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lipid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6초

분말가쓰오부시의 제조 및 풍미성분에 관한 연구 2. 분말가쓰오부시의 지질성분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Powdered Katsuobushi and Its Flavor Constituents 2. Lipid Components of Powdered Katsuobushi)

  • 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4
    • /
    • 1989
  • 분말가쓰오부시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질성분을 살펴보기 위해 제품제조 중 일어나는 지질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원료가다랑어의 총지질조성은 중성지질 $79.7\%$, 당지질 $7.8\%$ 및 인지질이 $12.5\%$였고, 자숙 및 훈건처리 등 제조과정 중 인지질은 점차 감소한 반면 중성, 당지질의 조성비는 증가하였다. 분말가쓰오 부시 제품의 조성은 중성지질 $82.5\%$, 당지질 $9.2\%$, 인지질 $8.3\%$였다. 제조과정 중 각 지질획분의 조성변화는 TG, DGD, PC 및 PE 등이 감소하였고 FFA, DG, MGD 등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LPC의 생성도 확인되었다. 총지질의 지방산함량은 추출한 총지질 1g당 23:0을 기준으로 원료가다랑어가 721.8mg, 자숙시료 589.8mg, 1차훈건시료 549.6mg, 분말가쓰오부시제품 473.1mg으로 제품제조 중 약 $35\%$의 지방산이 감소하였다. 각 구성지방산의 변화는 22:6, 20:5를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엔산이 절대량으로 약 $43\%$, 모노엔산 $36\%$, 포화산이 $26\%$의 감소를 보였으며, 주요구성지방산은 16:0, 18:0, 16:1, 18:1, 20:5 및 22:6이었다. 분말가쓰오부시 제조중 중성, 당, 인지질의 지방산조성의 변화는 획분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22:6, 20:5, 20:4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감소한 반면, 포화산의 조성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모노엔산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 PDF

코끼리 조개의 동결저장 중 지질의 변화에 미치는 전처리의 효과 (The Effects of Pretreatment on the Lipid Oxidation of Korean Geoduck Muscle during Frozen Storage)

  • 유병진;최흥길;정인학;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96-304
    • /
    • 1993
  • 코끼리 조개의 동결저장 중 일어나는 품질저하의 주 요인인 지질산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코끼리 조개육의 총지질함량은 $4.06\%$로 적으나 지방조성이 처리조건에 따라, 내장을 포함한 시료에서 중성지질이 $39.7\%$, 당지질 $6.8\%$, 인지질 $53.5\%$, 내장을 제거한 시료에서 중성지질 $46.1\%$, 당지질 $4.5\%$, 인지질 $49.5\%$, 그리고 blanching한 시료에서 중성지질 $51.9\%$, 당지질 $8.2\%$, 인지질 $39.9\%$로 인지질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으며 내장제거, blanching 등의 처리에 따라 인지질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지방산조성은 전 지질에서 포화지방산이 $35.22{\sim}38.48\%$, monoene산이 $19.81{\sim}22.35\%$, polyene산이 $39.25{\sim}42.60\%$로 polyene산의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주요 구성지방산은 $C_{16:0}$$17.20{\sim}20.07\%$, $C_{20:5}$$18.29{\sim}19.80\%$, $C_{22:6}$$10.25{\sim}11.15\%$$10\%$ 이상을 점하는 주요 구성지방산이었으며 그리고 $C_{18:0},\;C_{16:1},\;C_{18:1},\;C_{14:0},\;C_{20:1}$등이 $5\%$ 이상 차지하고 있었다. 저장 중의 지질산화는 POV의 증가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장 포함한 시료 VM과 내장제거한 생시료(RM)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저장 90일에 각각 3.72, 3.00meq/kg의 값을 보였으나 blanching한 시료(BM)에서는 저장 90일에 1.44meq/kg에 머물러 상당히 안정됨을 볼 수 있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조성의 변화에 있어서는 blanching에 의해 polyene산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이후 저장 중의 변화는 적어서 내장제거 후 blanching하여 동결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 PDF

해수사육 틸라피아 근육의 식품성분 연구 2. 담수 및 해수사육한 틸라피아 근육의 지질성분 (Studies on the Food Components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Cultured in Seawater 2.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of Tilapia with Freshwater Cultured Tilapia)

