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mso bay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18초

곰소만 및 변산 해역 해수에 병원성 비브리오균(Vibrios spp.)의 분포 (Distribution of Pathogenic Vibrio Species in Seawater in Gomso Bay and Byeonsan, West Coast of Korea)

  • 조의동;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25-630
    • /
    • 2019
  • The pathogenic Vibrio genus contains halophilic bacteria that are distributed in marine and freshwater environments. Vibrio cholerae,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re potent human pathogens and leading causes of septicemia, wound infection, and seafood-borne gastroenter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pathogenic Vibrio species in seawater off the west coast of Korea. Sixty-four seawater samples were obtained from different sites in Gomso Bay and Byeonsan from April 2018 to November 2018. Pathogenic Vibrio species were detected using a combination of most probable number (MPN)-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s. V. cholerae, V. vulnificus, and V. parahaemolyticus were found in 0.0%, 20.3%, and 65.6% of seawater samples, respectively. Quantitative results revealed 3.6-23 MPN/100 mL of V. vulnificus, and 3.6-930 MPN/100 mL of V. parahaemolyticus in the samples. Overall, these results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necessity for seawater sanitation in Gomso Bay and Byunsan; they also provide evidence that will help reduce outbreaks of seafood-borne illness caused by pathogenic Vibrio species.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장기적 변화 (Long-term Variation of Tidal-flat Sediments in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 장진호;류상옥;조영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57-366
    • /
    • 2007
  •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장기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과 2006년에 채취된 표층퇴적물 시료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만 입구 조간대에서는 실트와 점토의 함량이 감소하고 모래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만의 중부와 상부 조간대에서는 모래와 점토의 함량이 감소하고 실트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점토의 함량은 주변의 다른 반폐쇄된 조간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함량 분포를 보였으며, 1991년에 비해서도 뚜렷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퇴적물 구성성분의 뚜렷한 함량 변화는 퇴적상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매립 및 호안건설에 의한 해안선의 변형과 간조선 부근에 빽빽하게 설치된 양식장의 구조물, 그리고 곰소만 북쪽의 새만금 방조제 건설 등에 의한 수리에너지 조건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서해안 갯벌과 주민 생활 -가로림만, 곰소만, 영광 갯벌을 사례로- (Tidal Flats and Resident Life : The Case of Bay, Gomso Bay, Youngwang Tidal Flat)

  • 이윤화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39-351
    • /
    • 2006
  • 뻘중심의 갯벌이 넓게 형성된 가로림만의 웅도리외 모래 갯벌과 염전이 발달한 영광 갯벌의 두우리, 수산 양식업이 발달한 곰소만 주변 지역을 대상으로 조석 주기, 갯벌 지형. 갯벌 퇴적물의 입도 특성과 주민 생활과의 관련성을 검토했다. 갯벌 주변 주민들에게 갯일은 농사일보다 우선되고, 갯벌에서 얻어지는 수입이 이들의 주소득원이다. 갯벌주변의 주민 생활은 조석 주기에 맞추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사리 저조위 때는 가장 바쁘고 많은 소득을 올릴 수 있어 마치 장날과 같다. 뻘 갯벌에서는 패류 양식이 주이고, 모래 갯벌에는 안강망 어업이 활발하며, 해안에 접한 혼합 갯벌에는 염전이 발달한다. 또한 하나의 갯벌에도 경제 활동의 분화가 이루어져 조상대에는 염전과 양어장으로, 조간대에는 패류 양식장으로, 조하대는 굴, 김 양식징으로 이용된다.

  • PDF

한국 남서해안 갯벌의 저서돌말류 종조성 및 생물량 (Composition of Benthic Diatom Species and Biomass in the Tidal Flat of Southwestern Coast in Korea)

