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by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산 밀어 (Rhinogobius brunneus)의 산란습성, 난발생 및 자어의 형태발달 (Spawning Behavior and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of the Korea Freshwater Goby, Rhinogobius brunneus (Gobiidae: Perciformes))

  • 한경호;김용억;최규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4-120
    • /
    • 1998
  • 밀어 어미를 경상남도 김해군 상동면 매리에 위치한 하천에서 끌망과 쪽대을 사용하여 채집하여 사육하여 1995년 2월부터 5월까지 6차례에 걸쳐 산란행동과 난발생 과정을 관찰하였으며, 부화한 자어를 사육하면서 성장에 따른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1. 산란된 알은 수조내의 작은 돌 아랫면에 거의 원형에 가깝게 한층으로 조밀하게 매달려 있었으며, 방정후 수컷은 알을 보호하였다. 2. 수정난은 난경이 $1.28\~$1.56\times0.62\~0.67mm$로 부착사를 지닌 투명한 침성란으로 많은 소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3.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사육수온 $16.0\~18.0^{\circ}C$ (평균 $17.0^{\circ}C$)에서 수정후 146시간 30분부터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4. 밀어의 알은 발생 후반에 배체의 머리 부분이 난황의 선단부를 향하는 정상난과 반대로 난막의 기부, 즉 부착사 쪽을 향하는 역자난이 출현하였다. 5.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3.10\~3.30mm$ (평균 3.22 mm)로 입과 항문이 열려있지 않았고, 흑색소포는 부레위, 항문 주변, 꼬리 중앙부분의 배쪽에 산재되어 있었으며, 근절수는 $25\~27$개 였다. 6. 부화후 $3\~4$일째의 자어는 전장 $3.30\~3.85mm$(평균 3.60mm)로 난황과 유구가 거의 흡수되어 입과 항문이 열리고, rotifer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7 부화후 $20\~22$일째 개체는 평균 전장 5.85mm로 성장하였으며, 척소미단이 $45^{\circ}$ 정도로 위로 굽어져 있었다.

  • PDF

별망둑 the gluttonous goby Chaenogobius gulosus 후각기관의 해부, 조직학적 특성 및 동소 망둑어과 출현종들과의 비교연구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Gluttonous Goby Chaenogobius gulosus(Pisces, Gobiidae), Compared to Sympatric Intertidal Gobies)

  • 김현태;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서해의 모래와 암반 조간대에 서식하는 별망둑 Chaenogobius gulosus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구조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동소종(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들과 비교하였다. 별망둑은 튜브형 전비공, 표면과 평행하는 후비공, 세로배열의 한 개 후판, 두 개 비낭, 후상피 하부에 풍부한 림프구, 호산구, 후감각뉴런에서 후돌기 직경의 1/4의 섬모 길이의 일반적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특징들 중 1) 0.5~1.0 mm의 전비공 직경, 0.2~0.5 mm의 후비공 직경(vs. 미끈망둑의 0.2~0.3 mm, 0.2~0.3 mm; 날개망둑의 0.2~0.4 mm, 0.1~0.3 mm의 전비공과 후비공 직경), 2) 감각상피에서의 상대적으로 풍부한 림프구, 3) 비감각섬모의 부재(vs. 미끈망둑에서 높은 분포; 날개망둑에서 낮은 분포), 4) 후감각뉴런의 후돌기 대비 1/4의 섬모 길이(vs. 미끈망둑의 1/4에서 1 : 1 비율 혼재; 날개망둑의 2~3배)는 두 동소종들과 비교되는 특이적인 결과였다. 결론적으로, 별망둑 후각기관의 해부 및 조직학적 특징들은 모래와 암반 조간대에서 다른 동소종들 보다 더 적극적인 면역반응과 활동적인 움직임에 적응된 결과로 간주된다.

실내 수조에서의 사백어 Leucopsarion petersii(Pisces: Gobiidae) 산란행동 및 배와 자치어 형태 (Spawning Behavior and Embryonic Development, Larvae of the Ice Goby, Leucopsarion petersii Reared in Aquarium)

