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nRH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7초

자궁근종 환자에서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GnRH) 유사체 투여 후 자궁근종 세포 증식에 관한 연구 (The Activity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 of Uterine Myoma after Treatment with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GnRH) Analogue)

  • 이병석;이보연;박기현;조동제;이국;송찬호;김호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9권2호
    • /
    • pp.175-179
    • /
    • 1992
  • The factors involved in the initial neoplastic transformation and subsquent growth of uterine fibroid are poorly understood. The reduction in uterine fibroid volume associated with the chronic administration of the mechanisms mediating the decrease in fibroid volume in GnRH-a treated patients are poorly def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 in fibroid from-women pretreated with GnRH analogue(GnRH-a) compared with controls. Tissue was obtained from 16 premenopausal women with uterine fibroid who received GnRH-a(D-Trp6-GnRH) intramusculary every 28 days for four injections. The mean proliferating index(PI) in patients with uterine fibroids was $2.25{\pm}0.9$, and in controls was $8.82{\pm}1.8$(P<0.001). The proliferating index was not corrleated with the reduction of fibroid volume. In this clinical study, although hypoestrogenism may be the main factor that reduce the volume of fibroid, other factors are also considered to be involved in that process. And the regrowth of uterine fibroid may be affected by increased production of PCNA after stopping GnRH-a.

  • PDF

시상하부 GnRH 뉴런의 신경내분비학적 연구

  • 김경진
    • 한국동물학회:뉴스레터
    • /
    • 제16권1호
    • /
    • pp.17-50
    • /
    • 1999
  • 시상하부에 극히 적은 수로 존재하는 신경분비세포인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뉴런은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생식과 발생 과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GnRH 뉴런은 배아 발생과정 중에 후판에서 유래하여 시상하부의 여러 영역으로 이동하며, 생후와 사춘기를 거치면서 분화를 계속한다. GnRH 뉴런에서 합성, 분비되는 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작은 신경호르몬인 GnRH는 맥동적으로 분비되어 뇌하수체 성선자극 세포막에 존재하는 GnRH 수용체와 결합한 후 일련의 신호전달과정을 거쳐 성선자극호르몬의 합성과 분비를 제어하게 된다. GnRH의 합성과 분비는 글루탐산, 노르에피네프린, GABA와 같은 각종 신경입력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액성 피드백 신호에 의해 조절되나 이들의 GnRH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에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GnRH 뉴런의 분화와 발생에는 다양한 신경영양인자들이 영향을 미치나 그 분자생물학적 기작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논단에서는 신경호르몬인 GnRH와 그 수용체에 관하여 최근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임신초기 사람의 태반조직에서 GnRH-II mRNA와 Peptide의 발현 (Expression of the Second Isoform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Chicken GnRH-II Type) in the First Trimester Human Placenta)

  • 천강우;홍성란;이형송;강인수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81-88
    • /
    • 2001
  • GnRH는 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호르몬으로서 생식기능을 조절, 관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임신 중에는 태반에서 hCG의 분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사람의 두 번째 GnRH 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 그 10개의 아미노산 서열은 닭에서 두 번째로 발견된 GnRH (chicken GnRH-II)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사람에서의 두 번째 GnRH (GnRH-II)의 발현은 중뇌와 신장에서 보고된 바 있으며, 본 연구자들에 의해서 처음으로 사람의 자궁내막에서의 발현이 보고되었다 (Cheon et al., 200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의 태반조직에서 GnRH-II의 mRNA와 Peptide가 발현되는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태반에서 발현되는 GnRH-II mRNA는 두 가지 형태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GAP 부위에 21개의 뉴클레오티드 결실을 갖는 작은 전사체는 조직 특이적인 alternative splicing 기작에 의하여 태반조직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면역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GnRH-II peptide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세포영양막과 융합영양막의 세포질에서 모두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세포영양막에서 더 많은 양이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임신초기 태반에서 기존의 GnRH (GnRH-I)이외에도 다른 아미노산 서열의 GnRH-II가 발현된다는 사실을 말해주며 이는 GnRH-II 역시 태반조직에서 임신의 유지 및 생식기능의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겠다.

  • PDF

송과선 호르몬 멜타토닌의 생식 생리학 (Reproductive Physiology of Pineal Hormone Melatonin)

  • 최돈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7-351
    • /
    • 1996
  • 멜라토닌은 대뇌와 소뇌 사이에 위치한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빛이 없는 밤에만 분비된다. 멜라토닌은 분자적 수준에서부터 개체의 행동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기능을 보인다. 특히, 생식에 미치는 영향은 광범위하여, 온대지방에 사는 대부분의 동물은 주위 환경에 적응하여 종족을 유지하는 유일한 계절적 번식을 한다. 햄스터의 생식활동은 여름에 왕성하고 겨울에 정지된다.이는 많은 환경요소중 광주기의 효과가 송과선에 의해 제거하면 광주기의 영향은 사라진다. 즉 생식에 미치는 광주기의 효과가 송과선에 의해 중재 됨을 의미한다. 또한 송과선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적절한 처리는 생식활동을 억제한다. 따라서 멜라토닌은 생식에 미치는 광주기의 정보를 생식내분비계로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사료된다. 시상하부의 특정부위를 절제한 후 광주기나 멜라토닌을 처리하여 멜라토닌의 작용부위에 관한 연구가 되었으나 동물마다 차이점을 보인다. 대부부의 동물에서 공통적인 부위는 suprachiasmatic nuclei와 pars tuberalis이다. 멜라토닌이 생식에 미치는 작용기작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는 멜라토닌의 지속적 처리가 멜라토닌의 장기적처리는 이들 호르몬의 분비를 저하시키고, 시상하부에서의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양을 증가시킨다. 이 결과는 멜라토닌의 지속적인 처리가 시상하부로부터의 GnRH 양을 분비를 감소킴으로써 생식활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그러나, 멜라토닌에서 GnRH 신경까지의 정보전달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Opioid 신경에 대한 광주기와 멜라토닌의 효과가 동일한 점은 opioid신경의 매개체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에 멜라토닌 수용체가 개구리의 피부와 몇몇 동물의 뇌와 시세포에서 크로닝되었다. 이수용체는 G protein과 관련되고 cAMP 생성을 억제한다. 앞으로 이 멜라토닌 수용체의 존재여부와 분자생물학적 연구는 멜라토닌의 작용부위와 표적세포에서의 작용기작을 설명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egnancy rate in women with adenomyosis undergoing fresh or frozen embryo transfer cycles following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gonist treatment