  • 공세훈;신윤근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610-619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남서해안 갯벌 중 유부도, 곰소만, 임자도, 여자만 갯벌의 저서돌말류 종조성 및 생물량을 알아보기 위해 2016년 8월과 9월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유부도 갯벌에서 저서돌말류는 48속 181종, 곰소만 갯벌에서 51속 194종, 임자도 갯벌에서 64속 224종, 여자만 갯벌에서 56속 188종이 출현 하였으며, 총 70속 274종이 출현하였다. 분류군 가운데 중심돌말목보다 우상돌말목이 다양하게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중심돌말목의 Paralia sulcata와 Navicula spp.였다. 유부도 갯벌의 생물량은 정점별로 $18.8{\sim}136.1mg\;m^{-2}$, 곰소만 갯벌 $31.9{\sim}215.7mg\;m^{-2}$, 임자도 갯벌 $2.9{\sim}120.2mg\;m^{-2}$, 여자만 갯벌 $10.1{\sim}147.7mg\;m^{-2}$, 4개 지역의 총 생물량 범위는 $2.9{\sim}215.7mg\;m^{-2}$였다. 엽록소 a의 분해 산물인 phaeopigment 농도로는 유부도 갯벌에서 $1.7{\sim}470.8mg\;m^{-2}$, 곰소만 갯벌에서 $52.3{\sim}277.2mg\;m^{-2}$, 임자도 갯벌에서 $0.6{\sim}78.9mg\;m^{-2}$, 여자만 갯벌에서 $39.1{\sim}346.3mg\;m^{-2}$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지역의 종 다양성과 생물량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국의 남서해안은 다양한 저서돌말류가 서식하며 엽록소 a의 높은 농도는 일차생산력을 결정하는 주요인자다.

The Resting Eggs of Marine Cladocerans in the Intertidal Sea-bottom Sediments of Gomso Bay, Korea: Distribution and Evidence of Egg Banks

  • Jo Soo-Gun;Park Jeong-Ok;Suh Hae-Lip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3권2호
    • /
    • pp.126-134
    • /
    • 2000
  •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the marine cladoceran resting egg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of Gomso Bay, Korea and compared the data with those in the subtidal sediments. The abundance of the eggs in the top 6cm of the sediment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depths. The abundances of the eggs in seaward intertidal sediments below mean sea level (MSL)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sediments over MSL, b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the subtidal sediments. The distribution of the resting eggs of cladocerans in the intertidal sediments was affected by the grain-size and moisture content of sedimen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intertidal sediments as well as the subtidal sediments are a potential egg bank which plays important roles in population dynamics of zooplankton in coastal waters, in particular, recruitment of eggs into plankton.

  • PDF

Seasonal Variatio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on the Tidal Flat of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 Chang, Jin-Ho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19-22
    • /
    • 2004
  • Seasonal changes of topograpy, sediment grain size and accumulation rate on the Gomso-Bay tidal flat(Fig. 1), west coast of Korea, hav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Seasonal levelings across the tidal flat show that the landward movement of both intertidal sand shoals and cheiers accelerates during the winter and typhoon period, but it almost stops in summer when mud deposition is instead predominant on the middle to upper tidal flat. Seasonal variations of mean grain size were largest on the upper part of middle tidal flat where summer mud layers were eroded during the winter and typhoon periods(Fig. 2). Measurements of accululation depths from sea floor to basal plate reveal that accumulation rates were season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idal-flat surface(Table 1) : the upper flat, where the accumulation rate of summer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winter, was characterized by a continuous deposition throughout the entire year, whereas on the middle flat, sediment accumulations were concentrated in winter realtive to summer, and were intermittently eroded by typhoons. The lower tidal flat were deposited mostly in winter and eroded during summer typhoons. Cancores taken across the tidal flat reveal that sand-mud interlaers resulting from such seasonal changes of energy regime are preserved only in the upper part of the deposits and generally replaced by storm layers downcore(Fig. 3). Based on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storm deposits formed by winter stors and typhoons would consist of the major part of the Gomso-Bay deposits(Fig. 4).

  • PDF

곰소만 해역 해수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Vibrio parahaemolyticus)의 항균제 내성 및 최소발육억제농도의 구명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Gomso Bay, Korea)

  • 김태옥;엄인선;김희대;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82-588
    • /
    • 2016
  • Seventy-nine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s from surface seawater from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virulence genes and their susceptibility to 30 different antimicrobials. All 79 isolate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two virulence genes (tdh or trh)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however, no isolates possessed either the tdh or trh gene. According to a disk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 all of the strains studied were resistant to oxacillin, penicillin, and vancomycin, followed by ticarcillin (97.5%), ampicillin (96.2%), clindamycin (86.1%), erythromycin (10.1%), streptomycin (7.6%), cefoxitin (6.3%), amikacin (2.5%), and cephalothin (2.5%). However, all of the strains were susceptible to 19 other antimicrobials including cefepime, cefotaxime, chloramphenicol, gentamycin, nalidixic acid,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and trimethoprim. All 79 isolates (100%) were resistant to four or more classes of antimicrobials, and two strains exhibited resistance to eight antimicrobial agents. The averag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for V. parahaemolyticus for ampicillin, penicillin, ticarcillin, and vacomycin were 946.5, 1,305.9, 1,032.3, and 45.0 µg/mL, respectively.

