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jongsi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3초

예천지역 천일건조 곶감의 품종별 품질특성 비교 (The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Persimmons Manufactured by Solar Drying Method in Yecheon)

  • 박효원;오성일;조문경;김철우;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4호
    • /
    • pp.422-427
    • /
    • 2018
  • 본 연구는 천일건조법으로 제조된 품종별 곶감의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품종 간 차이를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천일건조한 4품종 곶감(고종시, 고동시, 상주둥시, 갑주백목)의 물리적 특성(수율, 경도, 당도,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색도)과 관능적 특성(외관, 맛, 식감, 전반적기호도)을 조사한 결과, 수율은 갑주백목이 29.4%로 가장 높았고, 경도는 모든 품종에서 6.11~9.62 N 범위로 갑주백목(9.62 N)이 가장 높았다. 반면 당도는 고종시($27.3^{\circ}Brix$)가 가장 높았으며 품종 간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p<0.05). 수분활성도는 0.784~0.819 범위로 나타났으며, 고종시(0.784)가 매우 낮았다. 수분함량은 갑주백목(37.51%)이 가장 높았으나 상주둥시(35.32%)가 가장 낮았다. 색도(L, a, b)는 상주둥시(34.56, 9.24, 17.07)가 모든 항목에서 높은 반면, 갑주백목(29.17, 5.68, 13.59)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전반적 기호도는 고종시(5.16), 고동시(5.16)가 가장 높았으며 상주둥시(4.26), 갑주백목(3.95)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천일건조한 품종별 곶감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은 그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과피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Persimmon Peel Powder)

  • 임현숙;차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20-630
    • /
    • 2014
  • Traditionally, the persimmon Gojongsi (Diospyros kaki Thunb) is peeled to make dried persimmons and the skins are thrown away.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persimmon peel powder were tested for recycling of the persimmon peels. The amounts of persimmon peel powder added to the cookies were about 0, 5, 7, 9 and 11%. The densities of the cookie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persimmon peel powder containing experimental group were 1.25 and 1.25~1.37 respectively. The pH was 6.02 for the control group and 5.95~6.01 for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isture content were observed between groups at 3.34 and 2.16~3.31 for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spectively (p<0.05). The spreadabilities and loss rates of the cook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persimmon peel powder (p<0.05). In contrast, the loss rates and leavening rate of the cooki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decreasing amounts of persimmon peel powder (p<0.05). The lightness of the cookie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p<0.05), while the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persimmon peel powder. The hardness (kg) of the control group was 0.847 while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0.904~1.110. In the QDA, the results of sensory characteristic analysi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arned 11% higher scores for color, flavor, taste, and bitterness, 7% higher for appearance and 9% higher for after taste.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revealed the experimental group to have a 7% more positive evaluation for color, favor, taste and texture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grounds of the experiment above, the optimal mixture ratio from the sensory test was found to be 7% persimmon peel powder in the cookies.

떫은감의 품종별 고농도 이산화탄소의 저장효과 (Comparison of Fruit Quality of Various Astringent Persimmon Cultivars during Storage in Atmosphere Controlled with High $CO_2$Concentration)

  • 김창배;이숙희;김찬용;윤재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80-385
    • /
    • 1999
  • CA저장에 적합한 떫은감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청도반시, 사곡시, 고종시, 봉옥시 4품종을 공시하여 $CO_2$농도를 12, 16%로 하였으며 $O_2$농도는 같이 3%로 하여서 약 160일간 저장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였으며, 청도반시, 사곡시, 고종시는 $CO_2$12%, $CO_2$16% 모두 일반 저온저장고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봉옥시는 고농도의 $CO_2$로 가용성 고형분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경도변화에서 청도반시, 사곡시 및 고종시는 고농도의 $CO_2$에 의한 CA저장에서 일반 저온저장보다 경도 유지가 좋았고 봉옥시는 CA저장과 일반 저온저장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장기저장시 청도반시의 중량감소가 가장 적었고, 고종시의 중량감소가 가장 컸다. 장기저장에 따른 부패과 발생은 $CO_2$농도가 높을수록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청도반시, 사곡시에서 발생율이 현저히 낮아서 CA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색도변화에서 CA저장으로 Hunter값이 약간 증가하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청도반시, 사곡시, 고종시는 일반 저온저장, CA저장에서 저장기간이 오래 경과해도 tannin 지수가 높아서 추후 탈삽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봉옥시는 고농도 $CO_2$로 탈삽이 진행되었으나 과육이 검게 변하는 갈변화 현상을 보였다.

