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gi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3초

고유수용성 척수 반사(proprioceptive spinal reflex)를 응용한 근골격계 치료 기법의 고찰 (A Study of Manipulative Treatments for Musculoskeletal Problems Applying Proprioceptive Spinal Reflex)

  • 고은상;이종화;송윤경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1-92
    • /
    • 2006
  • Objectives: To review recent findings from physiologic research about the nature of proprioceptive spinal reflex, proposed explanation for mechanisms of musculoskeletal problems associated with propriceptive dysfunction and techniques controlling this problem. Methods: MEDLINE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various combinatins of the keywords proprioception, spinal reflex, somata-somatic reflex, spinal manipulation, muscle spindle, Golgi-tendon organ, along with searching the related articles and textbooks. Results and Conclusion: Proprioceptors(muscle spindle, Golgi-tendon organs) monitor the position of joints, tension in tendons and ligaments, and the state of muscular contraction. Disturbed activity of proprioceptive spinal reflex can cause chronic state of increased muscle stiffness, pain, deficiencies both in muscle coordination and propioception, and so on. All kinds of techniques that control proprioceptive primary afferent neurons can affect the motor control system and evoke changes in the neuromuscular system.

  • PDF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DP-ribosylation factor 1b from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Son, So-Hee;Jang, Jin-Hyeon;Jo, Hyeon-Kyeong;Chung, Joon-Ki;Lee, Hyung-H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10.1-10.7
    • /
    • 2017
  • Small GTPases are well known as one of the signal transduction factors of immune systems. The ADP-ribosylation factors (ARF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peptide sequence, protein molecular weight, gene structure, and phylogenetic analysis. ARF1 recruits coat proteins to the Golgi membranes when it is bound to GTP. The class I duplicated ARF gene was cloned and characterized from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r this study. PoARF1b contains the GTP-binding motif and the switch 1 and 2 regions. PoARF1b and PoARF1b mutants were transfected into a Hirame natural embryo cell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its GDP/GTP-bound state; consequently, it was confirmed that PoARF1b associates with the Golgi body when it is in a GTP-binding form. The results of the qPCR-described PoARF1b were expressed for all of the P. olivaceus tissues. The authors plan to study the gene expression patterns of PoARF1b in terms of immunity challenges.

큰발웃수염박쥐 (Myotis macrodactylus)에 있어서의 정자변태 (Spermiogenesis in the large-footed bat, Myotis macrodactylus)

  • 손성원;이정훈;신화정;최병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1호
    • /
    • pp.96-110
    • /
    • 1995
  • In order to clarify the process of spermiogenesis of the large-footed bat, Myotis macrodactylus, the testis and the epididymis obtained from mature male bats were examined by electron microscope. Based on the variety and diagnostic characters of organells, the spermiogenesis of the large-footed bat. Myotis macrodactylus could be divided into a total of nine phas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The spermiogenesis of large-footed bat, Myotis macrodactylus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level of fine structural differentiation into five phases, Golgi, cap, acrosome, maturation and spermiation phases, respectively; Golgi, cap, acrosome and spermiation phases were further subdivided into steps of early and late phase respectively and maturation phase has only one step. Hence, the spermiogenesis of the large-footed bat has been divided into a total of nine phases. 2. In the change of chromatin with nucleus, the chromatin granules are condensed in the whole part of nucleus at the late Golgi phase and completed at the maturation phase. 3. The sperm tail in the epididymis consists of nine outer doublets and two central singlet microtubles. Nos. 1, 5, 6, 9 of the outer dense fibers were larger than the others (2, 3, 4, 7, 8).

  • PDF

ApPDE4 long-form의 N-말단 돌연변이체들의 세포내타기팅과 타기팅 기전 분석 (Analysis of molecular mechanism of cellular localization of various N-terminal mutants of Aplysia PDE4 in HEK293T cells)

