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oby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산 검정망둑(Tridentiger)속 어류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Goby, the Genus Tridentiger (Gobiidae, Pisces) from Korea)

  • 김익수;최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69
    • /
    • 1989
  • 1982년부터 1987년 사이에 우리나라 연안과 기수 및 담수에서 채집한 Tridentiger속 어류의 표본을 검토하여 이들을 새로운 검색표와 함께 재기재하고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밝혀진 1미기록종에 대해 기재하였다. 즉 한국산 Tridentiger속에는 T. trigenocephalus, T. obscurus, T. nudicervicus T. brevispinis가 출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T. trigenocephalus는 동해안과 남해안의 연안과 기수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였고 T. nudicervicus는 전북 옥구군 미성읍과 금강하구에서만 출현하였다. 형태적으로 T. obscurus와 아주 유사하여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T. obscurus와 동일종으로 여겨졌던 T. brevispinis는 논산, 부안, 삼척(담수), 아산, 영덕 등의 담수에서 출현하였고, T. obscurus는 제주도 (서귀포, 중문), 삼척(맹방해수욕장 부근), 보길도 등의 기수에서 출현하였다. 또한 T. brevispinis는 체장에 대한 백분비로서 제1등지느러미 제3기조의 길이가 암컷은 14.4-24.7, 수컷은 16.1-32.0이고, 새비수가 8-11인 반면, T obscurus는 체장에 대한 백분비로서 제 1등지느러미 제3기조 길이가 암컷은 15.4-33.0, 수컷은 24.4-43.8이고 새파수가 11-14개라는 점에서 2종은 잘 구분되었다.

  • PDF

Infection Status of Estuarine Fish and Oysters with Intestinal Fluke Metacercariae in Muan-gun, Jeollanam-do, Korea

  • Cho, Shin-Hyeong;Kim, In-Sang;Hwang, Eun-Jung;Kim, Tong-Soo;Na, Byoung-Kuk;Sohn, Woon-M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0권3호
    • /
    • pp.215-220
    • /
    • 2012
  • The source of human infection with intestinal flukes was surveyed in estuarine fishes, including the dotted gizzard shad, common sea bass, common blackish goby, redlip mullet, black sea bream, and oyster collected from Muan-gun, Jeollanam-do, Korea during August and September 2007. Collected fishes and oysters were artificially digested in pepsin-HCl solution and examined under a stereomicroscope. In 36 shads (Konosirus punctatus) and 20 basses (Lateolabrax japonicus) examined, Heterophyopsis continua metacercariae were found in 58.3% and 100%, and their average numbers were 12.0 and 6.3 per infected fish, respectively. In 34 gobies (Acanthogobius flavimanus) examined, metacercariae of H. continua were detected in 79.4%, Stictodora lari in 97.1%, and Acanthotrema felis in 92.1%, and their average numbers were 45.8, 189.3, and 235.3 per infected fish, respectively. In 37 redlip mullets (Chelon haematocheilus), Heterophyes nocens metacercariae were found in 56.8%, Pygidiopsis summa in 94.6%, and Stictodora fuscata in 45.9%, and the average metacercarial densities were 17.4, 31.3, and 35.1 per infected fish, respectively. In 30 black sea breams (Acanthopagrus schlegeli) and 45 oysters (Crassostrea gigas) examined, no metacercariae were detected. From the above resul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dotted gizzard shad, common sea bass, common blackish goby, and redlip mullet from Muan-gun, Jeollanam-do, Korea are infected with the metacercariae of heterophyid flukes.

Sequential Assessment in Contests among Common Freshwater Goby, Rhinogobius brunneus(Pisces, Gobiidae)

  • Suk, Ho-Young;Choe, Jae-C.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5권4호
    • /
    • pp.313-317
    • /
    • 2001
  • The sequential assessment model describes a fight between two conspecific as an ongoing statistical sampling process, which makes it possible to predict fight length or repetition number of a behavioral element depending on relative RHP (resource holding potential: e.g. weight or fighting ability). We staged contests between males of common freshwater gobies to test some predictions of this model. Fights proceeded in a consistent sequence of phases. Most contests began with two contestants adopting lateral display, and then escalated to intense physical contacts. The length of contes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ntestants. The duration of complete phases was, however, independent of weight, and the prior information gained during complete phases did not appear to affect subsequent phases of the fight. Our results show that the contests of common freshwater gobies are well predicted by the sequential assessment model.

  • PDF

한국산 좀구굴치의 골학적 연구 (Osteology of Micropercops swinhonis from Korea(Perciformes: Odontobutidae))

  • 김병직;;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57-165
    • /
    • 2000
  • 전북 부안군 청호저수지산 좀구굴치의 전골격계를 기재하고 도시하였다. 본종은 안하골에 안하골상이 있는 점, 내익상골이 후익상골로부터 분리하는 점, 견갑골이 이차상이고 상후의쇄골이 있는 점 등의 골학적인 특징을 보인다. 한편, 미골격과 등지느러미 담기골식에서는 많은 변이가 관찰되었다.

