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lipid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3초

옥수수 가열가공처리에 의한 단백질 및 지질성분의 변화 (Changes of Corn Proteins and Lipids induced by Thermal Processing)

  • 조성환;윤주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7-299
    • /
    • 1989
  • 폭렬종 옥수수를 가열가공 처리하여 가열 처리과정중에 일어나는 단백질 및 지질의 열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옥수수 가열 가공 처리에 따른 영양학적 평가의 기초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폭렬종 옥수수의 중성지지질은 93.5%에서 95.5%로 가열 처리 후 당지질 및 인지질의 상대적 함량이 감소하는 반면, 중성지질은 증가하였다. 전지질과 중성지질의 구성지방산은 가열처리 후 불포화 지방산이 상당히 증가하였고, 당지질과 인지질의 구성지방산은 가열처리 후 당지질의 경우 margaric acid가, 인지질의 경우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각각 증가하였다. 가열처리후 albumin분획은 lysine이 다소 증가하고, aspartic acid, arginine등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globuline분획도 이와 비슷하였다. zein분획은 glutamic acid, proline, leucine, alanine등을 적게 함유하였으며, 가열처리에 의해 함량변화가 거의 없었다. 한편, glutelin분획은 zein분획과 비교하여 lysine, histidine등을 많이 함유하는 반면, glutamic acid는 적었고, 가열처리에 의한 변화도 거의 없었다.

  • PDF

식용(食用)지렁이의 영양가(營養價)에 대(對)한 연구(硏究)(III) (Studies on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Edible Earthworm (III))

  • 이현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5-118
    • /
    • 1986
  • 한국산 식용(食用)지렁이(Lumbricus terrestris)를 동결건조시킨 후 분말로하여 chloroform-methanol(2:1, v/v)로 추출한 총지질의 정량 및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하여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이들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결건조 지렁이(수분함량 4.68%)를 추출한 총지질은 10.80%였고, Folch법에 의해 정제된 양은 68.5%였다.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분획한 결과 중성지질은 35.14%, 당지질이 41.74%였으며, 인지질은 23.12%였다. 각지질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중성지질의 포화지방산은 60.01%, monoene산이 25.38%, polyene산이 11.30%이었으며, 지방산중 lauric acid가 15.63%로 가장 많았고, oleic acid가 13.54%로 되어 있었으며, 당지질은 포화지방산이 58.41%, monoene산이 8.67%, polyene산이 5.39%였고, C수가 10미만인 지방산이 23.22%였다. caproic acid가 25.80%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lauric acid로 11.22%였었다. 또한 인지질은 포화지방산이 44.75%, monoene산이 17.88%, polyene산이 25.24%로 중성당지질보다 polyene산이 많았었다. oleic acid가 16.20%로 가장 많은 양을 나타내었고, 다음이 caproic acid로 12.07%였었다.

  • PDF

유지의 알칼리 이성질화에 의한 Conjugated Linoleic Acid 농축물의 제조 (Prepar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oncentrate from Vegetable Oils by Alkali Isomerization)

  • 김지호;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53-1457
    • /
    • 1999
  • 항산화 및 항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식물성 유지로부터 알칼리 이성질화에 의해 고 농도의 CLA 농축물을 얻기 위한 최적 조건을 연구하였다. 지방산 조성이 상이한 식물성 유지를 알칼리 이성질화 하였을 때 CLA 생성량은 유지중 linoleic acid 함량이 많은 것이 가장 높았다. 홍화유를 알칼리 이성질화할 때 KOH 농도는 $8{\sim}11%$, 가열온도는 $180{\sim]185^{\circ}C$에서 cis-9, trans-11 CLA와 총 CLA 생성량이 가장 높았고, 가열시간은 CLA 생성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20{\sim}40$분이 가장 적당하였다. 홍화유를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에 의해 중성, 당 및 인지방질의 lipid class를 분획하여 알칼리 이성질화를 시켰을 때 중성지방질의 획분에 CLA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알칼리 이성질화시킨 홍화유를 요소처리와 HPLC 분획에 의해 95.4%의 CLA 농축물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al Patterns of Gal$\beta$1,3(4)GlcNAc $\alpha$2,3-Sialyltransferase (ST3Gal III) Expression in the Mouse: In Situ Hybridization Using DIG-labeled RNA Probes