  • Park, Chan Woo;Choi, Min Hye;Yang, Kwang Moon;Song, In 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3권3호
    • /
    • pp.169-173
    • /
    • 2016
  • Objective: To determine the preferred regimen for women with adenomyosis undergoing in vitro fertilization (IVF), we compared the IVF outcomes of fresh embryo transfer (ET) cycles with or without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pretreatment and of frozenthawed embryo transfer (FET) cycles following GnRH agonist treatment.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41 IVF cycles of women with adenomyosis from January 2006 to January 2012. Fresh ET cycles without (147 cycles, group A) or with (105 cycles, group B) GnRH agonist pretreatment, and FET cycles following GnRH agonist treatment (43 cycles, group C) were compared. Adenomyosis was identified by using transvaginal ultrasound at the initial workup and classified into focal and diffuse types. The IVF outcomes were also subanalyzed according to the adenomyotic region. Results: GnRH agonist pretreatment increased the stimulation duration ($11.5{\pm}2.1days$ vs. $9.9{\pm}2.0days$) and total dose of gonadotropin ($3,421{\pm}1,141IU$ vs. $2,588{\pm}1,192IU$), which resulted in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retrieved oocytes ($10.0{\pm}8.2$ vs. $7.9{\pm}6.8$, p=0.013) in group B than in group A.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for freezing resulted in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retrieved oocytes ($14.3{\pm}9.2$ vs. $10.0{\pm}8.2$, p=0.022) with a lower dose of gonadotropin ($2,974{\pm}1,112IU$ vs. $3,421{\pm}1,141IU$, p=0.037) in group C than in group B. The clinical pregnancy rate in group C (39.5%)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in groups B (30.5%) and A (25.2%) but without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FET following GnRH agonist pretreatment tended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 in patients with adenomyosis. Further largescale prospective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is result.

Early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tagonist protocol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A preliminary randomized trial

  • Shin, Jae Jun;Park, Kyung Eui;Choi, Young Min;Kim, Hye-Ok;Choi, Dong-Hee;Lee, Woo Sik;Cho, Jung-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5권3호
    • /
    • pp.135-142
    • /
    • 2018
  • Objective: To prospectively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a fixed early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tagonist protocol compared to a conventional midfollicular GnRH antagonist protocol and a long GnRH agonist protocol for in vitro fertilization (IVF)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 Methods: Randomized patients in all three groups (early antagonist, n = 14; conventional antagonist, n = 11; long agonist, n = 11) received 21 days of oral contraceptive pill treatment prior to stimulation. The GnRH antagonist was initiated on the 1st day of stimulation in the early antagonist group and on the 6th day in the conventional antagonist group. The GnRH agonist was initiated on the 18th day of the preceding cycle.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and the secondary endpoints included the rate of moderate-to-severe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 and the clinical pregnancy rate. Results: The median total number of oocytes was similar among the three groups (early, 16; conventional, 12; agonist, 19; p= 0.111). The early GnRH antagonist protocol showe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a higher clinical pregnancy rate (early, 50.0%; conventional, 11.1%; agonist, 22.2%; p= 0.180) and lower incidence of moderate-to-severe OHSS (early, 7.7%; conventional, 18.2%; agonist, 27.3%; p= 0.463), especially among subjects at high risk for OHSS (early, 12.5%; conventional, 40.0%; agonist, 50.0%; p= 0.324). Conclusion: In PCOS patients undergoing IVF, early administration of a GnRH antagonist may possibly lead to benefits due to a reduced incidence of moderate-to-severe OHSS in high-risk subjects with a better clinical pregnancy rate per embryo transfer. Further studies with more subjects are required.

The Consequences of Mutations in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 Choi, Donch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6권4호
    • /
    • pp.235-251
    • /
    • 2012
  • The reproductive activity in male mammals is well known to be regulated by the hypothalamus-pituitary-gonad axis. The hypothalamic neurons secreting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govern the reproductive neuroendocrine system by integrating all the exogenous information impinging on themselves. The GnRH synthesized and released from the hypothalamus arrives at the anterior pituitary through the portal vessels, provoking the production of the gonadotropins(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and luteinizing hormone (LH)) at the same time. The gonadotropins affect the gonads to promote spermatogenesis and to secret testosterone. Testosterone acts on the GnRH neurons by a feedback loop through the circulatory system, resulting in the balance of all the hormones by regulating reproductive activities. These hormones exert their effects by acting on their own receptors, which are included in th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s well. Unexpected aberrants are arised during this course of action of each hormone. This review summarizes these abnormal phenomena, including various mutations of molecules and their actions related to the reproductive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