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phosate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7초

Rhizobacterial Populations of Glyphosate-Resistant Soybean (Glycine Max) as Affected by Glyphosate and Foliar Amendment

  • Kim, Su-J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62-267
    • /
    • 2006
  • Increased application of glyphosate (Gly) in glyphosate-resistant (GR) soybean cropping systems may affect rhizospheric microorganisms including IAA-producing rhizobacteria (IPR) and their effect on the growth of soybean. This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IPR populations in the rhizosphere of GR soybean ('Roundup-Ready' DeKalb DKB38-52) treated with glyphosate and foliar amendment treatments such as $PT21^{(R)}$ (urea solution with N 21 %) and $Grozyme^{(R)}$ (Biostimulant: mixtures of micro nutrients and enzymes). Effects of herbicide, sampling date, and their interaction on total bacterial numbers were significant (P < 0.001, 0.001, 0.013, respectively). Total bacteria (TB) numbers were increased with glyphosate treatment at 20 d after application and highest TB populations were associated with $Grozyme^{(R)}$ application, possibly due to the additional substrate from this product. The IPR of the soybean rhizospher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herbicide, sampling date, and the herbicide*foliar amendment interaction. The ratios of numbers of IPR to TB ranged from 0.79 to 0.99 across the sampling dates irrespective of treatments. IPR numbers were slightly hindered by glyphosate application regardless of foliar amendment.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와 Glyphosate 및 Glufosinate와의 혼합처리에 의한 과수원에서의 잡초방제효과 (Evaluation of Carfentrazone-ethyl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Glyphosate or Glufosinate for Weed Control in Orchards)

  • 이희재;한성욱;구자옥;김명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56-261
    • /
    • 1997
  • 배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종을 잡초생장기인 6월 중순에 조사한 결과 광엽초종은 쑥, 명아주, 여뀌, 망초, 닭의장풀, 메꽃, 비름 등이 우점발생하였고 화본과초종은 피, 바랭이, 강아지풀 등이 발생빈도가 높은 경향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과수원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잡초종들이 거의 분포하였다. 새로운 경엽처리 제초제인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와 glyphosate 및 glufosinate의 약량에 따른 혼합처리시 과수에 대한 약해증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carfentrazone-ethyl의 단제처리구에서는 광엽초종에 대한 살초효과는 뚜렷하였으나 화본과 및 사초과초종에 대한 효과는 미약하였다. Glyphosate나 glufosinate의 단제 처리구에서 보다 carfentrazone-ethyl과의 혼합처리구에서 glyphosate나 glufosinate를 표준약량의 절반으로 혼합하더라도 약효발현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혼합처리에 의해 화본과 및 사초과초종에 대한 살초효과가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처리후 10일까지 carfentrazone-ethyl은 glyphos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보다 glufosin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 광엽 및 화본과초종에 대한 살초효과가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glyphosate와의 혼합처리구에서 약효의 지속기간이 길어점에 따라 후발초종에 대한 방제효과도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carfentrazone-ethyl은 glyphosate와 혼합처리시 과수원에 발생하는 잡초종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Oxyfluorfen과 Glyphosate 조합처리(組合處理) 모형(模型)의 혼용효과(混用效果)에 대한 해석적연구(解釋的硏究) (Interpretation of Weeding Efficacy by Mixture Use of Herbicide Combination, Oxyfluorfen and Glyphosate)

