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ld nanoparticle aggrega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자기조립 풀러렌$[C_{70}]$-금 나노입자 필름 제조와 초음파적, 화학적 안정성 (Ultrasonic, Chemical Stability and Preparation of Self-Assembled Fullerene$[C_{70}]$-Gold Nanoparticle Films)

  • 고원배;손영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0권4호
    • /
    • pp.272-276
    • /
    • 2005
  • 3-aminopropyltrimethoxysilane을 처리한 반응성 있는 유리표면 위에 'dirt-ball' 방법을 사용하여 $C_{70}$-금 나노입자 다중성막 필름을 자기조립하였다. 표면처리한 유리막을 $C_{70}$${\omega}$-아미노기를 가진 금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용액속에 담그었다. 유기반응(아민화 반응)은 여러층으로 쌓인 다중성막 $C_{70}$-금 나노입자 필름을 용이하게 자기조립 할 수 있었다. $C_{70}$-금 나노입자 필름의 화학적 안정성은 산성용액에 필름을 담근후 흡수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나노입자 필름의 초음파적 안정성은 초음파 조건에 $C_{70}$-금 나노입자 필름을 노출하여 초음파를 조사 시킨후 고체 표면 위에 부분적인 탈착도의 변화와 작은 정도의 응집성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화학적환원에 의한 DNA-mediated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NA-mediated Gold Nanoparticles by Chemical Reduction Method)

  • 손준연;손정선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515-519
    • /
    • 2015
  • DNA템플릿을 이용한 금속 나노입자 합성을 위하여 먼저 DNA와 Gold(III) chloride ($HAuCl_4{\cdot}3H_2O$)의 복합체를 합성하고 UV-Vis spectroscopy 등으로 확인하였고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에 의해 그들의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합성된 복합체에 hydrazine ($N_2H_4$)과 sodium borohydride ($NaBH_4$)와 같은 환원제를 도입하여 화학적 환원을 유도함으로써 DNA 매트릭스에서의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환원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금 나노입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조사하였다. 환원제로 hydrazine ($N_2H_4$)을 사용한 경우 DNA-Au(III) complex의 환원에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다. 합성된 DNA-mediated gold nanoparticle에 대하여 SEM, particle size analyzer (PS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를 이용하여 특성조사를 하였다. 수 nm의 작은 입자들이 응집되면서 대략 55~80 nm의 크기를 갖는 금 나노입자의 클러스터를 형성하였고 이들은 DNA 매트릭스에서 확인되었다.

DNA-Functionalized Polymers and Nanoparticles for Gene Sensing

  • Maeda, Mizuo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33-34
    • /
    • 2006
  • The graft copolymer consisting of poly(N-isopropylacrylamide) (PNIPAAm) and single-stranded DNA was prepared. Interestingly, the copolymer was found to form nanoparticles above physiological temperature. We found that non-crosslinking aggregation of the nanoparticles was induced by the hybridization of the surface-bound DNA with the full-match complementary DNA, but not with one-base mismatch. The core material is not restricted to PNIPAAm; DNA-functionalized gold nanoparticle was found to show a similar aggregation induced only by the fully-complementary DNA, resulting in rapid color change within 3 min at ambient temperature. This methodology is general in principle and applicable for wide variety of clinical gene diagnosis.

  • PDF

금 나노 입자 응집 원리를 이용한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비색-신속 농약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a Colorimetric Rapid Detection Method for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Pesticides using Gold Nanoparticle Aggregation Principle)

  • 김효인;이정은;김솔아;문효영;조성래;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69-27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혈청 내 AChE가 acetylthiocholine과 반응하여 GNP에 aggregation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신선채소 농산물 중에 저농도 농약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의 최적화를 위해 GNP 입자의 크기에 따른 응집정도를 확인하여 15~20 nm 직경의 GNP를 선정하였고, 혈청의 희석배수와 acetylthiocholine의 농도를 확인하여 GNP 응집 차이가 가장 큰 혈청 1000배 희석과 acetylthiocholine 1 mM을 최적화 조건으로 선정하였다.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의 평가를 위해 최적화된 비색농약분석법을 이용하여 유기인계 농약은 dimethyl amine으로 카바메이트계 농약은 carbofuran으로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모두 7.5 ng/mL까지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과 비교했을 때 높은 민감도와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농약 이외에 화학물질인 곰팡이독소 등에 대한 반응성은 확인되지 않아 높은 특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추, 깻잎, 양상추에 대한 시료 전처리법을 확립하고 임의로 오염시킨 3종(상추, 깻잎, 양상추)의 농산물에 대해서 회수율을 확인한 결과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을 83.85~133.16% 정도의 회수율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비색-신속 농약 검출법을 이용한다면 시판 농산물의 잔류농약을 신속하고 민감도 높게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Simple and Rapi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creening Test Using a Mannose-Binding Lectin (MBL)-Conjugated Gold Nanoparticle Probe

  • So Yeon Yi;Jinyoung Jeong;Wang Sik Lee;Jungsun Kwon;Kyungah Yoon;Kyoungsook Par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5호
    • /
    • pp.698-705
    • /
    • 2023
  • Rapid diagnosi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essential for guiding clinical treatment and preventing the spread of MRSA infections. Herein, we present a simple and rapid MRSA screening test based on the aggregation effect of mannose-binding lectin (MBL)-conjugated gold nanoparticles (AuNP), called the MRSA probe. Recombinant MBL protein is a member of the lectin family and part of the innate immune system. It can recognize wall teichoic acid (WTA) on the membrane of MRSA more specifically than that of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MSSA) under optimized salt conditions. Thus, the MRSA probe can selectively bind to MRSA, and the aggregation of the probes on the surface of the target bacteria can be detected and analyzed by the naked eye within 5 min. To demonstrate the suitability of the method for real-world application, we tested 40 clinical S. aureus isolates (including 20 MRSA specimens) and recorded a sensitivity of 100%. In conclusion, the MRSA probe-based screening test with its excellent sensitivity has the potential for successful application in the microbiology laboratory.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농약 신속 검출을 위한 역 Y자 스트립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verted Y-Shaped Strip for the Detection of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Residual Pesticides)

  • 이정은;김솔아;박현진;문효영;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농약의 음성시료에서는 acetylcholinesterase와 acetylthiocholine을 반응시켜 +전하와 -전하를 가지는 thiocholine으로 분해되어 금 나노입자를 응집시켜 역 Y자 스트립상에서 청자색의 반응선(띠)을 형성하고 양성 시료에서는 생성시키지 않는 원리를 이용한 신속 농약 검출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분석법은 유기인계 농약 말라옥손과 카바메이트계 농약 카보퓨란을 각각 10 ng/mL 수준까지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2종의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EPN, dichlorvos)에 대해 추가적으로 검출 한계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10 ng/mL 수준까지 모두 검출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3종의 트리아진 계열의 농약과 각 1종의 피레스로이드, 카복사마이드, 페닐아마이드 및 유기염소계열의 농약에 대해서는 반응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농약 분석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임의로 오염시킨 농산물 시료를 대상으로 분석법의 회수율을 확인한 결과, 말라옥손에 대해서 96.4에서100.7%, 카보퓨란은 81에서112.7%의 회수율이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역 Y자 스트립을 농약 검출법으로 이용한다면 농산물과 농업환경 중 존재하는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잔류농약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