곰소만 지역의 기반암 및 상부 층서 파악을 위한 시험 탄성파반사법 탐사 (A Short Seismic Reflection Survey for Delineating the Basement and the Upper Units of the Gomso Bay, Yellow Sea)

  • 김지수;양우헌;한수형;김학수
    • 지질공학
    • /
    • 제16권2호
    • /
    • pp.161-169
    • /
    • 2006
  • 곰소만의 기반암과 상부 층서들을 규명하기 위해 짧은 측선의 탄성파 반사법탐사가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주로 자료 처리에서 신호대잡음을 높임으로써 기반암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자료처리의 주요과정은 종합 전후과정에서 모두 큰 진폭의 잡음에 가려진 신호성분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시변필터, 불량 트레이스 제거, f-k 필터와 NMO 보정 후의 뮤팅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이 연구에서 규명된 기반암과 상부 층서들은 이전에 수행된 MT자료의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며 당시에 자료질의 한계로 규명되지 못한 측선 중앙부근에서 기반암 표면이 약 30m 깊이의 수평층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 곰소만 연안조망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organisms caught by the coastal beam trawl in the Gomso Bay, Jeollabuk-do of South Korea)

  • 주영환;윤상철;최지훈;강명희;김진구;조현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60권2호
    • /
    • pp.101-113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organisms captured using coastal beam trawling in Gomso Bay, Jeollabuk-do, from January to December 2022.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a total of 20,246 individuals belonging to 94 marine species were captured, with a combined biomass of 602,828 g. Fish exhibited the highest abundance, comprising 56 species, followed by crustacea (21 species), bivalvia (8 species), cephalopoda (5 species), gastropoda (3 species), and holothuroidea (1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as Leiognathus nuchalis, constituting 14.0% of the total individuals, followed by Portunus trituberculatus at 12.1%, Oratosquilla oratoria at 10.4%, Crangon hakodatei at 9.9%, and Metapenaeus joyneri at 7.9%. The diversity index ranged from 1.72 to 2.55, with the lowest diversity observed in March and the highest in July. Cluster analysis based on species composition of the 27 most common species showed that aquatic organism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pring and summer organisms (Group A) and summer organisms (Group B) and autumn and winter organisms (Group C).

색소분석을 통한 곰소만 내 해수와 퇴적물 중 미세조류 생체량과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변화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Microalgal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 in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 of the Gomso Bay as Determined by Chemotaxonomic Analysis)

  • 이용우;박미옥;윤지현;허성범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2호
    • /
    • pp.87-94
    • /
    • 2012
  • 만의 대부분이 조간대(약 75%)인 전라북도 곰소만 내 해수와 퇴적물 중 미세조류의 생체량과 군집조성의 월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1999년 2월부터 2000년 1월까지는 매월, 2000년 2월부터 12월까지는 격월로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HPLC)를 이용하여 광합성색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해수 중 미세조류의 군집구조를 조절하는 환경요인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온, 염분, 영양염류, 용존산소, 화학적산소요구량을 분석하였다. 해수 중 미세조류의 월별 분포는 대체로 담수의 유입으로 인한 영양염류의 공급이 많은 시기에 높은 생체량(chlorophyll a)을 보였다. 퇴적물 중 저서미세조류의 생체량은 국내외 다른 갯벌지역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단위 면적당 적분한 해수 중 미세조류의 생체량에 비해서 2-3배 낮게 나타났다. 해수와 퇴적물 중 미세조류의 색소분석 결과, 규조류의 주요색소인 fucoxanthin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fucoxanthin과 chlorophyll a의 월 변화가 유사한 양상을 보여 곰소만 내 갯벌과 해수 중 미세조류는 규조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조하대 표층 해수 중 미세조류 생체량(chlorophyll a)의 월 변화는 갯벌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 생체량의 월 변화와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현미경 관찰을 통한 해수 중 미세조류의 종조성 분석 결과, 저서미세조류의 우점종인 저서성 규조류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곰소만 갯벌에서 재부유되어 조하대로 공급되는 저서미세조류가 조하대 표층 생태계에 서식하는 생물에게 먹이원으로서의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시사한다. 갯벌에서 재부유되어 조하대로 공급되는 미세조류의 정확한 평가와 함께 조하대에서 이들의 수직, 수평 거동과 관련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