  • Ji, Min-Young;Lee, Young-Choon;Kim, Kyoung-Sook;Cho, Jin-Won;Jung, Kyu-Yong;Kim, Cheorl-Ho;Choo, Young-Ku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243-248
    • /
    • 1999
  • Sialic acids are key determinants for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cell-cell interaction and differentiation. Sialyltransferases contribute to the diversity in carbohydrate structure through their attachment of sialic acid in various terminal positions on glycolipid and glycoprotein (N-linked and O-linked) carbohydrate groups. Gal$\beta$ 1,3(4)GlcNAc $\alpha$2,3-sialyltransferase (ST3Gal III) is involved in the biosynthesis of $sLe^{X}$ and sLe^{a}$ known as selection ligands and tumor-associated carbohydrate structures. The appearance and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ST3Gal III mRNA during mice embryogenesis [embryonic (E) days; E9, E11, E13, E15] were investigated by in situ hybridization with digoxigenin-labeled RNA probes coupled with alkaline phosphatase detection. On E9, all tissues were positive for ST3Gal III mRNA expression whereas ST3Gal III mRNA on E11 was not detected throughout all tissues. On E13, ST3GAl III mRNA was expressed in different manner in various tissues. In this stage, ST3Gal III mRNA was positive only in the liver, pancreas and bladder. On E15, specific signal for ST3GAl III was detected in the liver, lung and forebra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3Gal III is differently expressed at developmental stages of mice embryo, and this may be importantly related with regulation of organogenesis in mice.

  • PDF

다낭성난소증후군의 인슐린 저항성 치료에 대한 한약기전 및 빈용 본초 : 동물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Efficacy and Underlying Mechanisms of Herbal Medicine for Polycystic Ovary Syndrome with Insulin Resistance: A Review of Animal Studies)

  • 윤소영;성주영;김유민;유수원;김송백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35-57
    • /
    • 2024
  • Objectives: This systematic review of animal studies was designed to examine the therapeutic mechanisms of herbal medicines of insulin resistanc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composition of them. Methods: Studies were searched from PubMed, CNKI and Medline up to February 2024. Data was extracted and organized as animal model characteristics, treatment perio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ettings, evaluation index of treatment, therapeutic mechanism of herbal medicine and Composition of prescription. Results: In the 15 studies finally selected, the herbal medicine used in the study was effective in regulating the insulin resistance index, sex hormones and blood lipid index and improving the histological morphology of the ovaries. The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used in each of the 15 papers were different, and Salviae Miltiorrhizae Radix (丹參), Wolfiporia cocos (茯苓) and Epimedii Herba (淫羊藿) were most frequently used herbs, 7 times.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herbal medicine is effective in treating insulin resistanc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through several mechanisms. The herbs used in more than 4 papers had effect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estradiol hormone production control and glycolipid metabolism control. More diverse clinical studies on insulin resistance in Polycystic ovary syndrome are needed.

오징어 내장의 지방질조성 (Characteristics of Squid Viscera Oil)

