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e Production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9초

머루 분말을 첨가한 샐러드드레싱의 저장 중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alad Dressings Prepared with Wild Grape Powder during Storage)

  • 빙동주;이지현;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50-25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머루의 영양성과 이용성 증대의 일환으로 머루 분말을 1%, 2%, 3% 및 5% 첨가한 샐러드드레싱을 제조하고 저장 중의 품질 특성, 항산화 특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점도는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저장기간 중의 점도 측정 결과에서 3주차까지는 실험군들 모두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H는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 함량은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수분활성도는 대조군이 0.924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저장 4주차에는 머루 분말 첨가군들 0.902~0.912로 대조군에 비해 대체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명도와 황색도는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명도와 적색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머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색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향미는 2% 첨가군이 5.5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는 1% 첨가군과 2% 첨가군이 각각 5.71, 5.49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샐러드드레싱의 품질 특성, 관능검사 및 항산화 효과를 고려할 때 머루 분말 2% 첨가한 샐러드드레싱이 최적의 배합비로 사료되었다. 또한 머루를 이용한 가공식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샐러드드레싱 제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멜론 분홍빛썩음병과 포도 흰얼룩병의 원인균인 Trichothecium Roseum에 대한 Bacillus Subtilis HK2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HK2 against Trichothecium Roseum Causing Pink Rot of Melon and White Stain Symptom on Grape)

  • 오소영;이은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9-45
    • /
    • 2016
  • 2012년부터 2013년에 걸쳐 식물체 근권과 비근권 토양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토양을 희석평판법을 이용하여 총 782개의 세균을 분리하였고, 분리한 세균을 실험실내에서 Trichothecium roseum과의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생장억제율이 80% 내외로 우수한 길항력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I-plate에서 HK2균주와 T. roseum두 균을 격리하여 밀폐배양 시 모두 균사생장억제 효과는 없기 때문에 휘발 물질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NB배지에 길항균주와 T. roseum을 액체배양 한 결과 88% 이상 균사생장억제 효과를 보였다. HK2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16S rDNA 염기서열분석과 API 50 CHB Kit (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HK2 균주가 생산한 항진균물질을 butanol로 추출한 후 flash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항진균물질을 정제한 결과 methanol 80%의 조건에서 잘 분리되었으며 향후 분리 순화를 통한 화학구조분석이 필요하다.

Phenolic plant extracts are additive in their effects against in vitro ruminal methane and ammonia formation

  • Sinz, Susanne;Marquardt, Svenja;Soliva, Carla R.;Braun, Ueli;Liesegang, Annette;Kreuzer,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7호
    • /
    • pp.966-976
    • /
    • 2019
  • Objective: The methane mitigating potential of various plant-based polyphenol sources is known, but effects of combinations have rarely been tes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binary and 3-way combinations of such phenol sources affect ruminal fermentation less, similar or more intensively than separate applications. Methods: The extracts used were from Acacia mearnsii bark (acacia), Vitis vinifera (grape) seed, Camellia sinensis leaves (green tea), Uncaria gambir leaves (gambier), Vaccinium macrocarpon berries (cranberry), Fagopyrum esculentum seed (buckwheat), and Ginkgo biloba leaves (ginkgo). All extracts were tested using the Hohenheim gas test. This was done alone at 5% of dry matter (DM). Acacia was also combined with all other single extracts at 5% of DM each, and with two other phenol sources (all possible combinations) at 2.5%+2.5% of DM. Results: Methane formation was reduced by 7% to 9% by acacia, grape seed and green tea and, in addition, by most extract combinations with acacia. Grape seed and green tea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cacia also reduced methane proportion of total gas to the same degree. The extracts of buckwheat and gingko were poor in phenols and promoted ruminal fermentation. All treatments except green tea alone lowered ammonia concentration by up to 23%, and the binary combinations were more effective as acacia alone. With three extracts, linear effects were found with total gas and methane formation, while with ammonia and other traits linear effects were rare. Conclusion: The study identified methane and ammonia mitigating potential of various phenolic plant extracts and showed a number of additive and some non-linear effects of combinations of extracts. Further studies, especially in live animals, should concentrate on combinations of extracts from grape seed, green tea leaves Land acacia bark and determine the ideal dosages of such combinations for the purpose of methane mitigation.