  • 엄수민;전용우;김건형;이진아;장덕진
    • 분석과학
    • /
    • 제29권1호
    • /
    • pp.10-18
    • /
    • 2016
  • Phosphodiesterase(PDE)는 세포내에서 cAMP를 분해하는 효소로 세포의 신호 전달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전의 연구를 통해 군소에서 클로닝된 PDE4 long-form의 N-말단에 위치하는 16개 아미노산만으로 충분히 원형질막에 타기팅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ApPDE4의 N-말단 16개(L(N16))를 주형으로 해서 9-11번째와 15번째 아미노산들(RHW-C)을 무작위적으로 아마노산에 돌연변이를 주어서 세포내 타기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원형질막과 골지체로 타기팅되는 돌연변이체들과 골지체로만 타기팅되는 돌연변이체들과, 소포체와 골지체로 동시에 타기팅되는 돌연변이체들과, 세포질에만 위치하는 돌연변이체들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타기팅에 palmitoylation이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palmitoylation 억제제인 2-BR을 처리해보니 대부분의 돌연변이체에서 원형질막 타기팅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통해 palmitoylation이 ApPDE4 돌연변이체들의 원형질막 타기팅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돌연변이체들중 골지체로만 타기팅되는 L(N16,C3S/VV/G)-mRFP와 L(N16,C3S/LFS/R)-mRFP와 L(N16,EPL/R)-mRFP들의 경우는 골지체 타기팅에 인지질 중에 하나인 PI4P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압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소뇌 조롱박세포 가지돌기가시 관찰 (Observation of Dendritic Spines of Purkinje Cell Using High-Voltage Electron Microscopy)

  • 유임주;이계주;서영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01
  • 신경세포 가지돌기가시의 형태를 분석하는 것은 신경세포의 기능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가지돌기가시는 광학현미경 해상도의 한계근처에 있는 구조물로 투과전자현미경 및 공초점헌미경 등을 이용한 연구들이 보고 되고 있다. 고압전자현미경은 높은 해상도와 투과능력 덕분에 두꺼운 절편의 관찰이 용이하여 신경세포의 가지돌기가시 등을 관찰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압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신경세포의 가지돌기가시를 효과적으로 관찰하는방법을 확인하고 기본적인 형태학적 자료를 축적하고자 하였다. 생쥐 소뇌에 위치하는 조롱박세포의 가지돌기가시를 anti-calbindin 28kD항체 및 Golfi 염색으로 표지한 후 $4{\mu}m$두께의 절편을 제작하여 impregnation방법으로 각각 처리하여 표본을 제작한 후, 초고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효과적인 관찰방법을 찾고, 영상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가지돌기가시의 밀도와 가시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초고압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면역조직화학법과 Golgi법 모두 조롱박세포의 가지돌기가시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Golgi법으로 준비된 표본이 가시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에 더욱 적합하였다. 명상분석 결과로는 가지돌기 가시의 평균밀도가 $24.5{\pm}3.6$개/$10{\mu}m$였고, 가시의 평균길이는 $1.12{\pm}0.22{\mu}m$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Gogli 법으로 염색된 조롱박세포를 고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가지돌기가시를 정량적으로 관찰할만한 만족스러운 영상을 얻을 수 있었고, 추후 경사를 주어 촬영한 두 장의 사진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분석하면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소뇌의 신경가소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PDF

한국산 긴날개 박쥐(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의 정자변태 (Spermiogenesis in the Korean long-Fingered Bat (Miniopterus schreibersi fuliginosus))

  • 손성원;이정훈;최병진;신화정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05-416
    • /
    • 1995
  • 한국산 긴날개박쥐의 정자변태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소와 정소상체 미부를 적출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이들 각각의 변태과정에서 나타내는 특징들을 Lee 등 (1992)의 방법에 의해 구분하였고 특히, 첨체형성발달단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세포구조물 특징에 따라서 두모단계, 첨체단계, 이탈단계를 각각 전, 후기로, 골기 단계는 전, 중, 후기로 성숙단계를 1단계로 세분하여 10기로 나눌 수 있었다. 저장정자의 중편부의 축사구조는 9+2이며, Outer dense fiber 중에서 특히 Nos. 1, 5, 6, 9가 컸다. 특히, 첨체형성단계에서 볼 때, 골기 단계에서는 골기체로부터 떨어져 나온 작은 골기낭들이 서로 융합하여 커다란 소포를 형성하여 핵 상단면과 접하여 나타나는 점으로 보아 종래에 기술되어온 과립상의 소포가 첨체소포라고 명명되어 왔으나 본 조사의 결과에서 볼 때, 이미 세포질내에 합성된 첨체의 전구물질이 골지체로 이송되고 골지 소낭으로 이송된 물질이 소포와 융합하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Lee 등 (1992) 의 견해처럼 골지낭으로 여겨지며 골지낭에 첨체의 전구물질이 더욱 더 응축되어 균질화 하여 첨체를 형성하게 되리라 여겨진다.