  • 전중균;김진수;박철원;한명수;허형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9-344
    • /
    • 1990
  • 해수사육한 틸라피아와 담수사육한 것의 근육지질의 구성 및 그 지방산조성을 분석$\cdot$비교하였다. 해수사육군은 담수사육군에 비해 총지질함량이 미미하지만 약간 많았고, 중성지질이 구성지질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다음으로 인지질, 당지질의 순이었다. 중성지질 중에는 triglyceride(TG)의 조성이 가장 많았으며, 총지질 함량의 증가는 TG획분의 증가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인지질에서는 phosphatidyl chloine, phosphatidyl ethanolamine, sphingomyelin이 동정되었으나, phosphatidyl choline이 가장 높은 조성비를 보였다. 각 구성지질을 이루는 주요지방산은 14 : 0, 16 : 0, 18:0 등의 포화산을 비롯하여 16. 1, 18 : 1, 18 : 2, 22:6 등의 불포화산이었으며, 특히 16 : 0과 18 : 1의 구성비가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에서 높았으나, 인지질에서는 18 : 1, 18 : 2의 조성비가 적고 20 : 4, 20 : 5, 22 : 6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해수시료군에서나 담수시료군에서나 마찬가지였으며, 두 시료군간에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 PDF

붕장어의 크기에 따른 지방질성분 및 아미노산 조성의 비교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Sea Eel by Size)

  • 오광수;문수경;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2-196
    • /
    • 1989
  • 우리나라에서 생선회로 가장 많이 먹고 있는 붕장어를 대형, 소형의 크기별로 구입하여 지질 성분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대형 붕장어는 소형어에 비하여 수분 및 조단백질 함량이 다소 많은 반면 조지방 함량은 4.2%로서 소형 붕장어의 9.8%에 비하여 적었다. 대형 및 소형 붕장어의 증성지방질 함량은 각각 총지방질의 89.7%, 93.3%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인지방질은 8.9%, 5.2% 함유되어 있었다. 총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은 대형 및 소형 붕장어 모두 18:1을 주체로 한 모노엔산이 47.1%, 50.3%로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2:6이 주가 된 폴리엔산이 33.4% 및 25.2%, 16:0을 주체로 한 포화산은 19.5% 및 24.5% 함유되어 있었다. 중성 및 당지빙질은 18:1을 주성분으로 한 모노엔산의 조성비가 높은 반면 인지방질은 폴리엔산의 조성비가 높았다. 대체로 대형 붕장어는 소형어에 비해 20:5, 22:5, 22:6과 같은 고도불포와 지방산의 함량이 않았고 소형 붕장어는 16:0, 16:1, 18:1등의 포화산 및 모노엔산이 많았다. 총 아미노산량은 대형 붕장어가 17022.7mg/100g, 소형어가 15409.4mg/100g 이었고. aspartic acid, glutamic acid, isoleucine, leucine, lysine, arginine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 이었다. 소형 붕장어에는 대형어에 비해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대형 붕장어는 cyst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의 함량이 많았다.

  • PDF

율무와 염주의 식이섬유, 아미노산 및 지질 성분의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etary Fiber, Amino Acids and Lipid Components of Yullmoo and Yeomjoo)

  • 우자원;이미숙;이희자;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9-275
    • /
    • 1989
  • 현율무, 율무쌀, 율무겨 그리고 현염주를 시료로 하여 일반성분, 총 식이섬유 함량, acid detergent fiber 함량, lignin 함량, 수분 결합력, 아미노산 조성 및 중성지질 조성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율무쌀의 총 식이섬유량은 2.70% 였고, 현율무는 3.86% 였으며 현염주는 4.33% 그리고 율무겨는 13.12%였다. Acid detergent fiber 양은 율무쌀이 1.81%로 가장 낮았고 현율무, 현염주는 각각 3.45%, 3.26%로 비슷한 값이었다. 율무겨에서 추출한 총 식이섬유와 acid detergent fiber 의 수분 결합력을 측정하여 비교한 바 총 식이섬유의 수분 결합력은 $2.63{\pm}0.02g\;H_2O/g\;TDF$로 매우 낮았고, acid detergent fiber의 수분 결합력은 $5.89{\pm}0.152g\;H_2O/g\;ADF$였다. 율무쌀, 현율무, 현염주 그리고 율무겨의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leucine 이었으며, 율무쌀의 경우 leucine 의 chemical score는 189로 매우 높았으며 반면에 lysine의 chemical score는 22-32 사이로 매우 낮아 율무, 염주의 제한 아미노산이 되었다. 지질성분은 중성지질이 80.89%-96.55% 범위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당지질이 2.35%-7.48% 사이로 현염주의 당지질 함량이 가장 낮았다. 인지질은 함량이 매우 낮아서 1.10%-2.12% 범위였다. 각 지질 성분의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ole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 였으며 현염주를 제외하고는 조성상에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 PDF