  • 김은미;조진호;오세욱;김영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5-600
    • /
    • 1997
  •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오징어내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장에서의 지방 추출 및 추출지방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양산과 연안산의 총지방량은 각각 $30.50\%,\;30.25\%$였으며 중성지질은 $96.24\%,\;94.82\%$, 당지질은 $2.63\%,\;2.85\%$, 인지질은 $2.37\%,\;2.34\%$으로 나타났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644mg\%,\;1,224mg\%$를 각각 나타내었다. 2) 원양산 및 연안산 오징어의 주요 지방산은 모두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6\omega3$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지방질의 획분조성도 서로 유사하여 품종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두군 모두 free fatty acid 함량이 가장 높은 $44.01\%,\;39.63\%$를 각각 나타내었다. 3) 원양산의 분획별 주요지방산은 중성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5\omega3$, 인지질획분에서 $C16\;:\;0,\;C16\;:\;1\omega7,\;C20\;:\;5\omega3,\;C22\;:\;6\omega3$ 당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5\omega3,\;C22\;:\;6\omega3$으로 나타났다. 4) 연안산의 분획별 주요지방산은 중성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6\omega3$로 나타났으며 인지질획분에서는 $C16\;:\;0,\;C18\;:\;1\omega9,\;C22\;:\;6\omega3$로 당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2\;:\;6\omega3$로 나타났다.

  • PDF

굴, 피조개 및 진주담치의 지질조성에 관한 연구 (Lipid Composition of Oyster, Arkshell and Sea-mussel)

  • 윤호동;변한석;천석조;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1-326
    • /
    • 1986
  •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패류중에서 이매 견인 굴, 피조개 및 진주담치를 시료로 하여 지질조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각시료의 총지질의 함량은 굴이 $3.5\%$, 피조개는 $1.4\%$, 진주담치는 $1.0\%$로 나타났으며, 중성지질함량은 $60.5{\sim}76.3\%$, 당지질은 $1.2{\sim}4.2\%$ 그리고 인지질은 $10.2{\sim}32.2\%$를 차지하였다. 총지질의 주요지방산은 palmitic acid, eicosapentaenoic acid가 주성분이었고 이외에도 굴에는 docosahexaenoic acid가, 피조개와 진주담치에는 palmitic acid의 함량이 많았다.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질성분은 free sterol, 유리지방산, triglyceride, hydrocarbon & esterified sterol등이었으며, 이 가운데 triglyceride의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55.6{\sim}77.7\%$), 그 다음으로 hydrocarbon & esterified sterol, free sterol 함량이 각각 $5.7{\sim}18.8\%$$7.4{\sim}12.2\%$로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성지질의 지방산조성을 보면, 굴에서는 palmitic acid($27.8\%$), eicosapentaenoic acid($14.7\%$) 및 oleic acid($10.73\%$)가, 피조게에서는 palmitic acid($36.65\%$), eicosapentaenoic acid($21.9\%$) 및 palmitoleic acid($14.52\%$)가 주요지방산이었고, 진주담치에는 palmitic acid($36.65\%$), eicosapentaenoic acid($16.9\%$) 및 palmitoleic acid($12.3\%$)가 주성분이었다. 당지질의 지방산조성을 보면, 굴에는 docosahexaenoic acid가 $45.51\%$로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palmitic acid ($9.71\%$), eicosaenoic acid($8.7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피조개에는 palmitic acid($17.63\%$), myristic acid($21.8\%$) 및 palmitoleic acid($11.1\%$)가 주성분이었고, 진주담치에는 docosahexaenoic acid($27.33\%$), linolenic acid($13.7\%$) 및 palmitic acid($10.6\%$)가 주요지방산이었다. 굴의 인지질의 구성하는 주요지방산은 palmitic acid($34.73\%$), docosahexaenoic acid($15.24\%$) 및 eicosapentaenoic acid($13.57\%$)였고, 피조개에서는 palmitic acid($29.44\%$), eicosapentaenoic acid($14.4\%$) 및 erucic acid($11.84\%$)가 주요지방산이었다. 그리고 진주담치에서는 palmitic acid가 $23.9\%$, eicosapentaenoic acid가 $10.9\%$, linoleic acid가 $7.92\%$를 차지하여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 PDF

담수어의 지질에 관한 연구 2. 가물치(Channa argus)의 부위별 지질성분의 분포 (Studies on Lipids in Fresh-Water Fishe 2. Distribution of Lipid Components in Various Tissues of Snake Head, Channa argus)

