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nad development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초

SF-1을 매개한 CYP19의 전사활성에 미치는 FOXL2 야생형과 돌연변이형의 차별적 영향 (Differential Activities of FOXL2 and Its Mutants on SF-1-Induced CYP19 Transcriptional Activation)

  • 박미라;김아영;나순영;김홍만;이강석;배지현;고정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4권2호
    • /
    • pp.91-97
    • /
    • 2010
  • FOXL2는 winged-helix/forkhead(FH) 도메인 전사인자로서 FOXL2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발생할 경우 blepharophimosis-ptosis-epicanthus inversus syndrome이라 불리는 BPES 질병이 유발되게 된다. BPES는 상염색체 우성인 유전적 질환이다. BPES type I의 환자는 조기난소부전증(POF)과 안검하수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반면, BPES type II의 경우 안검하수 및 소안검 등 안면기형만이 유발된다. FOXL2 단백질이 결여된 난소에서 granulosa 세포의 분화가 멈추는 것으로 보아 FOXL2가 정상적인 난소의 folliculogenesis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전의 연구 결과에서, 본 연구진은 FOXL2와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에 대한 스크리닝을 통해 스테로이드 합성효소인 CYP19 전사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steroidogenic factor-1(SF-1)을 동정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FOXL2가 CYP19의 전사를 향상시키고, SF-1에 의한 CYP19의 전사를 더욱 촉진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와 반대로, BPES 타입 I과 II에서 발견된 FOXL2의 돌연변이형들은 SF-1에 의해 증가된 CYP19의 전사활성을 향상시키는 능력이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본 실험을 통해 FOXL2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어지는 BPES 질환의 병리생리학적인 이해에 대해 도움을 줄 수 있는 FOXL2의 야생형과 돌연변이형 사이의 서로 다른 기능적인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우리나라 동해안 대구횟대, Gymnocanthus herzensteini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Black Edged Sculpin, Gymnocanthus herzensteini in the East Sea)

  • 박기영;박경훈;이성일;박헌우;홍성익;양재형;최수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1-106
    • /
    • 2007
  • 본 연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강원도 연안에서 유자망어업에서 어획된 대구횟대를 매월 채집하여 성숙과 산란에 관하여 조사한 것이다. 대구횟대의 산란기는 생식소성숙도지수, 난경 등의 월별 변화에 의한 결과 12월에서 이듬해 2월로 추정되어졌다. 체장과 포란수와의 관계는 $F=285.11TL^{1.4092}$ ($R^2$=0.571)이었으며 체중과 포란수와의 관계는 $F=1.449.8BW^{0.5514}$ ($R^2$=0.577)이었으며, 포란수는 어체가 커질수록 증가하였다. 최소포란수로 8.814립 (TL: 14.7 cm), 최대포란수는 28,560립 (TL: 24.4 cm)이었다. 최소성숙체장은 15 cm였으며, 이때의 나이는 약 2세였다. 체장계급별 성비는 소형어에서는 수컷이 약간 우세하였으나 24 cm 이상에서는 암컷이 90%로 높게 나타났다.

줄새우아재비, Palaemon serrifer의 생식소발달에 따른 뇌와 흉부신경절 신경분비세포의 조직학적 연구 (Histological study of neurosecretory cells in the brain and the thoracic ganglion with gonadal development of Palaemon serrifer)

  • 김명희;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27-339
    • /
    • 1991
  • 줄새우아재비, Palaemon serrifer의 뇌와 흉부신경절에 분포하는 신경분비세포와 생식소발달과의 관련 기능을 알아보고자 생식소발달의 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여 생식년주기를 밝히고, 뇌와 흉부신경절에 분포하는 신경분비세포를 분류하여 분비활성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생식소발달에 따른 이들 분비세포들의 활성변화를 연구하였다. 1. 줄새우아재비, Palaemon serrifer는 수컷의 경우 1월부터, 암컷은 3월부터 생식소가 성장하기 시작하는 성장기를 거쳐, 성숙기, 완숙 및 산란기, 퇴화 및 휴지기의 연속된 생식연주기를 가지며, 주산란기 는 7-8월이었다. 2. 신경분비세포로서 뇌에서는 A-, B-그리고 E-cell이 흉부신경절에서는 A-, A'- 그리고 B-cell이 구분되었으며 A-와 A'-cell은 크기가 $80-90{\mu}m$로 가장 큰 세포였고 B-cell은 $30-40{\mu}m$의 크기였으며, E-cell은 $10-15{\mu}m$ 크기로 미세한 세포였다. 3. 활성중인 A-와 B-cell은 CHP와 AF에, 그리고 B-cell은 AF에만 양성반응을 나타냈었고, A-cell은 분비과립이 축색으로 이동하는 것 외에 주변방출(peripheral discharge)을 나타냈다. 4. 신경분비세포의 활성변화를 생식소발달상태와 연관하여 볼 때 난소의 성장과 성숙시기에는 E-cell, 배란시기에는 A-cell의 분비활성이 강했고, 정소의 성장시기에는 E-cell, 정자의 변태 및 방정시기에는 A-cell의 강한 분비활성이 관찰되었다.