  • 명정구;오승용;최희정;박용주;김민석;이영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7-63
    • /
    • 2022
  • 2016년 4월, 경남 통영시 신봉천에서 채집한 어미 사백어(평균전장 4.6 mm, n=16)를 모래와 돌을 바닥에 깐 실험 수조(60 (L)×30 (W)×30 (H) cm)에 수용하고, 산란행동 및 수정난의 발생과 부화자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사백어 어미는 모래 위의 돌 아래에 구멍을 파고 들어가 산란하고, 부화할 때까지 수정난을 보호하는 행동을 보였다. 수정난은 곤봉형(장경 3.2~3.4 mm, 단경 0.6~0.8 mm, n=10)이며 지름이 2~3 cm (원형 또는 타원형)인 난괴를 이루어 돌의 천정에 매달려서 발생하였다. 수온 18~20℃하에서 눈이 생긴 수정난(eyed egg)은 168시간 후에 부화하였다. 부화자어는 투명하며 전장이 4.1~4.4 mm (n=5)이고, 배에는 투명한 난황을 가지고 있었으며 32~33개 (12~13+20)의 근절이 발달해 있었다. 부화 후 3일째, 전장 4.9 mm 자어는 머리의 아래쪽에 입이 열리며 직장이 발달하였다. 전장 난황을 흡수한 전장 5.2 mm 후기자어는 부레 등쪽과 직장 위에 흑색소포가 발달하며 꼬리의 아래 정중선을 따라서 흑색소포가 줄지어 발달하였다.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rident Goby, Tridentiger brevispinis (Pisces: Gobiidae))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19
    • /
    • 2023
  • 본 연구는 민물검정망둑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그 특징을 근연종과 비교하여 분류학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수정란은 부착사를 가진 전구형으로 크기는 장경 1.30 mm, 단경 0.79 mm였다. 난발생은 수온 23.0~25.0℃에서 부화까지 167~228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는 전장 2.31~2.78 mm였고, 난황과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부화 후 3일째는 전장 2.84~3.10 mm로 난황흡수가 완료되면서 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9일째는 전장 4.02~4.62 mm로 꼬리지느러미 끝이 위쪽으로 휘어지면서 중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0일째는 전장 5.04~6.36 mm로 척추 끝 미부봉상골이 45°로 휘어지면서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54일째는 전장 7.43~9.84 mm로 기조 수가 각 부위별 지느러미 기조 수는 제1 등지느러미 6개, 제2등지느러미 12개, 뒷지느러미 11개, 배지느러미 10개로 정수에 달하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연구결과 민물검정망둑은 검정망둑속 가운데 수정란이 크고 부화자어의 근절 수가 많은 것을 새롭게 확인하였고, 흑색소포 분포위치는 검정망둑속 어류들과 다르게 나타나 형태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영종도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Gobiidae)의 식성 (Feeding Ecology of Luciogobius guttatus (Pisces; Gobiidae) in the Youngjong Tide Pool, Incheon, Korea)

  • 김병기;김지혜;정수환;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2-211
    • /
    • 2014
  • 인천 영종도에서 미끈망둑의 섭식생태를 조사하였다. 총 257개체를 분석하였으며, 체장 (SL) 범위는 13.4~57.5 mm였다. 연구는 조수웅덩이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달 실시되었다. 미끈망둑의 위 내용물에서 주로 발견된 먹이생물은 요각류(Copepods)와 게류(Brachyurans)였다. 단각류 (Amphipods), 집게류 (Anomurans), 쿠마류 (Cumaceans), 새우류(Macrurans), 곤충류(Insects), 작은 암석(small stones)이 추가로 관찰되었다. 저서성 갑각류(benthic crustacean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Harpacticoid와 풀게속(Hemigrapsus spp.)은 모든 크기군과 계절에서 주요 먹이생물이었다.

Difference in Black-tailed Gull (Larus crassirostris) diet during the breeding season for the last 10 years in the South Sea of Korea

  • Kwon, Young-Soo;Noh, Hyung Soo;Kim, Mir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217-222
    • /
    • 2013
  • Sea temperature in the South Sea of Korea has been increased over the last decades. Seabirds are sensitive to changes in food availability in marine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diet of Black-tailed gulls (Larus crassirostris) during the breeding season to identify changes of marine environment and biological response such as breeding performance in the South Sea of Korea. A total of 22 fish species or family (n = 128) from regurgitates by chicks were collected on Hongdo Island in 2002 and 2012. The most important prey item was Japanese anchovies (Engraulis japonicas). Proportion of Anchovy in diet increased in 2012 (70.5%) compared to 10 years ago (27.5%). Some species were newly found in 2012: Spotted chub mackerel (Scomber australasicus), Pacific sand lace (Ammodytes personatus), White ventral goby (Acanthogobius lactipes), Silver-strip round herring, Multicolorfin rainbowfish (Halichoeres poecilopterus), Silverside (Hypoatherina tsurugae), Surfperch (Neoditrema ransonneti) and Spotnape ponyfish (Leiognathus muchalis), but not in 2002. Especially, sub-tropic fish such as Kammal thryssa (Thryssa kammalensis), and Rosefish (Helicolenus hilgendorfi) we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diet of 2012. These results might reflect the increase of sea temperature in the South Sea of Korea.