  • 여재일;최진호;변재형;장진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05-413
    • /
    • 1984
  • 전보에 이어 가물치의 지질을 체부위별(육질부, 피부. 내장부)로 유리지질과 결합지질로 분획하고, 지질 및 구성지방산의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적으로 유리지질은 총 지질의 $32.80\%$를 차지하여 결합지질 $3.86\%$에 비하면 약 8.5배 정도의 높은 함량이었다. 부위별로 유리지질의 함량을 보면 내장부가 $67.50\%$로서 가장 높았고 피부($20.04\%$), 육질부 ($10.85\%$)의 순이었다. 2, 유리지질중에는 중성지질이 $66.6{\sim}72.4\%$, 인지질이 $17.9{\sim}20.4\%$ 그리고 당지질이 $5.7{\sim}12.2\%$ 함유되어 있었으며, 결합지질중에는 인지질이 $28.6{\sim}50.6\%$, 중성지질이 $13.2{\sim}36.1\%$ 그리고 당지질이 $3.8{\sim}22.8\%$ 함유되어 있었다. 3. 유리지질중의 중성지질은 triglyceride(TG)가 $62.00{\sim}90.20\%$, 결합지질중의 중성지질은 esterified sterol(ES) 및 hydrocarbon(HC)이 $51.3{\sim}72.70\%$의 함량으로 가강 많았다. 한편 유리지질중의 인지질은 phosphatidyl ethanolamine(PE)이 $28.9{\sim}42.75\%$. phosphatidyl choline(PC)이 $27.85{\sim}41.06\%$로서 비슷한 함량을 보였으나, 결합지질중의 인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PC)의 $47.18{\sim}52.54\%$, phosphatidyl ethanolamine(PE)은 $17.88{\sim}26.67\%$ 로서 많은 차이를 보였다. 4. 극성지질의 주요 구성지방산을 유리 및 결합지질로 비교하여 보면 $C_{16:0}산(21.03\%,\;22.62\%),\;C_{16:1}(8.70\%,\;30.1\%),\;C_{18:1}산(20.62\%,\;12.11\%),\;C_{22:5}(3.02\%,\;9.86\%)\;C_{22:6}산(7.56\%,\;16.02\%)$ 인 반면 비극성지질의 경우에는 $C_{16:0}산(18.98\%,\;19.12\%),\;C_{16:1}산(9.04\%,\;13.49\%),\;C_{18:1}산(22.94\%,\;11.61\%)\;C_{22:5}산(3.00\%,\;10.05\%)$였다. 5. 불포화도(TUFA/TSFA)는 결합지질이 유리지질보다 약2.5배 정도 높았으며, monoenoic acid에 대한 polyenoic acid의 비(TPEA/TMEA)르 결합지질이 유리지질보다 훨씬 높았다. 6. 필수지방산(EFA)의 함량은 유리지질이 결합지질에 비하여 높았으나 w3 고도불포화방방산(w3-HU-FA)의 함량에 있어서는 그 반대이었다. 부위별로는 지질의 함량 및 지방산의 조성이 많은 차이를 보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평지씨 기름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Korean Rapeseed Oil)