  • 구자옥;조용우;이계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36-242
    • /
    • 1987
  • 앞의 시험(試驗)에 이어 oxyfluorfen + glyphosate의 여러 혼용농도(混用濃度)를 공시(供試)함으로써 과수원(果樹園)에서의 잡초종(雜草種) 구성변동(構成變動)에 관한 사항과 제초효과(除草效果)에 대한 두 약제(藥劑)의 상호작용효과(相互作用效果)를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본(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Oxyfluorfen은 0~0.94 kg a. i./ ha 범위(範圍)에서 5 수준(水準), glyphosate는 0~0.4575 kg a.i./ha 범위(範圍)에서 4 수준(水準), 총 20 조합(組合)의 혼용농도(混用濃度)에서 시험(試驗)이 수행(遂行)되었다. l. 다년생(多年生)에 대한 방제효과(防除效果)는 oxyfluorfen+paraquat의 경우보다 oxyfluorfen + glyphosate에서 향상(向上)되었다. 2. Oxyfluorfen 저농도(低濃度) 혼용(混用)에서는 일년생(一年生) 화본과(禾本科)(바랭이)의 재생(再生)으로 우점도지수(優占度指數)가 증가하였고, glyphosate 저농도(低濃度)에서는 월년생(越年生) Stellaria와 다년생(多年生) 쑥의 만연으로 변동계수(變動係數)가 커지고 현존량(現存量)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두 약제(藥劑)의 혼용(混用)에서 oxyfluorfen이나 glyphosate 각각의 최대작용력(最大作用力)은 두 약제(藥劑)의 혼용농도(混用濃度)가 oxyfluorfen 0.55 kg a.i./ha와 glyphosate 0.35kg a.i./ha에서 형성되었다. 4. 두 약제(藥劑)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은 전반적인 혼용농도하(混用濃度下)에서 대체로 부정적인 경향이었다. 5. 이상의 결과(結果)로 oxyfluorfen + glyphosate 혼용(混用)은 약량감소(藥量減少)를 가능케 하는 협력효과(協力效果)라기보다 특정잡초방제력상승(特定雜草防除力相乘)이나 제초기간연장(除草期間延長)을 통한 상가적효과(相加的效果)를 기대할 수 있었다.

  • PDF

제초제에 의한 초지개량시험 II. Glyphsate 및 Paraquat의 사용량과 살포시기가 겉뿌림 초목의 정착 ,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asture Improvement with Herbicides II. Effects of rate and timing of glyphosate and paraquat application on esatblishment, production and quality of surface-sown pasture species)

  • 김동암;권찬호;임상훈;한왕범;김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9-175
    • /
    • 1985
  • 본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를 경운(耕耘)을 하지 않고 초지화(草地化)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方法)을 구명(究明)할 목적으로 1983-1984년 사이에 수행되었다. 시험구의 처리로서는 제초제(除草劑)를 살포하지 않은 무처리구와 Glyphosate 및 Paraquat의 다른 양(量)을 목초파종(牧草播種) 30일, 445일 및 60일전에 살포하는 구를 두었다. 오차드그라스의 정착율(定着率)은 제초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라디노클로비의 정착율은 Glyphosate 및 Paraquat 제초제처리의 영향을 받았다. Glyphosate 및 Paraquat 제초제를 목초(牧草)를 파종하기 $30{\sim}60$일전에 살포했을 때 토양잔여해독(土壤殘餘害毒)이 나타나지 않았다. 제초제를 처리한 구에서의 목초(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비살포구에 비하여 유의적(有意的)으로 높았으며 가장 목초(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이 높은 구는 파종전 45일째 ha당 1.8kg의 Glyphosate를 살포한 구였다. 제 3 회 수확시 Glyphosate 처리구의 관목(灌木) 및 야초(野草)의 식생비율(植生比率)은 5%였으나 무처리구에서는 51%까지 남아 있었으며 사초(飼草)의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 및 IVDMD는 제초제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다. 본시험결과 Glyphosate제초제는 Paraquat 제초제에 비하여 관목(灌木) 및 야초제거(野草除去)에 더 효과가 있었으며 겉뿌림 초지개량시 Glyphosate제초제를 ha당 유효성분량으로 $1.8{\sim}2.8kg$을 겉뿌림 $30{\sim}45$일전에 살포하는 것이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 건물수량증가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글라이포세이트 노출로 인한 DNA손상에 대한 녹차의 예방적 효과 (In vitro Effect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on Sister Chromatid Exchange in the Lymphocytes Exposed to Glyphosate)

