 황색도(b)값이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반대로 적색도(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당도는 대조군이 2.31 Brix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가 점차 높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기계적 조직감은 무농약 산머루 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 등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색, 향, 맛 등의 전체적 선호도에서 무농약 산머루 즙 150 g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Effect of Replacing Pork Fat with Vegetable Oils on Quality Properties of Emulsion-type Pork Sausages

  • Lee, Hyun-Jin;Jung, Eun-Hee;Lee, Sang-Hwa;Kim, Jong-Hee;Lee, Jae-Joon;Choi, Yang-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0-136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properties of emulsion-type pork sausages when pork fat is replaced with vegetable oil mixtures during processing. Pork sausages were processed under six treatment conditions: T1 (20% pork fat), T2 (10% pork fat + 2% grape seed oil + 4% olive oil + 4% canola oil), T3 (4% grape seed oil + 16% canola oil), T4 (4% grape seed oil + 4% olive oil + 12% canola oil), T5 (4% grape seed oil + 8% olive oil + 8% canola oil), and T6 (4% grape seed oil + 12% olive oil + 4% canola oil). Proximat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the moisture, protein, and fat content among the emulsion-type pork sausages. Furthermore, replacement with vegetable oil mixtur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sh content (p<0.05), increased water-holding capacity in emulsion-type pork sausages. Also, cholesterol content in T6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2 (p<0.05). I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hardness and chewiness of emulsion-type pork sausages were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by vegetable oil mixtures replacement. On the contrary,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in the T4 group were similar to those of group T1.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emulsion-type pork sausages was increased by vegetable oil mixtures replacement. Replacement of pork fat with mixed vegetable oils had no negative effect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emulsion-type pork sausages, and due to its reduced saturated fatty acid composition, the product ha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y meat products desired by consumers.

펙틴을 이용한 과즙젤리의 질감특성과 기호도 연구 (A Study of Textural Properties and Preferences of Fruit Pectin Jelly)

  • 최지영;송은승;정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59-266
    • /
    • 1994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ape variety, pH and sugar contents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grape pectin jelly. As a gelling agent, pectin 1% was selected due to highest sensory scores in preparatory experiments and also nutritional and economical reasons. To get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grape extract, moisture, pH, reducing sugar, and total titratable acidity was measured. Grape pectin jellies, made by 12 different recipies, were tested by sensory and instrumental evaluato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ardness and chewiness were lowered in grape jelly which has lower pH and lower sugar contents. 2) People preferred grape jelly which has lower hardness, brittleness and sweetness, and higher sourness. 3) Comparing overall quality, Recipe C1 in Jelly 1 and recipe B1 in Jelly 2 were chosen as best. 4) Sensory hard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strumental hardness, brittleness and chewiness.

  • PDF

A Study of the Physicochemical,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arm Produced and Commercially Produced Grape Juice in the Korean Market

  • Cabrera, Shirley Gutierrez;Moon, Kwang-Deo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40-746
    • /
    • 2007
  • Fruit juices such as grape juice are associated with healthy products by consumers because of the many health benefits they provide. Farm produced (FPGJ) and commercially produced grape juice (CPGJ) in South Korea were compared and studi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ir physicochemical,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PGJ'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re more varied than CPGJ. The pH, titratable acidity, and total soluble solids of FPGJ were higher than CPGJ. FPGJ had a higher mean value for total phenolics ($2,558.20{\pm}50.06\;mg/L$ GAE), total flavonoid ($3,236.80{\pm}56.11\;mg/L$), total anthocyanin ($559.88{\pm}3.51\;mg/L$),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86.48%) than CPGJ, although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only with regard to total flavonoid and total anthocyanin.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CPGJ is preferred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These properties may be used as a basis for the optimization of processing to produce a higher quality grape juice.

고품질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강화 조건 확립 (Establishment of Tannin Enhancement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High Quality Wild Grape Wine)

  • 박미화;이정옥;김은정;김종원;이효형;김희훈;이상인;김영훈;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21-926
    • /
    • 2008
  • 국내산 산머루 와인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성 인자인 tannin 성분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고 tannin이 강화된 산머루 와인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머루 와인용 tannin을 강화하기 위한 최적 tannin 추출 조건은 녹차를 $40^{\circ}C$에서 주정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높은 추출율을 나타내었다. 고품질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 제조를 위한 tannin 첨가 최적 농도는 6.5 mg/mL이며 산머루 와인 발효 전에 첨가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생각되어 산머루 와인 제조 시 발효 전 최종 tannin 농도를 6.5 mg/mL로 조절하여 발효하였다. 최적 발효 조건으로 제조된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의 pH, 산도, 알코올 함량, 총당, polyphenol, tannin 및 resveratrol 함량을 측정하고 수입 와인 3종과 품질 특성을 비교한 결과, tannin 강화 산머루 와인은 pH $3.69{\pm}0.01$, 산도 $0.96{\pm}0.01%$, 알코올 함량 $12.20{\pm}0.01%$, 총당 $60.00{\pm}1.15\;mg/mL$, polyphenol 함량 $79.50{\pm}0.55\;mg/mL$, tannin 함량 $7.40{\pm}0.05\;mg/mL$ 및 resveratrol 함량 $5.00{\pm}0.11\;mg/mL$로 기능성 물질 함량이 매우 높아 품질이 우수하고 단맛, 떫은맛과 산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이 균형을 이룬 산머루 와인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조건으로 tannin을 추출하여 산머루 와인의 tannin을 강화함으로써 기존의 산머루 와인에 비해 단맛과 떫은맛이 강화되었으며, 머루 자체의 강한 신맛과 잘 어우러 져 고급 와인의 평가 기준이 되는 단맛, 떫은맛, 신맛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룬 고품질의 산머루 와인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포도씨추출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머핀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Muffin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Grape Seed Extract)

  • 주신윤;최민희;정해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7-27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functional muffin in which grape seed extract(GSE) was added at 0, 0.5, 1 or 2% levels an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volume of muffin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GSE conten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weight and height of muffin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GSE content. The incorporation of GSE in the product lowered lightness (L value) and increased redness(a value). The mechanical texture parameters including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GSE levels. Sensory analysis showed that muffin prepared with 0.5% GSE was considered to be as acceptable as control, based on hedonic scale ratings given by untrained taste panel.