  • 강숙;이강현;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5-121
    • /
    • 1980
  • 6종의 평지씨(한국산 5종과 카나다산 1종)를 n-hexane으로 추출한 유지와 2종의 시판 평지씨 샐러드 기름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과 지방질 조성을 column, thin layer 및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평지씨 중의 조 지방 함량은 평균 43.3 %였으며, 우리나라산이 카나다산의 것보다 약 3% 정도 지방함량이 많았다. 2. 우리나라산 평지씨에서 추출한 유지의 비중, 굴절률, 비누화 값, 요오드 값, 산값 및 비 비누화물 함량의 평균값은 각각 0.9133, 1.4726, 173.6, 103.6, 0.51 및 1.17 %였다. 카나다산은 우리나라산의 것보다 비중 비누화 값, 요오드 값은 모두 약간씩 높았고 굴절율은 약간 낮은편이었다. 3. 평지씨에서 추출한 층 지방질 중 극성 지질과 비극성 지질의 평균 함량은 각각 2.7 및 97.3 %였다. 비 극성 지질 중에는 triglyceride가 92.7 %로 가장 많았고 sterol ester와 diglyceride가 각각 1.5 및 1.2 %로 그 다음이었고, monoglyceride, free fatty acid acid 및 free sterol이 부성분으로 약간씩 함유되어 있었다. 한편, 극성 지질 중의 인 지질 및 당 지질의 평균 함량은 1.8 및 0.7 %였다. 4. 우리나라산 평지씨 기름의 총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은 평균적으로 erucic acid가 46.7 %로 가장 많았고, oleic(15.5 %), linoleic(13.4 %), eicosenoic(9.3 %) palmitic acid(4.3 %)의 순으로 그 함량이 적었다. 그러나 카나다산은 erucic acid의 함량이 0.7 %에 불과하였다. 중성 지질 획분의 지방산 조성은 총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과 그 페턴이 비슷하였다. 5. 인 지질 및 당 지질 획분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 지질 획분에 비해 erucic acid의 함량이 매우 적었고 linoleic, linolenic 및 palmitic acid의 함량은 많았다.

  • PDF

사과의 감압저장중(減壓貯藏中) 과피지질성분(果皮脂質成分)과 색소(色素)의 변화(變化) (Changes of Lipid Components and Pigments in Apple Peels during the Storage under Sub - atmospheric Pressure)

  • 김경태;손태화;최종욱;최상원;문광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89-99
    • /
    • 1987
  • 사과의 감압저장중(減壓貯藏中) 저장생리(貯藏生理)에 영향을 미치는 과피지질(果皮脂質)과 품질(品質)의 측도(測度)가 되는 색소(色素)의 변화(變化)에 대해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전지질(全脂質) 함량(含量)은 국광(國光)이 Fuji보다 높았으며, 두 품종(品種) 모두 저장(貯藏) 60일(日)까지 감소(減少)하다가 저장말기(貯藏末期)까지는 증가(增加)하였으며 특히 저온구(低溫區)에서 변화(變化) 폭(幅)이 현저하였다. 중성지질(中性脂質) 함량(含量)은 Fuji의 상온구(常溫區)에서는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하였고 저온구(低溫區)에서는 60일(日)까지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以後)로는 증가(增加)하였으며 국광(國光)은 60일(日)까지 약간씩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以後)로는 증가(增加)하였다. 당지질(糖脂質)은 두 품종(品種) 모두 30일(日)까지 감소(減少)한 후(後) 60일(日)까지는 증가(增加)하였다가 저장말기(貯藏末期)까지는 감소(減少)하였는데, 저온구(低溫區)에서 변화폭(變化幅)이 더 컸다. 인지질(燐脂質)은 Fuji에서 전반적(全般的)으로 감소(減少)하는 경향이었고 국광(國光)에서는 저장전반(貯藏全般)을 통해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다.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에 대한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의 함량비(含量比)는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 Fuji는 감소(減少)하였으나 국광(國光)은 증가(增加)하였고, 당지질(糖脂質)에서 Fuji는 60일(日)까지 감소(減少)한 후(後) 저장말기(貯藏末期)까지 증가(增加)하였고 국광(國光)은 저장전반(貯藏全般)에 걸쳐 증가(增加)하였다. 인지질(燐脂質)의 경우는 두 품종(品種) 모두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SAP-L, NAP-L, SAP-N, NAP-N 순(順)으로 비율(比率)이 높았다. Chlorophyll 함량(含量)은 국광(國光)이 Fuji보다 다소 높았고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에서 감소(減少) 경향(傾向)이 가장 적었다. Carotenoid, anthocyanin의 함량변화(含量變化) 상온상압구(常溫常壓區)에서 증가폭(增加幅)이 가장 컸으며 저온감압구(低溫減壓區)는 착색(着色)이 가장 지연(遲延)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