한국 재래 검점콩의 지방질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of Korean Black Soybean)

  • 이경임;유정희;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2-268
    • /
    • 1988
  • 검정콩을 chloroform-methanol(2 : 1, v/v)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총지방질을 SACC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로 분획하고, 이들의 조성을 TLC에 의하여 분별하였으며, GC에 의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정콩의 총지방질중 중성지방질은 $88.5{\sim}89.2%$, 당지방질은 $2.4{\sim}2.5%$,, 인지방질은 $8.4{\sim}9.0%$였다. 중성지방질 조성중 triglycerides가 주된 성분이었으며, diglycerides, sterols, steryl esters, free fatty acids, hydrocarbons 등을 함유하고 있었다. 당지방질 성분으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s 및 esterified steryl glycosides, cerebrosides 및 steryl glycodes, digalactosyl diglycerides 등이 분별정량되었으며, 인지방질에서는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serule 및 lysophosphatidyl choline이 분별정량되었다. 검정콩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방질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고, oleic acid가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당지방질도 이와 비슷하나 olelc acid함량이 다소 낮은 반면 palmitic acid와 linolenic acid함량이 약간 높았다. 또한 인지방질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 함량은 높으나 그외는 적은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옥수수 배의 중성 지질의 추출을 위한 7종 용매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Seven Solvents for the Extraction of Neutral Lipid in Corn Embryo)

  • 김덕진;전영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96-602
    • /
    • 1991
  • 옥수수 배를 benzene(BZ), n-hexane(HX), petether(PE), tricholoroethhylene(TE), chloroform-methanol(2:1, v/v) (CM), dichloromethane-methanol(2:1, v/v) (DM), hexane-diethyiether(5:1, v/v) (HD)의 7종 용매로 조지질을 추출하여 SACC법으로 비극성과 극성지질을 분리한 후 각각의 지질 조성을 TLC scanner로 측정하고 GC로 지방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를 검토하였다. 조지질 추출양은 DM에서 가장 많고 다음은 CM이며 중성지질은 HX, BZ, HD에서 높은 반면 PE, DM에서 낮았으며 함량비에서는 DM과 CM에서 높으며, 당지질은 DM을 사용했을 때, CM, PE, HX 등보다 높고 HD에서 가장 낮았고 인지질은 CM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성지질의 분별정량에서 triglyceride는 DM에서 높고 PM에서 낮은 편이며 1, 3-diglyceride는 CM 에서 높고 DM에서는 낮았다.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가 주요 성분이며 이는 CM에서 높은 편이며 oleic acid는 PE, HD등을 사용했을 때 CM보다 높고 중성지질의 지방산 조성도 linoleic acid가 가장 많고 BZ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E, CM, HD 등에서 낮고 oleic acid는 비슷하나 DM, BZ에서는 낮다. Palmitic acid는 CM, PE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옥수수전분 제조공정의 부산물인 maize germ의 지질 및 아미노산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Maize Germs Separated in the Manufacture of Cornstarch)