산머루주 제조를 위한 발효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Wild Grape Wine)

  • 김성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24-37
    • /
    • 2008
  • 산머루 발효주 제조를 위하여 산머루에 자생하고 있는 발효력이 우수한 효모를 분리 선별하였다. 최종 선별된 균주는 산머루에서 분리한 SMR-3이 알코올 발효력이 우수하고 산도, 잔당, 유기산 함량 및 fusel oil 등의 함량이 낮아 품질면에서 다른 균주로 발효한 산머루주보다 우수하였다. SMR-3을 이용하여 산머루주 제조 최적화를 위한 반응표면 분석결과 알코올 함량이 가장 높은 배양조건으로 온도 $21.91^{\circ}C$, 당함량 $21.48^{\circ}brix$, 발효시간 14.65일의 조건에서 알코올 함량 10.61%가 예상되었고, 잔당함량은 $24.48^{\circ}C$, $12.78^{\circ}brix$, 발효시간 9.02일의 조건에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의 결과 발효온도 $20.23^{\circ}C$, 초기당도 $25.30^{\circ}brix$, 발효시간 5.94일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중 ethyl alcohol이 대부분이었고, fusel oil은 거의 검출되지 않아서 산머루주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인자별 산머루주의 알코올 함량, fusel oil, ethyl alcohol 함량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최적 발효조건을 superimposing한 결과 발효온도 $24{\sim}28^{\circ}C$, 초기당도 $20{\sim}24^{\circ}brix$ 및 발효시간 $12{\sim}14$일의 범위로 각각 예측되었다.

포도 유전체 연구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genomics and bioinformatics in grapes)

  • 허윤영;정성민;윤해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298-311
    • /
    • 2015
  • 포도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과수 작물 중의 하나로서 재배과정에서 많은 병해충이나 기상재해와 같은 스트레스에 직면한다. 과실의 고품질과 더불어 병충해 저항성인 품종 또는 내재해성 품종을 육성하는 것은 포도 생산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고전적인 교배 육종을 이용한 신품종의 개발은 포장을 관리하는 데에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요구되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유용형질을 지닌 새로운 품종의 개발에 이용할 분자육종기술은 포도 육종프로램에서 전통적인 교배육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술로 여겨진다. 포도의 유전체 해독을 완성함으로써 신품종육성에 활용될 유용유전자를 대량으로 발굴할 수 있고, 기능을 분석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포도의 비교유전체, 전사체, 후성유전체, 유전체에 근거한 유전자 발굴, 분자마커 개발 등의 연구는 과실의 품질, 병해와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기작을 구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포도 육종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머루 분말을 첨가한 샐러드드레싱의 저장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alad Dressings Prepared with Wild Grape Powder during Storage)

  • 빙동주;이지현;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50-25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머루의 영양성과 이용성 증대의 일환으로 머루 분말을 1%, 2%, 3% 및 5% 첨가한 샐러드드레싱을 제조하고 저장 중의 품질 특성, 항산화 특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점도는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저장기간 중의 점도 측정 결과에서 3주차까지는 실험군들 모두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는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 함량은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수분활성도는 대조군이 0.924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저장 4주차에는 머루 분말 첨가군들 0.902~0.912로 대조군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명도와 황색도는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명도와 적색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색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향미는 2% 첨가군이 5.5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는 1% 첨가군과 2% 첨가군이 각각 5.71, 5.49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샐러드드레싱의 품질 특성, 관능검사 및 항산화 효과를 고려할 때 머루 분말 2% 첨가한 샐러드드레싱이 최적의 배합비로 사료되었다. 또한 머루를 이용한 가공식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샐러드드레싱 제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포도씨유가 함유된 프레스햄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ed Ham Containing Grape Seed Oil)

  • 이정일;정재두;이진우;하영주;주선태;박구부;곽석준;박정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721-732
    • /
    • 2008
  • 본 연구는 프레스햄의 품질특성에 포도씨유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프레스햄에 첨가되는 포도씨유의 양에 따라 5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포도씨유를 첨가하지 않고 총 구성분 중 10% 량만큼 등지방을 첨가하였다. 처리구 1은 첨가되는 돈지방 함량 중 10%를 포도씨유로 대체, 처리구 2는 20%, 처리구 3은 30%, 처리구 4는 40%를 포도씨유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프레스햄은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에서 28일 동안 저장하면서 포도씨유가 첨가된 프레스햄의 전단가, 관능적 특성분석, 지방산패도 및 지방산 조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전단가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1일, 21일과 28일에는 T4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전단가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제품색,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구와 포도씨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저장기간에 따른 제품의 제품색,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지방산화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28일에 T4 처리구가 대조구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지방산화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화 값의 변화는 대조구와 포도씨유 처리구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산 조성 변화는 대조구에 비하여 포도씨유 처리구는 C10:0~C20:4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포화지방산과 단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가 포도씨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P<0.05), 포도씨유 처리구 간에는 대체 수준이 증가할수록 포화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다중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포도씨유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대체 수준이 증가할수록 다중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포도씨유의 첨가는 관능적 평가 및 지질산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건강지향적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