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side

검색결과 632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 재래산양 골수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 (Lip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Korean Native Goat's Bone Marrow)

  • 이영애;하정기;안병홍;강동학;기우경;김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77-181
    • /
    • 1988
  • 한국 재래산양 골수의 지질조성은 중성지질의 함량이 많고, 인지질과 당지질의 함량이 적 었다. 또한, 지방산조성에서는 $C_{18:1}$의 함량이 높고, $C_{18:0}$의 함량이 적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57.0{\sim}71.6%)$이 포화지방산$(28.4{\sim}43.0%)$보다도 매우 높았다.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와 steryl ester의 함량이 높았으며, 당지질에서는 esterified glycoside와 cerebroside 1의 함량이 높았다. 인지질에서는 diphosphatidylglycerol과 phosphatidyl glycerol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Triglyceride중 지방산분포는 상박골과 요골, 대퇴골의 관골 및 요추는 동일하게 $C_1$ 위치에서는 $C_{16:0}(27.6{\sim}29.8%)$, $C_{18:0}(18.7{\sim}25.4%)$$C_{18:1}(26.3{\sim}30.0%)$이 많았으며, $C_2$ 위치에서는 $C_{14:0}(12.3{\sim}15.6%)$, $C_{18:2}(26.0{\sim}31.4%)$$C_{18:3}(30.2{\sim}35.6%)$이 많았다.

  • PDF

동부박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Added Cowpea (Vigna unguiculata) Meal)

  • 이경혜;이명희;김경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3-369
    • /
    • 2014
  • 동부박(CPM)을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CPM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L값은 대조구 CPM-O과 처리구 CPM-I, CPM-II, CPM-III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 < 0.05). b값은 CPM-III에서 14.26로 가장 낮았으며, 동부박(CPM)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텍스쳐 프로파일의 결과는 대조구 CPM-O와 동부박 첨가 처리구 CPM-I간에는 응집성(cohesiveness)을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처리구 별 pH는 6.36~6.52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탁도는 1.46~1.81 범위로 CPM 첨가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일반 세균수는 CPM-III에서 $4.40{\times}10^2CFU/g$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Esterichia coli의 경우, 대조구 CPM-O와 전 처리구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적인 분석 결과는 동부박 현탁액 첨가비율이 10%인 처리구 CPM-I의 경우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동부묵 제조의 부산물을 이용하여 두부제조에 적용할 때는 동부박 첨가 비율이 10%가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Isoflavone glycoside (IG)는 genistin, daidzin, glycitin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동부박(CPM)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그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Isoflavone-aglycone(IA)는 IG보다는 함량이 낮았으며, genistein과 daidzein이 glycitein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동부박 첨가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켐벨얼리(Vitis labruscana B.)와 머루(Vitis coignetiae) 포도잎의 생육단계별 생리 활성 성분 및 혈관 이완능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and vasorelaxation effect of Vitis labruscana B. and Vitis coignetiae grapevine leaves at growth stages)

  • 유진주;김혜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40-4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켐벨얼리 품종과 머루 품종의 포도 잎을 생육단계별로 채취하여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quercetin, kaempferol, isorhamnetin)의 함량 변화와 혈관 이완 효과를 평가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품질관리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포도의 생육단계는 전엽기, 개화기, 결실기, 착색기 및 성숙기로 구분되는데, 산업적으로 포도 잎 원료 확보가 쉬운 결실기, 착색기 및 성숙기 포도 잎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시험 결과 두 품종 모두 생육단계별로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 함량의 차이가 있었고, 결실기>성숙기>착색기 순으로 성분들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육단계별 혈관 이완 효과는 두 품종 모두 혈관 이완 효과를 보였으며 켐벨얼리 포도 잎이 머루 포도 잎보다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포도잎 추출물의 기능성 소재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물론, 안타깝게도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 성분이 혈관 이완 효과를 대표하는 효능성분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지만, 착색기 포도 잎에 비하여 결실기와 성숙기에 함량이 높은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가 지표성분으로 써의 가치는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포도 잎을 기능성 원료로 활용 시 Q3OG 및 플라보놀 배당체를 지표성분으로 활용하고, 각 생육단계별 포도 잎 원료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일정한 효능과 지표성분 함량을 관리하는 방법이 되리라 생각한다.

