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adotropin Regulatio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2초

흰쥐 뇌하수체전엽 배양세포에서 GnRH 및 난소호르몬에 의한 $LH{\beta}$ subunit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연구 (Regulation of Luteinizing Hormone Release and Subunit mRNA by GnRH and Ovarian Steroids in Cultured Anterior Pituitary Cells)

  • 김창미;박일선;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8
    • /
    • 1994
  • 흰쥐의 뇌하수체 전엽배양세포에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을 처리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GnRH농도에 비례하여 luteinizing hormone(LH)의 분비가 증가하였으며, 2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GnRH를 처리하였을때 ${\alpha}$ subunit mRNA의 농도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는 GnRH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GnRH 처리후 6시간 이후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최종농도가 $2{\times}10^{-10}M$이 되도록 GnRH를 처리하였을 때 $LH{\beta}$ subunit mRNA 농도가 2.7배 정도 최대로 증가하였다. 또한 estradiol을 단독으로 또는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LH분비가 증가하지 않았으나 progesterone을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LH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는 estradiol및 progesterone을 단독으로 또는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난소호르몬 농도에 의존적으로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Estradiol에 의한 $LH{\beta}$ subunit mRNA의 증가양상은 estrogen 길항제인 LY117018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GnRH는 steady state $LH{\beta}$ subunit mRNA 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써 LH분비 및 LH subunit 생합성을 조절하며 난소호르몬은 뇌하수체에 직접 작용하여 LH분비 및 LH subunit 생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난소제거된 흰쥐에서 난소호르몬에 의한 $LH{\beta}$ subunit의 유전자 발현조절 (Regulation of $LH{\beta}$ subunit mRNA by Ovarian Steroid in Ovariectomized Rats)

  • 김창미;박덕배;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5-235
    • /
    • 1993
  • 난소호르몬에 의하여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 subunit의 유전자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성숙한 흰쥐에서 난소를 제거하거나 또한 난소호르몬을 재 투여한 후 ${\alpha}$$LH{\beta}$ subunit mRNA의 수준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난소를 제거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혈중 LH 농도 및 뇌하수체 LH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또한 난소제거 후 14일 후부터 ${\alpha}$ subunit mRNA 수준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LH{\beta}$ subunit mRNA 수준은 난소제거 후 1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혈중 LH 농도와 같은 양상으로 증가하였다. 2. 난소제거 후 21일 경과후에 난소호르몬을 투여하였을때 난소제거로 증가된 혈중 LH 농도와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이 감소하였다. Estradiol을 1일간 투여하였을때 부터 혈중 LH 농도 및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이 감소하였으며, progesterone을 4일간 처리하였을때에 혈중 LH농도가 감소하였다. 3. Estrogen 길항제인 LY117018를 estradiol과 동시에 처리하거나, progesterone 길항제인 RU 456을 progesterone과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estradiol과 porgesterone에 의하여 감소되었던 혈중 LH 농도 및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이 유의하게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LH 분비에 있어서 $LH{\beta}$ subunit mRHA 수준의 변화가 속도결정단계 (rate limiting step)인 것으로 보이며, 난소홀몬은 ${\alpha}$$LH{\beta}$ subunit mRNA 수준을 조절하므로써 pretranslation 단계에서 LH 생합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