  • 조성환;김재욱;최종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1
    • /
    • 1986
  • 옥수수전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의 산업적 이용과 공장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옥수수를 파쇄하고 비중의 차로 전분부와 분리하여 모아지는 배아함유 폐기물의 조성분을 분석 정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으로 조단백질이 25.3%, 조지방이 19.2%로 나타났으며 시료 100g당 열량은 512kca1로 우수하였다. 2. 무기성품의 함량은 Ca, P이 비교적 낮았으며, K, Mg, Zn, Mn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3. 유지의 화학적 특성으로는 요오드가는 44.0 검화가 292.3, 산가 1.5, 과산화가 3.3이었으며 종자나 배아의 지방질 특성과 비슷하였다. 4.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획된 지질은 대부분 중성지질 이었으며 다음으로 당지질, 인지질 순이었다. 5. 전지질, 유리지질 및 결합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60{\sim}62.5%)$, oleic$(20{\sim}22.5%)$ 및 palmitic acid$(10{\sim}13.5%)$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보다 훨씬 많았다. 6. 질소화합물은 불용성 단백태질소함량이 32.5%로 가장 많고, 수용성 단백태질소 12.7% 및 peptide태 질소화합물은 3.3%로 적은 함량을 보였다. 7. 단백질의 주요 amino산은 glutamic, glycine, alanine 및 aspartic acid등 이었으며 곡류에 결핍되기 쉬운 lysine을 포함한 필수아미노산도 고루 함유되어 있었다. 8. SDS-disc electrophoresis 결과 $5{\sim}6$개의 단백질 band를 확인하였으며, $14,500{\sim}24,500$ 정도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국내산 유채 종자의 품종별 지방 조성 및 페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Lipid Composition of Korean Rapeseed (Brassica napus L.) Cultivar and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Extract)

  • 이아영;홍순택;장영석;이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2호
    • /
    • pp.1817-1826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산 유채 종자 내한, 탐라, 목포111호, 영산, 탐미, 한라와 목포68호의 품종별 지방산 조성, 인지질, 당지질, 토코페롤 함량을 조사하고, 유채 종자를 탈지한 후 crude phenolic compound를 추출하여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유채 종자의 조지방 함량은 29.3~33.2%였고, 품종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지방산은 oleic(n-9), linoleic(n-6)과 ${\alpha}$-linolenic acid(n-3)였으며, n-6/n-3 지방산의 비율은 2.20~3.68이고 이 중 내한종이 가장 낮고 한라종이 가장 높았다. Neutral lipids 함량은 내한종과 탐라종, 인지질 함량은 탐미종에서 가장 높고, 소량 함유된 당지질은 내한, 탐라, 한라와 목포68호 간 함량 차이가 없었으며 목포111호에 가장 낮게 함유되었다. 토코페놀 함량 수준은 ${\gamma}$ > ${\alpha}$ > ${\beta}$ > ${\delta}$-tocopherol이며, 내한종의 총 tocopherol 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탐라, 목포111의 순이었으며 영산, 탐미, 한라 목포68호는 유의적인 함량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품종별 총 페놀 함량은 탐라> 영산> 탐미, 한라, 내한> 목포68호, 목포111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탐라종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FRAP value가 가장 높아 7개의 품종 중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탈지 후의 유채박에 함유된 phenol compounds의 용매별 분획할 결과 30% ethanol fraction에 가장 많이 추출되며 이 fraction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침과정 전후의 한국산 검정콩의 지질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Lipid Composition of Korean Black Soybean before and after Soaking)

  • 오미경;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9-35
    • /
    • 1992
  • 수침이 진행되는 동안 한국산 검정콩의 수분 흡수는 수침 초기에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고 균일하게 완전히 수화(hydration)되는 시간은 약22시간 정도였다. 검정콩의 총지질중 중성지질은 89.1%, 당지질은 1.5%, 인지질은 9.4%였으며, 수침 후에도 그 조성은 비슷하였다. 그리고 중성지질 성분은 triglycerides(92.1%)가 대부분이었고 그 외 sterol esters와 hydrocarbons (3.0%), diglycerides (2.8%), free fatty acids (1.5%), free sterols (0.3%), monoglycerides (0.3%)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수침 후에도 그 조성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당지질 성분은 esterified steryl glycosides(43.6%), steryl glycosides (26.6%), digalactosyl diglycerides(14.5%) 등이 주성분이었고 이러한 성분들은 수침으로 인해 약간 변화하였다. 인지질 성분은 phosphatidyl choline(41.6%)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39.5%)등이 가장 않았으며 이러한 성분들은 수침 과정 중 다소 감소하였고 phosphatidyl serine, phosphatidyl inositol, lysophosphatidyl choline등의 성분들은 약간 증가하였다.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51.1%), oleic acid (23.1%), palmitic acid(11.8%)등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중성지질에서는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당지질과 인지질에서는 palmitic, linoleic acid등의 함량이 많았다. 수침 과정중 총지질, 중성지질의 지방산 조성 변화는 거의 없으나,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미량씩의 증감의 변화가 있었고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oleic acid 등은 증가에 비해 linoleic, linolenic acid 등은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