  • PDF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정소 구성세포의 미세구조와 기능 (Ultrastructure and Role of Somatic Cells in Macrobrachium nipponense Testis)

  • 김대현;강정하;한창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03-407
    • /
    • 2000
  • 징거미새우의 정소는 간췌장의 배면 측상부에서 심장사이에 위치하며, 한 쌍의 소엽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 소엽의 선단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각 소엽은 수많은 세정관이 결합조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세정관은 생식세포와 지주세포가 밀착되어 있는 생식세포대를 제외한 부분은 낮은 입방상피에 의해 내강이 형성되어 있고, 세정관의 제일 바깥은 단층편평상피로 둘러싸여 있다. 세정관 사이에는 결합조직 외에 Leydig cell-like cell도 관찰된다. 단층편평상피세포는 얇은 측면으로 연결되어 있고 종종 이웃한 세포와 포개져 있다. 지주세포는 생식세포에 비해 그 수가 현저히 적고, 대부분 생식세포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지주세포의 세포질은 기저판과 접해 있어 기저면과 생식세포 사이는 지주세포의 원형질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지주세포의 핵은 대부분 각져 있고, 크고 현저한 인이 핵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낮은 입방상피세포는 세정관의 기저판과 접하고 있는 기저면과 일부는 생식세포대와 내강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입방상피세포의 세포질에서는 횡 방향의 크리스테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 층상구조의 조면소포체 그리고 Golgi 복합체들이 매우 발달되어 있다. 그리고 조면소포체와 Golgi 복합체의 볼록한 형성면 사이에는 전이소낭이, Golgi 복합체의 성숙면에서는 분비소낭이 관찰되며, 상피세포의 선단에 수많은 홈들이 존재하는 점으로 보아 exocytosis에 의해 내강으로의 물질 분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간흡충에 감염된 실험쥐 담관 섬유모세포의 미세구조적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 of the Bile Duct Fibroblast at Infected Rat with Clonorchis sinensis)

  • 김수진;민병훈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2호
    • /
    • pp.121-130
    • /
    • 2004
  • 동물의 결합조직에 분포하고 있는 섬유모세포 (fibroblast)는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한 종류로서 세포질 돌기들이 잘 발달된 형태적 특징이 있는 것으로 실험쥐 담관의 경우 간흡충 등의 기생충에 의하여 물리, 화학적 상해를 받았을 때 세포변이가 유발될 뿐만 아니라, 담관 암세포로 전이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자 등은 실험쥐의 담관이 기생충에 의한 상해를 받았을 때 섬유모세포의 세포 표면과 세포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험쥐 담관에서 섬유모세포를 분리하여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조군 실험쥐 담관의 섬유모세포들은 일반적인 형태로 세포돌기, 세포표면 및 세포질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간흡충 감염군 실험쥐 담관의 섬유모세포는 미세소관에 의한 세포질 돌기들이 다수 발달하고 다양한 종류의 포낭형 조면소포체 그리고 세포질에 전자밀도가 높은 다양한 액포, 높은 밀도의 리보좀을 포함하는 조면소포체, 다양한 형태의 과립 및 많은 수의 미세섬유가 관찰되는 형태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의 섬유모세포는 간흡충에 의하여 상해 받은 세포가 물리화학적 자극에 의한 적응으로 단백질 합성이 증가하며 multi-vesicular 형태의 Golgi복합체가 생성되고, 세포질돌기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포질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multi-vesicle은 당말단인 sialic acid를 포함하고 세포내에서 세포표면의 미세융모에 이르기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간흡충 감염 실험쥐로부터 분리된 섬유모세포는 actin단백으로 구성된 세포돌기가 잘 발달하고, 세포내 조면소포체에서 형성된 단백질이 Golgi복합체에서 당말단인 sialic acid로 전환되어 세포표면에 분포하게 된다. 이는 간흡충 감염으로 물리 화학적 자극 자극받은 섬유세포가 미세구조적 변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