  • PDF

한국산 망둑어과(농어목) 어류 1미기록종, Gymnogobius taranetzi (First Record of the Goby Gymnogobius taranetzi (Perciformes: Gobiidae) from Korea)

  • 이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6-249
    • /
    • 2011
  • 망둑어과 (Family Gobiidae)에 속하는 Gymnogobius taranetzi 25개체가 강원도 삼척시와 양양군의 기수역에서 채집되었다. 본 종은 형태적으로 망둑어과의 다른 꾹저구속 종들과 유사하나 양안 사이의 안견갑관이 감각공기열로 대체되어 전안견갑관 개공 C가 없으며, 산란기의 암컷은 체측에 황색의 가로띠가 나타나는 특정을 갖고 있는 점에서 구별된다. 본 종은 동해연안에 분포하는 점을 들어 국명을 "동해날망둑"이라고 명명하였다.

한국산 꾹저구(Chaenogobius annularis) 3형의 유전적 분화 및 생식적 격리 (Genetic Differentiation and Reproductive Isolation among Three Tvpes of the floating Gobv (Chuenogobius annufuris) in Korea)

  • 석호영;김종범민미숙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7-158
    • /
    • 1996
  • Since the floating goby, Choenogobius onnuloris, has intricate and diverse morphological variations, allozymic analysis at 25 loci was carried out for their populations in Korea to clarify its taxonomic status. A genetic assay carried out revealed that the floating gobies were clearly divided into three genetic groups (Tvpe-A, Tvpe-B and Tvpe-C) in Korea. Alternative alleles were fated at six loci (Aco, 6pgd, Ldh-1, Got-1, Gpf, Gp3l. Some loci had considerable heterogeneitv among three types and no evidence of gene exchange in slunpatric populations was found from statistical analyses. The genetic similarity (Rogers'S) among three types was lower than 0.80 and divergent time estimate indicates that they were speciated during 1.2-1.8 million year before present (WBP). ASso, these three types of C. unnuluris were distinguished morpholosicallv from each other by several characters such as band ornamentations. In conclusion, the evidences presented here support recognition of three types of Chuenogobius annularis as typical discrete species.

  • PDF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생식기구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os on the Mechanism of Reproductive Cycle in the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HILGENDORF))

  • 백혜자;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3-252
    • /
    • 1985
  • 해산어류의 생식주기성립기구에 관한 실험적 연구의 일환으로 부산 해운대 동백섬 연안에서 채집된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을 대상으로 1983년 2월부터 1984년 1월까지 자연산생식연주기를 조사하여 그 산란기를 밝혔고, 이들 성성숙에 관여하는 외적환경요인 즉 광과 수온이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는 전형적인 낭상구조로서 많은 난소소낭으로 구성되어 있고 난원세포들은 난소소낭상피에서 분열증식하며, 성장하여 $40{\sim}150{\mu}m$의 초기난모세포로 된다. 이후 난경이 $500{\mu}m$내외가 되면 세포질에 난황구가 출현하여 난모세포의 성장과 함께 세포질 전체에 확산된다. 완숙난의 난경은 $1,000{\sim}1,100{\mu}m$ 전후이다. 2. 정소는 가느다란 관상형이며 여러개의 정소소엽으로 구성되었고, 성장할수록 각 소엽의 벽을 따라 많은 소낭을 형성하며 이 소낭상피에서 정원세포들이 분열증식하여 정모세포, 정세포로 발달한다. 정세포에서 일부 변태된 정자들은 정소소엽내강의 선세포사이에서 관찰된다. 이후 완숙상태의 정소소낭내에는 거의 변태된 완숙정자들로 가득 채워지며 방정은 수정관을 거쳐 저정낭에 밀집되었다가 방출된다. 3. 생식소숙도지수는 수온이 상승하는 4월에 최대가 되며 고수온기인 $8{\sim}9$월에 최소를 나타낸다. 4. 생식연주기는 12월부터 2월까지 초기성장기, 1월하순부터 3월에 걸쳐 후기성장기, 수온이 상승하는 2월부터 5월까지는 초기성숙기, 3월에서 8월에 걸쳐 후기성숙 및 완숙기, 4월에서 7월까지 산란기 그리고 5월부터 12월까지 퇴화 및 휴지기 등 연속적인 주기로 구분할 수 있었고, 산란성기는 4월하순에서 5월이었다. 5. 생식소를 활성화시켜 성숙촉진을 일으키는 외적환경요인으로서는 춘계 수온상승이 필수적이고 장일화가 보상적으로 작용하며, 생식소퇴화를 유도하여 산란을 종료시키는것은 일장에 관계없이 하계 고수온이 주요인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한국산 미끈망둑 Luciogobius guffafus(농어목) 5개 부속지의 표피구조 및 점액세포 (Mucous Cells and Their Structure on the Epidermis of Five Appendages in the Korean Flat- headed Goby, Luciogobius guttatus (Pisces; Perciformes))