  • PDF

코끼리조개의 인공종묘생산에 관한 연구 I. 산란유발 및 부화 (Studies on the Artificial Seedling Production of Geoduck Clam, Panope japonica I. Spawning Induction and Hatching)

  • 이채성;노섬;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3-121
    • /
    • 1997
  • 강원연안에 서식하는 코끼리조개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을 목적으로 산란유발 방법 및 수정과 부화를 위한 수온과 염분농도의 최적조건 등을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코끼리조개의 산란유발은 간출자극과 자외선조사해수자극에서는 전혀 반응이 없었다. 수온자극에서는 5월에 15.0-25.0%의 반응을 보였고, 6월에는 10.0%의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생식소를 절개한 것은 15.0-45.0%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NH 하(4) OH 용액을 해수에 첨가하는 자극에서는 8/1000N-10/1000N에서 15.0%의 반응율을, 그리고 NH 하(4) OH 용액을 생식소에 주사하는 자극은 5/100N-7/100N에서 5.0-10.0%의 반응율을 보였다. 코끼리조개의 수온에 따른 수정율은 수온 11-17$^{\circ}C$범위에서 74.2-89.2%였고, 부화율은 수온 8-$14^{\circ}C$에서 84.3-90.5%로 가장 높았다. 염분 농도에 의한 수정율은 염분 25-$35tetperthousand$범위에서 72.5-88.5%, 부화율은 염분 30-$35tetperthousand$에서 82.7-86.9%였다. 수정과 부화를 위한 수온과 염분농도의 최적조건은 수온 11-$14^{\circ}C$, 염분농도 30-$35tetperthousand$로 나타났다.

  • PDF

암컷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의 난소 발달단계에 따른 폐각근 조직과 내장낭 조직의 생화학적 성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in the Female Cyclina sinensis, in Relation to Gonad Developmental Phases)

  • 정의영;박관하;김종배;이창훈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5-92
    • /
    • 2004
  • We investigated the reproductive cycle with gonadal development of the female Cyclina sinensis by histological observations and seasonal changes in biochemical components of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were studied by biochemical analysis, from January to December, 2001.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ccessive stages: early active stage (February to April), late active stage (March to June), ripe stage (May to August), partially spawned stage (July to October) and spent/inactive stage (September to February). Total protein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February (early active stage) and appeared the minimum in June (ripe stage), while their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the late active and ripe stages (June) and gradually decreased from July (partially spawned stage) to November (spent/inactive stage). Changes in total protein cont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r = -0.499, p = 0.099). Total lipid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January (the inactive stages) and their contents gradually decreased from February. Their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tissues, however, reached the maximum in June (late active and ripe stage) and gradually decreased from July (the partially spawned stage). On the whole, total lipid cont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r = -0.631, p < 0.05).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trient contents of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uscle tissues change in response to gonadal energy needs. Glycogen contents in the adductor muscle tissue reached the maximum in March (early and late active stages) and decreased from July to September (partially spawned stage). while their contents in the visceral mass tissues reached the maximum in June (late active and ripe stages) and gradually decreased from July (partially spawned stage). Thereafter, their levels gradually increased in November (spent/inactive stage). On the whole, changes in glycogen contents appeared negativ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adductor muscle and visceral mass tissues. However,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t (r = -0.307, p = 0.331).

