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vernment fund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38초

융자성 기금관리를 위한 블록체인, 머신러닝 설계 연구 (Design Research of Blockchain, Machine Learning for the management of financing fund)

  • 오락성;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201-1208
    • /
    • 2019
  • 정부는 국가정책사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국가재정법에 의거 융자성 기금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금운용절차와 기금관리 측면에서 기금의 오남용, 사후관리 미흡 등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본 논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Blockchain과 Machine Learning 등 Fintech 기술을 활용하였다. 기금운용절차는 Consortium Blockchain으로 설계하고, PBFT 협의 Algorithm과 Smart 계약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금관리는 Machine Learning의 Multilayer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을 활용하는 방안과 결과 값 해석모듈을 함께 제시하였다. 본 Fintech 기술 활용 방안을 도입하게 되면 기금대출의 투명성과 효율성 제고,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고 정부의 기금제도 개선 및 기금정책 수립에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스포츠산업 융자제도의 현황분석 (Analysis for Loan System of Sport Industry)

  • 강호정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8-261
    • /
    • 2008
  • 국민체육진흥기금 스포츠산업 융자제도는 1991년에 시행된 이후 17년째이므로 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중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타 정책자금 융자제도 현황 및 국민체육진흥기금 스포츠산업 융자사업의 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청,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등에서 행해지고 있는 정책자금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민체육진흥기금 융자사업 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기초하여 융자 지원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지원 실태를 융자지원 절차, 기금융자 규모, 융자지원 범위, 융자지원 조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PDF

한국 애니메이션 재원조달 활성화 방안 연구 : 공적기금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e of Public Fund for Improvement of Korean Animation Funding System)

  • 김영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8호
    • /
    • pp.17-3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애니메이션의 제작비 재원조달을 활성화하고, 궁극적으로 산업의 선순환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방영된 한국 애니메이션의 재원조달구조를 분석한 결과, 한국 애니메이션의 국내 재원은 그 한계점에 이르렀음을 확인하였다. 공적자금의 적극적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향후 한국 애니메이션의 산업은 더욱 위축되고 해외자본 의존도는 심화되어, 독자적 작품 경쟁력을 상실해 갈 것으로 우려된다. 이는 애니메이션 산업의 문제뿐만 아니라 한국 아동용, 가족용 콘텐츠의 부재(不在)와 질적 저하, 나아가 국가 문화정체성의 상실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한국 애니메이션의 주요 공동제작국인 캐나다와 프랑스는 기금제도를 통한 적극적인 지원으로 한국에 비해 월등히 유리한 조건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는데, 이는 애니메이션이 지니는 자국 문화정체성과 다양성에 기여하는 가치가 공적기금의 공익성 목적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한국 애니메이션 재원조달 활성화는 단순히 제작비를 더 많이 지원하는 차원이 아니라, 한국 애니메이션 수익성 개선을 통한 민간 영역의 투자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애니메이션 제작 및 유통을 함께 지원하는 연간 250억 원 규모의 애니메이션 지원기금을 통해 실현 가능하며, 기금의 신설 또는 기존 기금의 활용 등 재원마련을 위한 다양한 검토와 실행방안의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 PDF

Community Development and Economic Welfare through the Village Fund Policy

  • UDJIANTO, Djoko;HAKIM, Abdul;DOMAI, Tjahjanulin;SURYADI, Suryadi;HAYAT, 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호
    • /
    • pp.563-57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of village fund (VF) policy in Indonesia by addressing the following issues: (1) what is the VF policy; (2) factors that support and hinder policy implementation; (3) impact of policy implementation; and (4) model for implementing village fund policies that can improve community welfare. Through a descriptive qualitative-based approach, several indicators are measured, namely, the substance of implementing rules, the results of project implementation, supporting and inhibiting factors for policies, participation factors, and the impact generated by village fund policies, which include social and economic effects. The extraction of this information and indicators will lead this study to produce ideal models and propositions for quantitative confirmatory research as a future research agend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villages (Mojomulyo and Tambakromo) in Pati District, Central Java, Indonesia. Data collection model using interviews and observations from all actors who play a role (e.g., village government, village supervisory agency, and communit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by normative rules; there are several supporting and inhibiting factors both internal and external. The study results also confirm the relevance of the articulated theory and some comprehensive input to our study.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의 추진 현황과 개선 과제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 조동길;김상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3-72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the improvement plans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In 2007, there was a reformation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system but the fund return projects were not vitalized up until now. In this study, 35 of ongoing and finished fund return projects were investigated on their types, sites, costs, local governments, and time required to return the fund. Through the on-site survey of 9 finished projects (4 biotope, 2 corridor and 3 natural conservation facility projects), construction and management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Among the five fund return types, 17 cases were biotope restoration projects, 4 cases were ecological corridor projects, and 1 case was a nature replacement project. In the case of project sites, there were 14 cases near schools and public facilities, 8 cases near rivers or streams, and 2 cases near ponds or wetlands. For the construction costs, there were 19 cases (65% of all the projects) that cost less than 300 million won. In terms of the involvement of the local government, most of the fund return projects were concentr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Ulsan city, and there were some local governments outside of these regions that did not carry out any return projects at all. Lastly, in the case of fund return time required, 35% of the fund returns were completed within 5 months, but the overall average fund return time was 9.8 months. In respond to the above study results, the improvement plans to encourage fund return projects are as follows: To diversify return types and sites, piloting and modeling projects for the representative types and sites should be preceded. To emerge from customary small-scaled projects, incentives to encourage large-scale and ecological networking projects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in order to write up business plans for the fund return projects, long-term investigations of at least 2 seasons from spring to fall are necessary. Finally, for the continuous management and maintenance of the ecological fund return sites, easier way for the citize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jects should be incorporated.