산처리에 의한 적양파 분말의 quercetin 배당체와 aglycone의 농도변화 (Acid treatment effects on the contents of quercetin glycosides and aglycone in red onion powder)

  • 김미령;임준형;송지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5-125
    • /
    • 2022
  • 열풍건조로 제조된 껍질을 포함한 적양파 분말은 강력한 항산화제인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생양파즙에 비해 약 22배로 고농도로 농축되어 있으며, 60-70% ethanol 농도에서 70℃, 2시간 추출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이때 추출된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상관계수 0.877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적양파 분말의 플라보이드는 주로 quercetin 배당체인 Q3,4'G, Q4'G와 QA로 이루어져 있으며, 15:39:47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었다. 염산, 젖산, 초산 등 다양한 종류의 산처리에 의해 적양파 분말 속 quercetin 배당체는 QA로 전환될 수 있었으며 저농도 초산용액에서 QA로 전환되는 비율이 높았다. 이는 적양파 분말에 포함된 glucosidase가 저농도 산용액에서 활성화되면서 일어나는 반응으로 사료되었다. 초산 처리초기에는 diglycoside인 Q3,4'G의 de-glycosylation이 급격히 일어났으며, 초산처리 6시간 이후에는 Q4'G의 분해와 함께 QA가 증가하여 24시간 경과 후에 최대 QA의 함량에 도달하였으며, QA의 증가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유의적인 상관성(r=0.90)을 나타내어 생리활성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양파의 주요 플라보노이드인 quercetin 배당체는 저농도 초산 처리로 빠르고 간편하게 QA로 전환이 가능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생리활성의 증가도 도모할 수 있었다. 적양파 분말을 이용하여 저농도 산처리를 통하여 QA로의 전환률을 높이면, 고농도의 quercetin을 함유한 양파 소재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통해 기능성 양파 가공품의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Exo-β-1,3-Galactanase from Penicillium oxalicum sp. 68

  • Zhou, Tong;Hu, Yanbo;Yan, Xuecui;Cui, Jing;Wang, Yibing;Luo, Feng;Yuan, Ye;Yu, Zhenxiang;Zhou, Yif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8호
    • /
    • pp.1064-1071
    • /
    • 2022
  • Arabinogalactans have diverse biological properties and can be used as pharmaceutical agents. Most arabinogalactans are composed of β-(1→3)-galactan, so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identify β-1,3-galactanases that can selectively degrade them. In this study, a novel exo-β-1,3-galactanase, named PoGal3, was screened from Penicillium oxalicum sp. 68, and hetero-expressed in P. pastoris GS115 as a soluble protein. PoGal3 belongs to glycoside hydrolase family 43 (GH43) and has a 1,356-bp gene length that encodes 451 amino acids residues. To study the enzymatic properties and substrate selectivity of PoGal3, β-1,3-galactan (AG-P-I) from larch wood arabinogalactan (LWAG) was prepared and characterized by HPLC and NMR. Using AG-P-I as substrate, purified PoGal3 exhibited an optimal pH of 5.0 and temperature of 40℃. We also discovered that Zn2+ had the strongest promoting effect on enzyme activity, increasing it by 28.6%. Substrate specificity suggests that PoGal3 functions as an exo-β-1,3-galactanase, with its greatest catalytic activity observed on AG-P-I. Hydrolytic products of AG-P-I are mainly composed of galactose and β-1,6-galactobiose. In addition, PoGal3 can catalyze hydrolysis of LWAG to produce galacto-oligomers. PoGal3 is the first enzyme identified as an exo-β-1,3-galactanase that can be used in building glycan blocks of crucial glycoconjugates to assess their biological functions.

잇꽃(Carthamus tinctorius)으로부터 Flavonol glycoside 화합물들의 분리 및 항당뇨 효과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flowers of Carthamus tinctorius and their anti-diabetic activity)

  • 최보람;김형근;남윤희;윤다혜;신우철;장진규;이윤지;강동호;백남인;이대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77-483
    • /
    • 2023
  • 잇꽃을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n-BuOH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SiO2), octadecyl silica gel (ODS)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LC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Nuclear magnetic resornance, mass spectroscopy 및 infrarad spectroscopy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통해 화합물의 화학구조를 astragalin (1), isoquercetin (2), nicotiflorin (3), 그리고 rutin (4) 로 동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잇꽃 추출물, 용매 분획물 및 모든 분리 화합물의 alloxan에 의해 손상된 zebrafish 유충 췌도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EtOAc (CTE), n-BuOH (CTB) 및 H2O (CTW) 분획 모두 통계 유의적으로 우수한 항당뇨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분리된 화합물 1-4로 처리된 췌도 크기는 알록산 유도군 대비 각각 87.0, 88.5, 88.7, 및 89.3% 로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분리된 4종의 화합물 중 nicotiflorin은 6.752 mg/추출물(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통해 잇꽃 유래 화합물은 항당뇨 소재의 기능 지표성분으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vitro Free Radical Scavenging and Hepatoprotective Compound from Sanguisorbae Radix