  • 박정민;최우익;진상찬;이재호;최인장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8-82
    • /
    • 2016
  • Purpose: Green tea is known as a potent anti-oxidant, anti-carcinogen, and genetic protector. Glyphosate (N-phosphonomethyl glycine) is a widely used non-selective herbicide that causes DNA damag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in human blood lymphocytes exposed to glyphosate using the Sister Chromatid Exchange (SCE) frequency method. Methods: Peripheral blood was obtained from 10 volunteers and cultured through four different conditions. Four groups were divided into control, glyphosate only (300 ng/mL), glyphosate and low ($20{\mu}m$) concentration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and glyphosate and high ($100{\mu}m$) concentrations of EGCG. Results: The glyphosate exposed groups had a higher mean SCE frequency ($10.33{\pm}2.50$) than the control group ($6.38{\pm}2.28$, p<0.001). The low concentrations of EGCG groups had a lower mean SCE frequency ($9.91{\pm}1.93$) than the glyphosate-only group, although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219). However, the high concentration group ($9.49{\pm}1.85$) had a significantly lower SCE frequency than the glyphosate-only group (p=0.001). Conclusion: EGCG has a gene protective effect in human lymphocytes exposed to the genotoxicity of glyphosate in the case of high concentrations.

Glyphosate 처리후 토마토 정단부 세포질과 원형 엽록체에서 immature 및 mature EPSP-synthase의 면역학적 검정 (Immunological Detection of Cytosolic Immature and Plastidial Mature EPSP-synthase after Glyphosate Treatment in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Apical Meristem)

  • 김태완;게오르그 하인리히;김태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4-51
    • /
    • 1997
  • 제초제(除草除) glyphosate는 EPSP-synthase 생합성(生合成) 자체는 억제(抑制)하지 못하며 단지 효소활성(酵素活成)만을 억제한다. 이러한 억제는 뿌리 빛 줄기 정단부에서 현저했다. EPSP-synthase의 전체구(前體區) 단백질(蛋百質)은 54 kDa의 분자량(分子量)을 갖으며, 엽록체(葉綠體)내 성숙(成熟) 단백질(蛋百質)은 45kDa 정도의 분자량(分子量)을 나타낸다. Glyphosate 처리 직후(直後) 인위적 암처리(暗處理)는 EPSP-synthase의 엽록체(葉綠體)내 삽입을 완전히 억제하지 못한다. 이러한 결과는 Glyphosate에 의한 EPSP-synthase 엽록체(葉綠體)내 삽입 기작은 전적으로 광(光)의존적인 것은 아니며 오히려 광의존적 제초활성을 나타내는 glyphosate의 엽록체내 유입후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조절기작에 의해 간접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보였다.

  • PDF

반수체 담배의 엽육 원형질체로부터 MNNG 처리에 의한 Glyphosate 저항성 클론의 선별 (Selection of Glyphosate-Resistant Clones form MNNG-treated Mesophyll Protoplasts of Haploid Tobacco Plants)

  • 성순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1호
    • /
    • pp.105-112
    • /
    • 1993
  • Selection of glyphosate-resistant clones from MNNG-treated mesophyll protoplasts of haploid tobacco and their differentiation were studied. The protoplasts were treated with 0.1 to 100 $\mu\textrm{g}$/mL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for 30 min when they expanded to oval shapes. After the treatment, the protoplasts in 4-16 cell stages were transferred to the selective medium containing 1 mM glyphosate for the selection of the glyphosate-resistant colonies. The efficiency of the cell division of the protoplasts in the selective medium decreased as the MNNG concentrations in creased. Optimal MNNG concentration for induction of the glyphosate-resistant clones was 10$\mu\textrm{g}$/mL and mutation frequency was 2.66$\times$10-6. The stability of the glypohsate-resistance of the clones was examined by prolonged subculture in the medium with 1 mM glyphosate, and the resistant clones were survived more than 10 months. Among them one clone has been proliferating and greening and the others were proliferating without greening or greening with slower proliferating.

