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duation fashion show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의상관련 학과의 졸업작품전 평가에 관한 연구 -취업 디자이너들을 중심으로-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Graduation Exhibition -A Survey of the Working Designers-)

  • 이영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1-186
    • /
    • 1995
  • This study is to analyse whether the senior students' experience of graduation exhibitions would be of any practical use when they are employed by fashion industry. To address this theme, a survey is carried out for 73 fashion designers who participated into the exhibitions. Survey results show the graduation exhibitions are worth Not because skills learned from the experiences are applicable to the industrial practice, but because they provide them self-confidence of finishing four year programs successfully. They responded that graduation exhibitions are most effecive when they requires to utilize knowledges and skills acquired from all across the major subjects.

  • PDF

국내·외 패션교육에 있어서 3D 어패럴 CAD 시스템 활용 사례연구 (A Study on the Cases of the Application of 3D Apparel CAD System to the Domestic and Overseas Fashion Education)

  • 이민정;손희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112-1124
    • /
    • 2011
  • The development of computer graphics and Internet technology has created a 3D Web-based virtual world that has transformed the global fashion industry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cases of 3D virtual fashion education were analyzed to discuss the necessity and application of a 3D apparel CAD curriculum as part of a special education for global fashion talent at Korean fashion-related colleges. Prior studies, literature, photo data and Internet data (in and out of Korea)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demonstration case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virtual fashion education 'SLCC 2007' of Buffalo State College (U.S.), 'Ratava's Line (2004)' of SFU/FIT Collaborative Design Project (Canada and U.S.) and '2011 Graduation Fashion Show' of Ueda Fashion College (Japa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3D apparel CAD system (as a core technology of the IT fashion industry) would allow the current mass production concept to change to a new paradigm of 'mass customization' along with new fashion business types that include global fashion companies and Web-based Internet, mobile and virtual-world shopping malls. In addition, it appears that the system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fashion-related colleges and institutes to educate technical designers for the global fashion industry and global fashion talent with comprehensive system operation and management ability, and to promote single proprietor companies.

졸업작품 패션쇼 모델의 치수에 적합한 원형 연구 (A Study on Block Patterns for of Korean fashion Models)

  • 박상희;강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99-1011
    • /
    • 2008
  • 국내 패션관련 교육기관은 대부분은 졸업작품 쇼를 행하고 있는데, 학생들이 직접 제작하는 작품 쇼의 경우는 시간적, 경제적 인 여유 부족과 정확한 모델 치수 및 이에 따른 인대와 원형패턴의 부재로 의상 제작 후, 사이즈 수정에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의 졸업작품 진행 과정의 문제점과 필요한 원형의 종류를 조사하고, 현역 A급 모델의 신체 치수를 계측하여 표준 사이즈를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아이템에 따른 원형을 제작, 이를 현역 모델에 착장하여 졸업 쇼를 위한 기본 패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졸업작품 쇼는 학교에 따라 진행하는 과정과 기간에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 모델 가봉 후 수선 정도가 많고 경우에 따라서는 의상을 새로이 제작하여야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모델 사이즈의 기본원형에 대한 필요성이 많이 나타났다. 모델의 신체 계측결과 모델은 일반인에 비해 슬림하고 가는 체형이며 키가 크고 다리가 길다. 여자의 경우 어깨너비가 일반인에 비해 넓지만 가슴둘레와 허리둘레는 더 가늘게 나타났으며 어깨를 편 바른 자세여서 뒷품과 앞품의 차이가 적었다. 이는 남자 모델의 경우도 같게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다리길이와 소매길이의 비율이 크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토르소와 스커트, 바지패턴을, 남자의 경우 재킷과 바지 패턴을 머슬린으로 제작하여 현재 활동 중인 A급 남녀 모델 각각 2명씩에게 착장하였다. 제작원형들은 그 맞음새가 모두 적절하였고 남녀 모두 상의 경우는 편차가 적은 어깨너비는 고정하고 품과 둘레항목에서 편차를 주어 패턴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의의 경우 여자 모델은 엉덩이 부분에 여유가 없는 바지원형을 설계 제시하고, 이는 타이트 핏 팬츠나 스트레치 소재에 사용에 적절하고 여유 있는 바지의 경우는 엉덩이둘레 폭과 밑위너비 폭에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남자모델의 경우 하의는 비교적 잘 맞아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없었으며 전체적인 둘레 편차 역시 3cm 내외로 작아 수정의 폭은 작다. 다만 키에 따른 다리길이 편차가 심해 모델에 따라 길이조정 이 필요하지만 전체적인 맞음새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 치수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하고 있는 A급 모델을 기준으로 제안되었으므로 평균적인 모델 치수와 근접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패턴 역시 현재 모델의 신체에 적절하게 잘 맞았으며 모델 개인에 따른 신체 치수의 편차에 따라 차이를 보이겠지만 본 연구에서 제시된 패턴의 품 조절만으로도 충분히 잘 맞는 패턴으로 사료된다.

가정학 전공자의 전공에 관한 의견 - 충북 지역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 (The Home Economics Major Students' View on Their Major)

  • 김인숙;어종선;이미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87-19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ome directions for students' future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Juniors and Seniors majoring in Home Economics were selected from 4 Universities in Chungbuk Province and the questionnare survey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Most of respondents were defined the H.E. as the academic subject, and 50.2% of them regarded H.E. as a necessary subject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ir major or not. 2. Though the most general motives of choosing H.E. as their major were recommendation of their parents/neighbors or their school record,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3. The strongest reason majoring in H.E. was that it is helpful to living, and some students didn't show any interest because H.E. was not considered as a realistic study. 4. Many respondents answered that male students have to learn H.E., and thought that H.E. Education is much influential to one's living. 5. 59.6% of respondents replied that cultural studies related to H.E. are opened at the universities, and 90.6% of them thought subjects related to H.E. should be opened as cultural studies. 6. After graduation, 48.3% of respondents will choose their jobs related to their major, and they prefer to be a teacher, a dietition and a fashion designer in its order. 7. 44.3% of respondents thought that H.E. is neglected and 50.7% of them answered that the research by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is necessary. 8. Many students majoring in H.E. took an optimistic view about H.E.'s future as a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