  • 박종영;김익수;이용주;백현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7-172
    • /
    • 2005
  • 조간대와 강하구에 출현하는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은 썰물 동안에 건조하기 쉬운 자갈 바닥 아래에서 서식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서식처를 선호하는 미끈망둑의 호흡체계를 조사하기 위해 지느러미 및 흡반을 포함하는 5개의 부속지의 표피구조를 관찰하였다. 표피는 모두 맨바깥층(outermost layer), 중간층(middle layer), 기저층(stratum germinativum)으로 구성된다. 맨바깥층은 다형세포 또는 편평세포, 그리고 점액세포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단일세포성의 점액세포는 $11.1{\sim}16.1{\mu}m$의 크기로 1~2층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산성다당류로 확인되었다. 중간층은 이웃한 표피세포로 팽대해진 팽대세포 (swollen cell)로 구성되어 있으며, $12.3{\sim}15.2{\mu}m$의 크기로 1~11층으로 배열되어 마치 거미망구조를 보인다. 이러한 팽대세포로 인해 상피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많은 모세혈관이 기저막 아래에 분포하고 있으며, 미뢰 (taste bud)가 표피에 존재한다. 이러한 표피의 특징은 미끈망둑이 이중호흡체계인 피부호흡 (cutaneous respiration)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금줄망둑 Pterogobius virgo의 섭식세력권과 용치놀래기 Halichoeres poecilopterus의 침입 섭식 (Feeding Territory of the Maiden Goby, Pterogobius virgo, and Invasion Feeding of the Multicolorfin Rainbowfish, Halichoeres poecilopterus)

  • 최승호;박세창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7-194
    • /
    • 2005
  • 2002년 5월부터 8월까지 일본 Seto Inland Sea의 Kurahashi Island에서 금줄망둑 Pterogobius virgo과 용치놀래기 Halichoeres poecilopterus의 섭식에 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금줄망둑은 독특한 섭식 행동인 fin digging을 통해 한 장소에 머물며 모래와 펄 속에 숨어있는 소형 저서성 무척추동물만을 섭식한다. 금줄망둑의 섭식세력권은 오직 섭식중인 장소의 파 헤쳐진 반구와 주변의 공간뿐으로 매우 협소하다. 용치놀래기는 종종 금줄망둑의 세력권에 침입하여 금줄망둑과 함께 섭식을 수행한다. 금줄망둑의 섭식활동과 경계시간은 단독으로 섭식할 때에 비해 공동 섭식을 하였을 때 급격히 감소한다. 용치놀래기가 금줄망둑의 세력권에 침입하였을 때 금줄망둑의 공격은 용치놀래기의 크기에 관계없이 세력권의 측면과 후면보다 전면에서 더 높은 빈도를 나타낸 다. 세력권 개체보다 작은 크기의 용치놀래기는 세력권의 전면보다 세력권의 측면과 후면에서 섭식하였을 때 높은 섭식성공률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유사한 크기의 용치놀래기의 섭식성공률은 세력권의 전면과 측면보다 후면에서 높게 나타났다. 공동 섭식이 수행될 때 금줄망 둑은 세력권 방어와 섭식활동의 감소 등에 의한 비용이 크지만, 경계시간의 감소와 포식자의 접근 감지 등을 통한 포식압의 감소 효과를 획득한다.

한국산 밀어 (Rhinogobius brunneus)의 산란습성, 난발생 및 자어의 형태발달 (Spawning Behavior and Development of Eggs and Larvae of the Korea Freshwater Goby, Rhinogobius brunneus (Gobiidae: Perciformes))

  • 한경호;김용억;최규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4-120
    • /
    • 1998
  • 밀어 어미를 경상남도 김해군 상동면 매리에 위치한 하천에서 끌망과 쪽대을 사용하여 채집하여 사육하여 1995년 2월부터 5월까지 6차례에 걸쳐 산란행동과 난발생 과정을 관찰하였으며, 부화한 자어를 사육하면서 성장에 따른 형태발달을 관찰하였다. 1. 산란된 알은 수조내의 작은 돌 아랫면에 거의 원형에 가깝게 한층으로 조밀하게 매달려 있었으며, 방정후 수컷은 알을 보호하였다. 2. 수정난은 난경이 $1.28\~$1.56\times0.62\~0.67mm$로 부착사를 지닌 투명한 침성란으로 많은 소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3.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사육수온 $16.0\~18.0^{\circ}C$ (평균 $17.0^{\circ}C$)에서 수정후 146시간 30분부터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4. 밀어의 알은 발생 후반에 배체의 머리 부분이 난황의 선단부를 향하는 정상난과 반대로 난막의 기부, 즉 부착사 쪽을 향하는 역자난이 출현하였다. 5. 부화직후의 자어는 전장 $3.10\~3.30mm$ (평균 3.22 mm)로 입과 항문이 열려있지 않았고, 흑색소포는 부레위, 항문 주변, 꼬리 중앙부분의 배쪽에 산재되어 있었으며, 근절수는 $25\~27$개 였다. 6. 부화후 $3\~4$일째의 자어는 전장 $3.30\~3.85mm$(평균 3.60mm)로 난황과 유구가 거의 흡수되어 입과 항문이 열리고, rotifer를 먹기 시작하였으며,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7 부화후 $20\~22$일째 개체는 평균 전장 5.85mm로 성장하였으며, 척소미단이 $45^{\circ}$ 정도로 위로 굽어져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