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gj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황제내경(黃帝內經)"과 "주역(周易)"의 음양론(陰陽論) 비교(比較) -"계사전(繫辭傳)"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The Eumyang(陰陽) Theory betwee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Juyeok(周易) - Focused on Gyesajeon(繫辭傳)-)

  • 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45
    • /
    • 2013
  • Objective :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Eumyang(陰陽) theory betwee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Juyeok(周易) Gyesajeon(繫辭傳) written by Gongja(孔子),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the position of Eumyang theory in the ancient academic society can be clearly understood. Method :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Eumyang theory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Juyeok(周易) Gyesajeon(繫辭傳) are categorized and analyzed comparing both texts. Results & Conclusion :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Juyeok(周易) all recognized Eumyang movement as the most important and basic principle of the change of the univer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um(陰) and Yang(陽), the key of harmonization of them is to keep and practice the virtue of each others. The plentiful expression of Juyeok(周易) Gyesajeon(繫辭傳) about the relationship of Eumyang is helpful to understand and apply the concepts of Eumyang to daily life. The other hand,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s medical text, concentrates upon the explanation about the movement and circulation of Gi(氣) between Eum and Yang.

조선시대에 간인(刊印)된 "춘추(春秋)" 판본(板本)에 관한 서지적(書誌的) 연구 (A Study on the Printed Books of Ch'un-ch'iu(春秋) Commentary in Chosun Dynasty Period)

  • 염종일;송일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31-346
    • /
    • 2007
  •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주해서의 여러 판본(板本)에 대하여 문헌상의 기록과 판본에 대한 실제 조사를 통해 현존하는 판본들의 유형별, 형태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그 특징에 대하여 서지학적 고찰을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선시대에 간행된 <책판목록(冊板目錄)> 가운데 비교적 그 작성시기가 명확한 것을 선정하여 살펴봄으로써 문헌상에 나타나는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판본의 개판(開板) 상황을 조사하였으며, 고서를 소장하고 있는 주요 기관들의 고서종합목록과 주요대학도서관의 고서목록DB를 검색하여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개판(開板)의 종합적인 서목을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각 소장기관을 방문하여 실물의 확인과 촬영, 복사 등을 통해 현존본 $\ulcorner$춘추$\lrcorner$ 판본의 서지사항을 담은 <종합서목(綜合書目)>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종합서목>을 기준으로 활자본 14종과 목판본 13종이 현존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의 유형별 특징에 대해서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