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ryeo Sutra box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의 제작기법 고찰 및 원형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totype of the mother-of-pearl chrysanthemum pattern box from the Goryeo Dynasty)

  • 이희승;이민혜;김성훈;이현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126-144
    • /
    • 2024
  • 고려시대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미세한 자개표면에 문양을 세기거나, 금속선을 이용해 넝쿨의 줄기를 표현하고, 금속선을 꼬아 각 문양의 경계를 구성하는 등 고려나전칠기의 대표적인 특징이 아주 세밀하게 표현되어있다. 현재 남아있는 고려시대 나전칠기는 경함 및 합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반면 이번 연구대상인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뚜껑과 몸체가 분리되는 상자의 형태를 하고 있어 제작목적 혹은 보관된 내용물을 추정하기 어려웠다. 이번 연구에서는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의 원형을 확인하기 위해 조형적인 특징을 확인하고, X선 투과촬영과 X선 형광분석을 통해 구조와 제작기법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알려진 고려시대 나전칠기를 유형별로 분류 및 비교분석해 상자의 용도와 제작목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X선 이미지 상 바닥면과 속상자에서 직물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기물을 직물로 감싸는 목심저피칠기기법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목리를 통해 복원부분으로 추정되는 부분의 판재구성과 기존 장석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구부에서 맞대임 방식으로 연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양에 사용된 금속선은 X선 형광분석 결과 황동으로 판단된다. 조사결과를 근거로 현재 남아있는 고려시대 경함류 9점, 상자류 3점, 소상자류 2점 등 총 14점을 유형별로 분류해 유사성을 조사하였다. 이중 일본 개인소장 국화넝쿨무늬경함, 도쿠가와미술관 흑칠지국당초문나전경상, 영국박물관의 나전국당초문경함, 국내소장 나전칠국당초문합(소상자) 등 5점의 문양구성이 본 연구대상과 가장 유사하였다. 그리고 손상양상, 조형적 특성, 구조적 특징 등을 부위별로 대조한 결과 영국박물관의 나전국당초문경함의 형태가 나전넝쿨무늬상자의 원형으로 현재 형태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이번 상자의 용도, 즉 제작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당시 고려의 사회분위기와 비슷한 시기 제작된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당시 무신정권 이후 몽골의 침입을 겪으면서 국가의 안정과 개인의 명복을 빌기 위한 사경이 출현, 그리고 13세기 국내 인쇄술과 종이의 발전으로 점차 두루마리에서 절첩식 형태로의 전환기와 맞물려 경함에서 상자의 형태로 보관방식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 말 공민왕 재위기의 반야(般若) 복식 고증요소 고찰 - 불교법회 복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istorical Research for Costume of Banya(般若) in King Gongmin's Period of Late Goryeo - Focused on the Buddhist Service Costume -)

  • 최정
    • 복식
    • /
    • 제65권6호
    • /
    • pp.112-132
    • /
    • 2015
  • Banya was a concubine slave of Shindon(辛旽) who was a powerful monk in late Goryeo Dynasty, as well as the mother of King Woo(禑王), a successor of King Gongmin(恭愍王).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sources of costume for Banya. The study focused on the features of Buddhist service costume, street wear, and daywear for common women's costume during the prime age of the Buddhist culture. The study looked into Buddhist paintings, old documents, advanced research, and relics. There are thre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ly investigated Buddhist service costume for Banya: Dallyeongpo(團領袍), long Jeogori made with black Ra(羅), and Jeogori with a long scarf. Skirt, under Jeogori, under skirt, Cho, Ra(羅), Neung (綾), Dan(緞), patterned ramie(紋紵), and Tapja(塔子) were included in all Buddhist service costume. And, street wear consisted of Women's Dapho(婦人搭忽), long Jeogori, skirt, underwear and black Ra beil(蒙首). Daywear consisted of Banbi(半臂), long Jeogori, and skirt, underwear made with cheap fabric, Ju(綢), ramie, and imported cotton. Plumper hair, silver comb and Biyeo, lining of light pink-colored thin silk(小紅薄絹), bronze openworked ornament that fixed the outerwear's opening, bronze needle case, Sutra box and heated gemstone could be matched for the Buddhist service costume. Bronze and heated gemstone could be used for ornaments of street wear and daywear. The investigation of ornaments was carried on by referring to presentation of overseas collections.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the study on Goryeo costume due to the lack of research material, future studies including much more relics in oversea collections needs to be undertak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