  • PDF

감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二報) 품종별(品種別) 탈삽조건조사(脫澁條件調査)와 실용화(實用化)를 위한 기초시험(基礎試驗)-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Persimmons. -(Part 2) Investigation of the Conditions in the Removal of Astringency and Preliminary Test for the Practical Utilization-)

  • 손태화;최종욱;조래광;석호문;윤인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2호
    • /
    • pp.99-103
    • /
    • 1976
  • 경남북지방(慶南北地方)에서 많이 재배(栽培)되고 있는 품종중(品種中) 8품종(品種)의 삽시(澁?)를 선정(選定)하여 탈삽(脫澁)에 따른 가용성(可溶性) tannin의 변화(變化), 경도(硬度) 및 당(糖)의 변화(變化)와 아울러 탈삽후(脫澁後)의 품질변화(品質變化)에 대(對)하여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가용성(可溶性) tannin의 함량(含量)은 사곡시(舍谷?), 의성반시(義城盤?) 청도반시(淸道盤?)의 순(順)으로 많았으며 탈삽소요일수(脫澁所要日數)는 단성시(丹城?)가 2.5일(日)로 가장 빨랐으며 사곡시(舍谷?)가 가장 늦은 4.5일(日)이었다. 2. 경도(硬度)는 사곡시(舍谷?), 청도반시(淸道盤?)가 가장 높았고 채취 시기가 늦은 품종(品種)일수록 점차 저하(低下)되었다. 3. 당(糖)의 함량(含量)은 고종시(高宗?)가 가장 높았으며 사곡시(舍谷?)가 낮았다. 그리고 탈삽경과중(脫澁經過中) 당(糖)의 변화(變化)는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다. 4. 탈삽후(脫澁後) 품질유지(品質維持), 청도반시(淸道盤?), 사곡시(舍谷?), 의성반시(義城盤?)의 3품종(品種)이 양호(良好)하였다.

  • PDF

품종별 곶감(Diospyros kaki)의 영양성분 분석, 산화방지 효과 및 뇌 신경세포 보호효과 (Nutritional composition, antioxidant capacity, and brain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cultivars of dried persimmon (Diospyros kaki))

  • 김종민;박선경;강진용;박상현;박수빈;유슬기;한혜주;이수광;이욱;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25-23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떫은감의 5가지 공시품종인 상주둥시, 고종시, 고동시, 갑주백목, 청도반시를 이용하여 가공된 곶감의 유리당, 지방산, 무기성분, 구성 아미노산, 바이타민 C와 같은 영양성분 분석을 진행하였고,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in vitro 상에서 ABTS,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을 측정하였고, FRAP, 지방질과산화물 생성 억제효과,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MC-IXC 뇌 신경세포에서 신경세포 생존율과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세포막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유리당 분석에서는 상주둥시 품종이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함량이 가장 높았고, 지방산 함량은 상주둥시 품종에서는 올레산(oleic acid)이, 고동시, 고종시, 갑주백목, 반시에서는 팔미트산(palmitic acid)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포타슘과 인의 함량이 다른 무기성분들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아스파트산(aspartic acid)과 글루탐산(glutamic acid)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바이타민 C 역시 5 품종 모두 검출되었다. 또한, 총 페놀성 화합물을 상주둥시의 95%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고, ABTS, DPPH 라디칼 제거 활성과 FRAP, 지방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활성 그리고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 활성에서 갑주백목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뇌 신경세포 생존율은 갑주백목이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와 뇌 신경세포 세포막 보호효과 역시 갑주백목이 가장 큰 억제 활성과 보호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곶감은 뛰어난 산화방지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근간으로 뇌 신경세포 보호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리활성능력은 임산물의 고부가가치 소재개발에 있어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재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생리활성 물질의 검증이 부족하고, 산화방지 활성이 in vitro 상의 효과에 국한된 점에서 향후 물질분석과 인기지능 개선 효과 검증을 통해 인기지능 개선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연구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