  • PDF

참돔(Pagrus major)의 혈장 난황단백전구체에 대한 효소면역측정법과 난소성숙의 조기판정 (Enzymeimmunoassay for the Plasma Vitellogenin and Early Determination of Ovarian Maturation in Red Seabream, Pagrus major)

  • 한창희;양문호;백재민;임상구;김광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9
    • /
    • 1995
  • 난황형성 중인 암 참돔의 혈청 내에는 암 특이혈청단백질이 존재하고 있음이 Ouchterlony의 면역확산 검정과 면역 전기영동에 의하여 밝혀졌으며, 이러한 암 특이혈청단백질은 암 $\cdot$수 혈청과 난추출액의 면역학적인 조사에 의해 난황단백 전구체임이 밝혀졌다. 또한 난추출액으로부터 정제된 난황단백질은 난황전구체와 공통의 항원성이 있음도 면역학적인 조사에 의하여 알 수 있었다. 변형한 효소면역측정법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일정 비율로 희석한 성숙중인 암 혈청의 흡광도 곡선은 난황단백질의 표준곡선과 평행하였다 본 효소면역측정법의 평균 회수율은 $109\pm5.6\%$이었으며, $10\%$ 이내의 assay내 변동계수 범위는 $31\~1,000ng/ml$이었다. 생식소의 성숙 단계에 대한 혈장내의 난황단백전구체의 양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휴지기후기(1월)부터 난황형성기(4월)까지 난황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하여 혈장 난황단백전구체의 양을 측정하였다. 난황단백전구체의 양은 난황형성 전기인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난황형성기(3월부터 4월) 동안에는 난이 성장하면서 계속 증가하였다 2월부터 혈장내의 난황단백전구체의 양이 암$\cdot$수에 따라 현저하게 차이가 났다. 따라서 참돔 친어의 성 구분은 효소면역 측정법에 의하여 2월부터는 명확히 할 수 있다

  • PDF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번식생물학적 연구 I. HCG 처리에 의한 배란유도 (Reproductive Bioligy of the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I. The Effect of HCG on Ovulation Induction)

  • 김병호;김경민;이영돈;송춘복;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5-61
    • /
    • 1997
  • 이 실험은 능성어의 친어관리와 종묘생산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HCG 처리에 의한 난의 성숙과 배란유도를 알아보고자 행하였다. 제주대학교 해양연구소와 한라수산에서 1996년 6월에서 8월에 걸쳐 300-400 g, 1,500-2,000 g, 2,500-4,000 g 되는 능성어를 대상으로 하여 HCG를 500-1,000 IU/kg 체중농도로 2-3회 처리하였다. 이들의 생식소 발달은 일반적인 paraffin 절편법에 의하여 haematoxylin과 eosin으로 비교염색하여 조사하였다. 체중 300-400 g, 1,500-2,000 g, 2,500-3,200 g 되는 능성어에 HCG를 500-1,000 IU/kg 체중농도로 2-3회 처리한 결과 생식소는 난원세포군, 20~$30\mu$m 내외의 어린 난모세포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체중 3,400-4,000 g 되는 능성어에 HCG 1,000 IU/kg 농도로 2회 처리한 결과 난경 ~$800\mu$m되는 건강한 난과 퇴행란이 배란되었다. 체중 4,000 g 개체에서 배란된 난수는 4,252개 였으며, 이 중에서 건강한 난은 20.8%, 퇴행란은 79.2%였다. 그리고 생식소내에는 배란 흔적과 함께 난경 ~$50\mu$m전후의 주변인기 난모세포, 20~$30\mu$m의 어린 난모세포들이 차지하고 있다.

  • PDF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Temminck et Schlegel)의 성성숙과 산란 (On the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Greenling, Hexagrammos grammus(Temminck et Schlegel))

  • 정의영;김성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2-236
    • /
    • 1994
  • 1991년 7월부터 1992년 7월까지 부산시 해운대 동백섬 조간대에서 채집된 노래미, Hexagram mosagrammus를 대상으로 성성숙에 관련된 제반 형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추계인 9월부터 증가하여 11월에 년중 최고값인 암 4.31, 수 1.61을 각각 나타내었으며 12월부터 감소하여 춘하계 동안 낮은값을 유지하였다. 2. 간숙도지수(HSI)는 수컷의 경우 뚜렷하지는 않으나, 암컷은 생식소숙도지수와 동일하게 변화하여 생식소가 활성화되는 9월부터 중가하기 시작하여 11월에 2.32의 년중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3. 군성숙도는 암수 모두에서 표준체장 11.0~11.9 cm에서 50 % 이상, 13.0~13.9 cm에서 100 %로 전 개체가 생식에 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성숙 및 산란기인 9월에서 12윌사이 난소내 난경조성의 결과에서 노래미는 한 산란기에 3회 이상의 산란을 행하는 다회 산란종으로 밝혀졌다. 5. 총포란수와 성숙란수는 체장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전중과의 관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비만도는 성장기인 9월에 암수 각각 15.32, 15.14로 최고값을 보인 후 산란기를 지나며 크게 감소하였으며, 3월부터는 다시 서서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비만도의 변화는 생식주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실내사육 농어, Lateolabrax japonicus의 생식소 및 성호르몬의 주년 변화 (Monthly Gonadal and Sex Hormonal Changes of Indoor-Reared Seabass, Lateolabrax japonicus during Annual Reproductive Cycle)