국내 시판 과일 및 야채 주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in Activity of Domestic Fruit and Vegetable Juice)

  • 이만효;김미선;신화균;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6-15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건조 근채류 절편을 천연과일주스에 침지 후 건조하여 과일주스의 관능성과 유용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근채류 칩 개발을 목표로, 먼저 국내 시판주스 8종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사과, 오미자, 포도, 머루, 오렌지, 토마토, 홍삼 및 흑마늘 주스의 평균 수분함량, pH, brix 및 산도는 각각 $85.59{\pm}5.80%$, $3.90{\pm}0.64$, $12.19{\pm}4.70%$, 및 $0.49{\pm}0.19%$였다. 총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흑마늘 주스 및 포도 주스가 각각 1.50 및 1.21 mg/ml으로 8종 주스 평균인 0.57 mg/ml보다 매우 높았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도 흑마늘 주스 및 포도 주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스들의 항혈전 활성 평가 결과, 오미자 주스에서만 아스피린 1.5 mg/mL에 상당하는 활성이 인정되었으며, 항균 활성 평가 결과, 오미자, 포도, 및 오렌지 주스에서 우수한 항세균 활성이 나타났으나 항진균 활성은 모든 주스에서 인정되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포도>흑마늘>오렌지>머루>토마토>사과>오미자>홍삼 주스 순으로 나타났으며, nitrite 소거능은 머루>흑마늘>포도>홍삼 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항혈전 활성이 우수한 오미자 주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포도 및 흑마늘 주스를 이용한 관능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근채류 칩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이다.

포도과즙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산도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igh-acidity vinegar prepared with grape juice)

  • 우승미;여수환;권중호;김선화;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0-10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산도 식초 생산 기술을 대체하고자 포도과즙을 이용하여 적정산도 10% 이상의 식초 제조조건 및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초기 알코올 함량에 따른 고산도 초산발효에서는 초기 알코올 함량 6%에서 적정산도 12%의 고산도 식초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초기 알코올 함량이 높을수록 유도기가 길어져 초산수율이 감소하였다. pH는 구간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고, 당도는 1단계 초산발효(1st AAF)까지 초기 알코올 함량에 비례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2단계 초산발효(2nd AAF)기간 동안에는 초기 알코올 6% 첨가구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고산도 포도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tartaric, malic 및 cit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유가식 첨가량 및 초산 발효수율 차이로 인하여 초기 알코올 함량이 낮을수록 높게 검출되었다. 미량 알코올 중 ethyl alcohol을 제외한 성분은 극소량으로 검출되어 초기 알코올 함량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고, ethyl alcohol은 364~581 ppm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포도 알코올 발효액(초기 알코올 함량 6%)를 이용하여 일체의 영양원을 첨가하지 않고 총산도 12%의 고산도 식초 제조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초산수율 향상 및 유가식 첨가에 의한 발효기간 단축에 관한 보완 연구가 요구되었다.

Comparison of Overall Immunity Levels among Workers at Grape Orchard, Rose Greenhouse, and Open-Field Onion Farm

  • Maharjan, Anju;Gautam, Ravi;Jo, JiHun;Acharya, Manju;Lee, DaEun;Pramod, Bahadur KC;Gim, Jin;Sin, Sojung;Kim, Hyocher;Kim, ChangYul;Lee, SooYeon;Lee, SooJin;Heo, Yong;Kim, HyoungAh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2호
    • /
    • pp.248-254
    • /
    • 2022
  • Background: Occupational hazards in crop farms vary diversely based on different field operations as soil management, harvesting processes, pesticide, or fertilizer application. We aimed at evaluating the immunological status of crop farmers, as limited systematic investigations on immune alteration involved with crop farming have been reported yet. Methods: Immun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plasma immunoglobulin level, major peripheral immune cells distribution, and level of cytokine production from activated T cell were conducted. Nineteen grape orchard, 48 onion open-field, and 21 rose greenhouse farmers were participated. Results: Significantly low proportion of natural killer (NK) cell, a core cell for innate immunity, was revealed in the grape farmers (19.8±3.3%) in comparison to the onion farmers (26.4±3.1%) and the rose farmers (26.9±2.5%), whereas cytotoxic T lymphocyte proportion was lower in the grape and the onion farmers than the rose farmers. The proportion of NKT cell, an immune cell implicated with allergic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ape (2.3±0.3%) and the onion (1.6±0.8%) farmers compared with the rose farmers (1.0±0.4%). A significantly decreased interferon-gamma:interleukin-13 ratio was observed from ex vivo stimulate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of grape farmers compared with the other two groups. The grape farmers revealed the lowest levels of plasma IgG1 and IgG4, and their plasma IgE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nion or the rose farmers. Conclusion: Our finding suggests the high vulnerability of workplace-mediated allergic immunity in grape orchard farmers followed by open-field onion farmers and then the rose greenhouse farmers.