한국영화 제작자본에 대한 영상전문투자조합 정책의 기여도 평가 (An Evaluation on the Audio-visual Investment Fund's Contribution to Korean Film Production Capital)

  • 김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12-220
    • /
    • 2019
  • 본 연구는 정부의 금융지원 정책인 영상전문투자조합이 한국영화 제작자본 조달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하였다. 영상전문투자조합 정책은 1999년 중소기업청과 2000년 영화진흥위원회의 출자로 시작되었고, 이후 한국영화 제작비뿐만 아니라 문화산업 분야의 창업 초기기업과 프로젝트의 중요한 자본조달 구조로 발전하였다. 하지만 한국 영화산업의 관점에서 영상전문투자조합의 정책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기관별, 시기별로 산개해 있어서 일관적인 지표를 산출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해당 기관들의 자료를 재구성하여 1999~2017년까지 공적 출자를 통해 결성된 영상전문투자조합의 신규 결성규모, 공공 출자비율, 한국영화 투자편수 및 투자금액, 공공 출자금 및 결성액 대비 투자승수, 청산조합 수익률 등의 지표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영상전문투자조합 정책이 한국 영화산업의 성장에 기여한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Policy Fund Loans and Improvement Plans for Small Enterprise

  • Kim, Young-Ki;Kim, Seung-Hee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13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ppropriate policies and performance indicators for financial aid recipients. It analyzes the existing regular government policy funds support project, especially its propriety and reasonabil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hen financial aid is effective, it should be able to predict small enterprise business results. Additionally, there should be an evaluation, checking before and after performance rates so that the rate of achievement and outcome can be measured. This study's contribution for small enterprises is in researching the best way to improve this support system. Results - The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SEMAS), currently designated as a support organization for implementing the government financial aid project, has assessment indicators. However, these focus mainly on quantitative indicators and survey results. Conclusions - In the future, there is some need to draw up measures, setting the right direction for developing policies for the small enterprise fund loans and improving the management of the plans. Eventually, this effort will dispel concerns about the present support policy, which is considered to be weakening small enterprises.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의 쟁점 및 개선방안 검토: 가입자의 관점에서 (Examining the issues and development plans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the fund-based Korean occupational pension: In the members' perspective)

  • 정창률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3호
    • /
    • pp.151-174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에서 기금형 퇴직연금이 도입되는 경우, 가입자의 관점에서 관련 쟁점들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검토하도록 한다. 이미 대규모 사업장에서 계약형 방식이 보편적인 상황에서 이를 추진하는 것은 연합형 방식을 통해서 영세사업장 근로자들의 퇴직연금 가입을 확대하기 위한 전략으로 이해된다.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이 수익률 상승을 야기할 것이라는 것은 근거가 부족하며 적극적인 투자결정을 할 수 있는 여건의 마련이 더 중요하다. 또한,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 도입은 지급불능에 대한 우려를 더 크게 한다는 점에서 수급권 보장이나 적립 규칙에 대한 강화가 필요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적립 규칙을 강화하고 기금형 방식 성숙이후 수급권 보장 장치의 제도적 마련이 타당해 보이며, 감독체계 역시 강화될 필요가 있다. 기금형 퇴직연금 도입은, 정부 주도의 혹은 금융이해당사자 취향에 따른 제도 운영이 아니라 가입자들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퇴직연금 제도 취지에 맞는 제도 운영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향후 제도 발전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국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농어촌커뮤니티에너지 기금 (Renewable Energy Policies and Rural Community Energy Fund in UK)

  • 최은희;이문용;정진희;윤성이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17-31
    • /
    • 2014
  • Excessiv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from fossil fuels usage has become a major cause of climate change. As an alternative to reduce the greenhouse gas emission, renewable energy has been highlighted around the world and UK government also established the Climate Change Act 2008 and policies for response the climate change. Those of them has been supporting many practical action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 and community energy projects is representative program to supporting security of energy supply and helping the country to reduce its carbon footprint. Rural Community Energy Fund (RCEF) which is one of community energy projects supports rural communities to develop renewable energy projects which provide economic and social benefits to the community. The review of UK's renewable energy policies and action plan can be useful to promote in Korea policies for becoming low-carbon society.

  • PDF

기술혁신 기업과 R&D 프로젝트 파이낸스 : 지속적 기술혁신을 위한 자금조달의 대안

  • 김영훈;변혜영;이정동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6년도 제28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0-186
    • /
    • 2006
  • The guarantee funds for government policy fund, venture capital investment fund, technology guarantee debt are the core parts of the external financing system in the constant technology innovation company. However, the enterpriser's requirement to keep the technology innovation with minimized management intervention and policy maker's hope to advance technology development with clear operation of funds is enough to request for research of the project investment plan to the R&D project. This paper will analyze whether technology innovation company that creates cash flow prefers to the project investment as a financing program or not, and if prefers, what characters of company affect on this preference. The more the company that pursuit the additional R&D activity separated to on-going items becomes over the fixed size, the more prefers the project investment as future external fund-raising. Together with that, this paper suggests that we can apply the plan like special purpose vehicle, SWORD(Stock Warrant Off-Balance sheet R&D) and R&D Limited Partnership as R&D project investment policy, and improve the system itself.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