  • An, Ren-Bo;Tian, Yu-Hua;Oh, Hyun-Cheol;Kim, Youn-Chul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3호
    • /
    • pp.119-122
    • /
    • 2005
  •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hepatoprotective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MeOH extract of Sanguisorbae Radix, as guided by thei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structures were determined as 4,5-dimethoxy-3-hydroxybenzoic acid methyl ester (1), (+)-gallocatechin (2), methyl $6-O-galloyl-{\beta}-D-glucopyranoside$ (3), and pomolic acid $3-O-[{\alpha}-L-arabinopyranoside]-28-O-[{\beta}-D-glucopyranosyl]$ ester (ziyu-glycoside I) (4). Compounds 2 and 3 showed significant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exhibiting $IC_{50}$ values of 11.4 and $13.0\;{\mu}M$, respectively. L-Ascorbic acid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nd exhibited the $IC_{50}$ value of $50.3\;{\mu}M$. In evaluation of the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the isolated compounds on drug-induced cytotoxicity, compound 2 showed the significant hepatoprotective effect with the $EC_{50}$ value of $91.84\;{\pm}\;11.0\;{\mu}M$ on tacrine-induced cytotoxicity in Hep G2 cells, while silybin, a positive control, exhibited $EC_{50}$ value of $122.4\;{\pm}\;12.5\;{\mu}M$.

SHRINKAGE OF VITREOUS BODY CAUSED BY HYDROXYL RADICAL

  • Park, Myoung-Joo;Shimada, Takashi;Matuo, Yoichirou;Akiyama, Yoko;Izumi, Yoshinobu;Nishijima, Shigehir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143-150
    • /
    • 2008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hydroxyl radical generated by $\gamma$-ray and UV irradiation on shrinkage of vitreous body. Change in gel ratio of vitreous body and change in the properties of its components (collagen, sodium hyaluronate)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se results, the amount of hydroxyl radical, which induces the considerable shrinkage of vitreous body, was evaluated from theoretical calculation based on experimental condition and some reported kinetic parameters. It was concluded that the integrated amount of hydroxyl radical required to liquefy half of the vitreous body (Vitreous body gel ratio = 50%) was estimated as $140\;{\mu}molg^{-1}$ from $\gamma$-ray irradiation experiment. Also, from UV irradiation experiment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hydroxyl radical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reactive species. The causes of shrinkage of vitreous body are supposed as follows, 1) decrease in viscosity by cleavage of glycoside bond in sodium hyaluronate, 2) leaching of collagen from vitreous body and 3) leaching of crosslinked products and scission products of collagen.

Evaluation of Skin Sebosuppression by Components of Total Green Tea (Camellia sinensis) Extracts

  • Kim, Jeong-Kee;Shin, Hyun-Jung;Lee, Byeong-Gon;Lee, Sang-J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464-469
    • /
    • 2008
  • In human beings, it is know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occurrence of acne and the ability to suppress sebum. Sebosuppression may b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sebocyt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lipogenesis in sebaceous glands. To investigate the skin sebosuppressive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 the in vivo effects of its flavonoid compounds on the androgen-dependent stimulation of pigmented macules in hamsters and performed in vitro experiments with human primary sebocytes were examined. Our results imply a dual activity of skin sebosuppression by green tea flavonoids; some catechins including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and gallocatechin-3-gallate (GCG) may reduce the differentiation of sebocytes by inhibiting PPAR-${\gamma}1$ mRNA expression, whereas some flavonol glycosides including kaempferol may inhibit lipogenesis in sebaceous glands by decreasing levels of the mature form of sterol-sensitive response elements binding protein-1c (SREBP-1c). Therefore, green tea is a potentially effective material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foods or cosmetics for skin sebosuppression.

Hesperetin Stimulates Cholecystokinin Secretion in Enteroendocrine STC-1 Cells

  • Kim, Hye Young;Park, Min;Kim, Kyong;Lee, Yu Mi;Rhyu, Mee Ra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1권2호
    • /
    • pp.121-125
    • /
    • 2013
  • Hesperetin (3',5,7-trihydroxy 4'-methoxyflavanone) and its glycoside hesperidin (hesperetin 7-rhamnoglucoside) in oranges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pharmacological effects related to anti-obesity. However, hesperetin and hesperidin have not been studied on suppressive effects on appetite. This study examined that hesperetin and hesperidin can stimulate the release of cholecystokinin (CCK), one of appetite-regulating hormones, from the enteroendocrine STC-1 cells, and then examined the mechanisms involved in the CCK release. Hesperetin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stimulated CCK secretion with an $EC_{50}$ of 0.050 mM and increased the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s ($[Ca^{2+}]_i$)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The stimulatory effect by hesperetin was mediated via the entry of extracellular $Ca^{2+}$ and the activation of TRP channels including TRPA1.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speretin can be a candidate biomolecule for the suppression of appetite and eventually for the therapeutics of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