대추 및 포도 발효물의 생리활성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Jujube and Grape)

  • 박태순;김동희;권오준;손준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6-113
    • /
    • 2014
  • 대추 및 포도를 이용하여 고부가가치성 소재 개발 및 특화작물로서 개발하기 위하여 이들을 이용한 알코올 발효와 초산 발효를 한 후 발효물들의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결과 초산 발효물보다 알코올 발효물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대추의 알코올 발효물이 다른 발효물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미백효과 측정결과 또한 대추의 알코올 발효물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나, immunofluorecence를 이용한 미백효과측정결과 대추의 초산 발효물이 미백에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대추 및 포도의 발효물들은 대식세포에서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생성된 nitric oxide를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알코올 발효물이 초산 발효물보다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발효물들의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 포도의 초산 발효물이 Propionibacterium acnes를 제외한 모든 균주에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포도의 알코올 발효물과 대추의 알코올 발효물이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포도 '캠벨얼리' 품종의 과실품질과 기후요인과의 상관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s and Climatic Factors)

  • 김승희;최인명;조정건;한점화;황정환;서형호;윤해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3-100
    • /
    • 2011
  • 포도 캠벨얼리 품종은 우리나라 포도재배면적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대표 품종이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상승으로 과수 재배지의 변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요소와 과수품질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우리나라 주요 포도 주산단지 사천, 진주, 나주, 당진, 천안, 김천, 영동, 옥천, 상주, 수원, 영주, 강릉, 춘천 그리고 양구 등 13곳의 과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개화기는 사천이 5월 25일로 가장 빨랐으며 강원도 양구는 6월 7일로 가장 늦었다. 포도는 성숙일수가 90일 정도 되어야 상품성 있는 품질을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남쪽지방에서는 성숙일수가 90일 보다 작다. 강원도 지방은 성숙일수가 100일에서 110일로 가장 길다. 그래서 과실의 당도가 높게 나타난다. 포도 캠벨얼리의 과실 품질은 기상요인 특히 온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온도가 높으면 산도가 높다. 과피두께는 남부지방 과실의 과피가 얇고 북쪽으로 갈수록 과피가 두꺼워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과실의 착색에서 남부지방은 수확적기가 지났음에도 착색이 불량하며 북쪽지방은 아직 적숙기가 되지 않았다.

Abnormal Seedlings Emerged during Embryo Rescue and Its Remedy for Seedless Grape Breeding

  • Ji, Wei;Li, Zhiqian;Yao, Wenkong;Gong, Peijie;Wang, Yueji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83-489
    • /
    • 2013
  • The abnormal seedlings, a common physiological anomalies, emerged during embryo rescue severely restricted grape breeding.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seedless grape breeding by reducing the production of abnormal seedlings in the course of embryo rescu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enotype, media type, embryo style, pre-chilling on the deformity rate of the abnormal seedlings during embryo rescue. The abnormal seedlings were firstly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based on their morphology.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emergence of abnormal seedlings was highly dependent on the female parent genotype. Polyembryony was advantageous to diminish the number of abnormal plantlets and the germination rate of embryo was 100%. We also found that pre-chilling treatment could reduce the number of abnormal plantlets and promote the embryo germination. The abnormal plantlets were reduc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ZnSO_4$ $10{\mu}mol{\cdot}L^{-1}$ or mashed-banana $500mg{\cdot}L^{-1}$ to either embryo development or germination media. Transferring the abnormal seedlings onto the suitable fresh media in 4 weeks after embryo germination provided an effective way to transform them into normal seedlings.

포도 품종을 달리한 한국산 포도주의 제조 및 기호도 분석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 이승주;이장은;김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11-918
    • /
    • 2004
  • 국내산 거봉, 캠벨, 머스켓 베일리 A, 쉐레단 품종을 이용하여 일반 적포도주와 스위트 와인을 제조하였으며, 사이벨 품종을 이용하여 백포도주, 네오머스켓 품종의 화이트 스위트 와인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적포도주 제조에는 캠벨과 머스켓 베일리 A 품종이 타 품종과 비교해 적합한 산도 및 색도를 보였으나, 캠벨의 경우 당 함량이 다소 낮고 신 맛이 강한 결함이 있어 이를 위한 향후 가당 방법 및 포도재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백포도주 제조용 품종인 사이벨의 경우 산도가 매우 높아 발효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신맛의 증가로 인해 기호도가 떨어져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감산 연구가 요구된다. 기호도 조사 결과 품종 별로는 캠벨, 머스켓 베일리 A로 제조된 포도주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선별된 품종을 이용한 포도주의 고품질화 연구가 수행될 예정이며 축척된 제조 기술로 현지의 기술 지도를 통하여 제품의 산업화 및 상품화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