  • PDF

제초제(除草劑)의 살초효과(殺草效果) 증진(增進)을 위한 살포방법(撒布方法)과 황산암모늄 및 염화칼리의 첨가처리효과(添加處理效果) (Effects of Spray Methods and Ammonium Sulfate and Potassium Chloride on Enhancing Phytotoxicity of Glyphosate)

  • 변종영;김영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90-198
    • /
    • 1983
  • 경엽처리(莖葉處理) 제초제(除草劑)의 살포방법(撒布方法) 개선(改善)과 첨가제(添加劑)의 혼합처리(混合處理)에 의한 제초제(除草劑)의 살초효과(殺草效果)를 증대(增大)시킬 수 있는 방안(方案)을 모색(摸索)하고자 Glyphosate의 살포(撒布)를 수준(水準),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의 효과(效果), Glyphosate와 황산암모늄 및 염화칼리의 첨가처리(添加處理)에 의한 Glyphosate의 살초력(殺草力) 상승효과(相乘效果)를 조사하였다. 1. 물량 40 l/10a와 80 l/10a 에 Glyphosate를 희석하여 살포(撒布)할 때는 120 l/10a 기준의 살포량(撒布量)에 비하여 살초효과(殺草效果)는 현저하게 증가(增加)되었다. 2.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의 첨가(添加)에 따라 Glyphosate의 바랭이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현저히 증가(增加)되었고 특히 Glyphosate 30.5g/10a에서 그 경향(傾向)이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3. 황산암모늄 1, 5%를 Glyphosate 30.5g/10a와 61.0g/10a에 첨가처리(添加處理)하면 쑥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현저히 증가(增加)되었으나 환산암모늄 10%를 첨가(添加)하면 오히려 길항적(拮抗的)으로 작용하여 살초효과(殺草效果)는 매우 불량(不良)하였으며 Glyphosate 122g/10a에서는 황산암모늄의 살초작용(殺草作用) 증진효과(增進效果)는 적었다. 4. 염화칼리 1, 2, 3%를 Glyphosate 30.5g/10a와 61.0g/10 a에 첨가처리(添加處理)하므로써 쑥에 대한 살초효과(殺草效果)는 크게 증가(增加)되었으나 Glyphosate 122g/10a에서는 염화칼리의 첨가여부(添加如否)에 관계없이 95% 이상 방제되었다. 5. 따라서 분무기(噴霧機)의 개발(開發)을 전제(前提)로 살포량(撒布量)을 80 l/10a 이하로 줄이고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처리하며 황산암모늄 혹은 염화칼리를 Glyphosate에 첨가(添加)하므로써 제초제(除草劑)의 처리약량(處理藥量)을 줄이면서 제초효과(除草效果)를 증대(增大)시킬 수 있는 방법(方法)은 과수원(果樹園)이나 비농경지(非農耕地)에서 Glyphosate를 비롯한 경엽처리(莖葉處理) 제초제(除草劑)를 사용(使用)할 때 응용(應用)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겨풀(Leersia oryzoides SW.)에 대한 Glyphosate와 수종(數種) 제초제간(除草劑間)의상호작용(相互作用) 효과(效果)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lyphosate and Some Other Herbicides on Cutgrass, Leersia oryzoides SW)