Functional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el Goby, Odontamblyopus lacepedii (Pisces: Gobiidae)

  • Kim, Hyun Tae;Lee, Yong Joo;Park, Jong Young
    • Applied Microscopy
    • /
    • 제48권1호
    • /
    • pp.11-16
    • /
    • 2018
  • For Odontamblyopus lacepedii with small and turbid eyes, the gross structure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which is important for its survival and protection of the receptor neuron in estuarial environment and its ecological habit, was investigated using a stereo,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Externally, the paired olfactory organs with two nostrils are located identically on each side of the snout. These nostrils are positioned at the anterior tip of the upper lip (anterior nostril) and just below eyes covered with the epidermis (posterior nostril). Internally, this is built of an elongated olfactory chamber and two accessory nasal sacs. In histology, the olfactory chamber is elliptical in shape, and lined by the sensory epithelium and the non-sensory epithelium. The sensory epithelium of a pseudostratified layer consists of olfactory receptor neurons, supporting cells, basal cells and lymphatic cells. The non-sensory epithelium of a stratified layer has swollen stratified epithelial cells and mucous cells with acidic and neutral sulfomucin. From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e olfactory organ of O. lacepedii is adapted to its ecological habit as well as its habitat with burrows at the muddy field with standing and murky waters.

Trophic transfer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through food-chain in coastal marine ecosystem

  • Kim, Seung-Kyu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43-51
    • /
    • 2020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characterize the bioaccumula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in marine organisms (zooplankton, oyster, crab, and goby) on different trophic level. In the present study, sedentary bivalve (oyster) showed strong correlations in OCPs levels with surface sediment in the study area. This indicates the two compartments can be used as alternative for pollution monitoring of OCPs even in narrow scale in space. Bioaccumulation and trophic transfer of OCPs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ir hydrophobicity (i.e., KOW). HCHs with log KOW < 5 did not show any enrichment through food-chain. However, log BAF values of OCPs with log KOW > 5 positioned over the 1:1 lines of log BAF and log KOW of the top predator, indicating the greater fugacities in the higher trophic level and thus the occurrence of biomagnification via ingestion. Based on trophic transfer factors (TTF), more hydrophobic OCPs with log KOW > 5 were enriched by several to several ten times in the highest trophic level relative to the lowest trophic level. This finding can be used in the establishment of marine environmental water quality criteria by considering biomagnification factors (TTF in this study) of OCPs.

New host and first description of a male Anchistrotos kojimensis Do and Ho, 1983 (Copepoda: Cyclopoida: Taeniacanthidae) from Korean waters

  • Moon, Seong Yong;Choi, Jung Hwa;Lim, Yang Jae;Kim, Jung-Nyu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6권spc호
    • /
    • pp.8-14
    • /
    • 2017
  • Taeniacanthid copepods Anchistrotos kojimensis Do and Ho, 1983 were collected from the branchial cavities of stichaeid fish, Ernogrammus hexagrammus (Schlegel) and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Temminck and Schlegel) in Korean waters. Here, we provide the first description of a male of Anchistrotos Do and Ho, 1983. A close comparison of the specimens of A. kojimensis collected from Korea with the original description revealed differences in the adult female: (1) the caudal ramus bears seven setae (seta I minute); (2) the maxillule with small knob-like process anteriorly; (3) leg 5 ornamented with patched spinules distally and having row of spinules at base of each spine and distal seta. The first description of the adult male reveals the following features: (1) the distal abdominal somite had rows of spinules anteriorly and near insertion of each caudal ramus; (2) the postantennal process is more elongate than in the female; (3) the basis of maxilliped is with two prosimomedial setae, two longitudinal rows of stout denticles found on posteromedial surface and row of spinules on anteromedial surface; and (4) the second endopodal segment is a strongly curved claw, with a row of stout denticles along a concave margin, two long and one small setae.

Developmental Changes of the Oocyte and Its Enveloping Layers, in Micropercops swinhonis (Pisces: Perciformes)

  • Park, Jong-Young;Richardson, Ken-C.Richardson;Kim, Ik-So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501-506
    • /
    • 1998
  • In the goby Micropercops swinhonis, the development of its egg's enveloping layers could be divided into 4 stages. In the earliest developmental period, stage I, there is a simple oocyte surrounded by a layer of squamous follicular cells. Stage II corresponds to the yolk vesicle stage of vitellogenesis. Here the initial follicular layer has become bilaminar with the retention of its outer squamous cell layer and the acquisition of an inner cuboidal cell layer just over the zona radiata. The number and size of the cuboidal cells increases throughout this stage. Stage III corresponds to the yolk granule stage of true vitellogenesis. Here the cuboidal cells begin to be replaced by columnar cells. As the oocyte grows, the columnar cells increase in size. The columnar cells produce cytoplasmic neutral mucins and by the end of this stage their cytoplasm has been filled with this mucin. In stage IV a single layer of squamous cells still remained as the outer follicular layer of the oocyte. The secretory activity of the inner follicular layers' columnar cells has ceased and they had lost their cell wall integrity and ended as a series of bullet-shaped, neutral mucin deposi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