  • 강덕영;한형균;백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14-620
    • /
    • 2002
  • 본 연구는 3년생 양식 가두리산 어미를 실내 수조로 옮긴 뒤 연중 생식소와 호르몬의 주년 변화를 파악하기 2년 동안 매달 샘플을 실시하였다. 형태학적 내분비학적 분석 결과 수컷은 암컷에 비해 앞서 성숙이 진행되고, 산란은 1월말에서 3월 사이에 이루어졌다. 산란기 이후 다음해 1월까지 모든 암컷은 난황형성 이전 단계에 머물러 있었고, 수컷 중 일부는 정자형성 활성을 다시 나타내기 시작했다. 10월에 접어들면서 일조량의 감소와 함께 성장 중인 난모세포에서 cortical alveoli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정자 형성이 점차 늘어났다. 10월과 2월 사이 암컷은 vitellogenesis, 수컷은 spermatogenesis가 일어나며, 난소 성숙지수는 암컷이 4.3$\~$$24.1\%$, 수컷은 $6\%$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산란력 평가를 통해 농어는 다른 해산어류와 유사한 산란 전략을 지니고 있었으며, 다회산란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농어의 생식기 과정동안에 이루어진 성호르몬인 testosterone (T)과 estradiol-17$\beta(E_{2})$ 의 분석 결과 생식기 발달에 따른 농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11월에서부터 2월까지 높은 혈중 T와 $E_{2}$의 농도는 이 시기 수컷의 정자형성과 난소의 성숙란 형성에 있어 이들 호르몬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양식산 농어의 생식기능은 실내 수조에서 발현이 되며, 따라서 인공종묘생산에 필요한 수정란 생산이 실내 수조에서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생쥐 생식소의 발달 단계에 따른 일주기성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the Circadian Clock Genes in the Mouse Gonad)

  • 정미경;최윤정;정경화;김은아;정형민;이숙환;윤태기;채영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8권1호
    • /
    • pp.57-64
    • /
    • 2004
  • 본 연구는 생쥐의 난소 및 정소 조직에서 발달 단계에 따라 나타나는 일주기성 clock유전자의 발현과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쥐의 난소 및 정소에서 일주기성 변화와 연관된 유전자(Period1(Per1), Period2(Per2), Period3(Per3), Cryptochromel(Cry1), Cryptochrome2 (Cry2), Clock, Bmall)와 시교차 상핵에서 분비되어 표적 조직 또는 기관으로 전달되는 물질로 알려진 Prokineticin (Prok2)에 대 한 수용체들 (Prok1r과 Prok2r), PERI 단백질의 발현 양상을 발달 단계에 따라 (post partum day; ppd 1, 7, 10, 21, 35) 확인하였다. 주요 clock 유전자들은 생후 발달 단계에 따라 각각 다양한 발현양상을 보였다. 난소의 경우 많은 난포가 성장을 시작하는 시기인 생후 7일과 10일을 전후하여 발현량이 대부분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정소의 경우에도 발달 단계에 따라 7일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clock유전자들은 생후 7일과 10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발현 양상을 보였다 시교차 상핵에서 분비되어 표적기관으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진 Prok2의 수용체의 경우에도 주요 주기성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과 같은 시기에 발현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생식소 발달 초기에 강하게 발현되나 차후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ER1의 발현양상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난포의 각 발달 단계에서 난소 내 정상적인 난포의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높게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상기의 결과는 Perl 유전자의 발현 양상과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소 내 Per1 유전자와 PER1 단백질의 발현은 모두 생후 10일과 21일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성적으로 성숙됨에 따라 다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PER1 단백질은 생식소의 발생 단계별로 다양한 발현 양상의 차이를 보이며, 정자와 난자의 정상적인 발달에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일주기성 clock유전자들 중 특히 Per1이 생식소의 정상 발달에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차후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