  • 임일빈;구자옥;이계홍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29-336
    • /
    • 1987
  • Glyphosate의 수종(數種) 제초제간(除草劑間)의 혼용(混用)에 따른 상호작용(相互作用)을 검토(檢討)할 목적(目的)으로 겨풀에 대한 경엽처리효과(莖葉處理效果)와 피를 위시한 기타 잡초종(雜草種)에 대한 발생전처리효과(發生前處理效果)를 동시에 평가(評價)하였다. 폿트를 이용하여 plastic house에서 수행(遂行)되었으며, 주요(主要)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의 경시적(經時的)인 달관평가(達觀評價)에 의하면, glyphosate에 oxyfluorfen을 혼용(混用)함으로써 겨풀의 살초속도(殺草速度)와 살초효과(殺草效果)가 모두 향상(向上)되었으나 alachlor, simazine, gluphosinate 또는 quizalofop-ethyl의 혼용(混用)으로는 약효발현(藥效發現)이 지연되었고, paraquat 혼용(混用)으로는 효과(效果)가 빨랐던 반면(反面) 약효(藥效)는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2. 처리후(處理後) 30일(日)에의 겨풀 생체중(生體重)으로 보아, 공시약제(供試藥劑) 각각의 고약량(高藥量) 수준(水準)(실용(實用)의 1/2) 혼용(混用)에서는 alachlor 또는 paraquat 이외의 모든 조합(組合)에 서 glyphosate 단제(單劑) 보다 비등(比等) 이상(以上)의 살초력(殺草力)을 나타내었다. 3. Glyphosate에 대한 공시(供試) 약제(藥劑)의 어떤 조합(組合) 혼용(混用)에서도 synergism은 인정(認定)되지 않았고, 오히려 저약량수준(低藥量水準)의 simazme이나 paraquat 혼용(混用)에서는 유의적(有意的)인 길항작용(拮抗作用)이 인정(認定)되었다. 4. 피 및 기타 초종(草種)에 대한 토양잔류성(土壤殘留性) 제초효과(除草效果)는 glyphosate와의 혼용(混用) 여부(與否)에 관계없이 oxyfluorfen, alachlor, simazine 및 일부 quizalofop-ethyl이 처리(處理)된 곳에서 인정(認定)이 되었다.

  • PDF

Glyphosate 독성(毒性): II. corydalis Sempervirens와 토마토의 세포배양체(細胞培養體)에서 EPSP-synthase의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Glyphosate Toxicity: II. EPSP-synthase Activity in Cell Suspension Culture of Corydalis Sempervirens and Lycopersicon Esculentum)

  • 김태완;니콜라스 암라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8-153
    • /
    • 1995
  • Glyphosate (N-[phosphonomethyl]glycine)를 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 Mil)의 동화부위(同化部位)에 부분처리(部分處理)하거나 전(全) 식물체(植物體)에 분무처리(噴霧處理)하였을 때 EPSP-synthase의 활성(活性) 감소(減少)가 나타났다. EPSP-synthase의 활성(活性)은 처리된 식물체(植物體)의 엽록소(葉綠素)의 감소보다 시기적으로 먼저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EPSP-synthase의 활성(活性)은 glyphosate처리(處理)에 민감한 효소(酵素)로서 토마토의 세포현탁배양조직(細胞顯濁培養組織)과 분열조직(分裂組織)간에는 활성(活性)의 차이가 없없다. EPSP-synthase의 활성은 4-6 nkat/mg protein 정도이었다. EPSP-synthase의 활성(活性)억제는 glyphosate 처리(處理) 36시간 후 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엽록소(葉綠素)의 감소는 처리 48 시간 후 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세포현탁배양(細胞顯濁培養)에서 치사농도(致死濃度) 이하(以下)에서 glyphosate는 생체중(生體重)을 저하(低下)시켰으며 생육단계(生育段階) 중 lag-phase를 연장(延長)시켜 생육(生育)이 더디도록 하였다. Glyphosate 존재(存在)하에서 생체중(生體重)은 계대(繼代)배양 후 14일이 지난 뒤에 생체중(生體重)이 최고(最高)에 달하였다. EPSP-synthase에 대한 gly-phosate의 억제(抑制)효과는 lag-phase에서 심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