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ycoconjugat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8초

ST6Gal-I Predicts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 for Patients with Localized Clear-cell Renal Cell Carcinoma

  • Liu, Hai-Ou;Wu, Qian;Liu, Wei-Si;Liu, Yi-Dong;Fu, Qiang;Zhang, Wei-Juan;Xu, Le;Xu, Jie-Ji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3호
    • /
    • pp.10217-10223
    • /
    • 2015
  • Hyperactivated ${\alpha}2$-6-sialylation on N-glycans due to overexpression of the Golgi enzyme ${\beta}$-galactoside: ${\alpha}2$-6-sialyltransferase (ST6Gal-I) often correlates with cancer progression, metastasis, and poor prognosis.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T6Gal-I expression and the risk of recurrence and survival of patients with localized clear-cell renal cell carcinoma (ccRCC) following surgery. We retrospectively enrolled 391 patients (265 in training cohort and 126 in validation cohort) with localized ccRCC underwent nephrectomy at a single center. Tissue microarrays were constructed for immunostaining of ST6Gal-I. Prognostic value and clinical outcomes were evaluated. High ST6Gal-I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Fuhrman grade (p<0.001 and p=0.016, respectively)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Angeles Integrated Staging System (UISS) score (p=0.004 and p=0.017, respectively) in both cohorts. Patients with high ST6Gal-I expression had significantly worse overall survival (OS) (p<0.001 and p<0.001, respectively) and recurrence free survival (RFS) (p<0.001 and p=0.002, respectively) than those with low expression in both cohorts. On multivariate analysis, ST6Gal-I expression remained associated with OS and RFS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UISS score. Stratified analysis suggested that the association is more pronounced among patients with low and intermediate-risk disease defined by the UISS score. High ST6Gal-I expression is a potential independent adverse predictor of survival and recurrence in ccRCC patients, and the prognostic value is most prominent in those with low and intermediate-risk disease defined by the UISS score.

Lectin from Agrocybe aegerita as a Glycophenotype Probe for Evaluation of Progression and Survival in Colorectal Cancer

  • Liang, Yi;Chen, Hua;Zhang, Han-Bin;Jin, Yan-Xia;Guo, Hong-Qiang;Chen, Xing-Gui;Sun, H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601-5605
    • /
    • 2014
  • Background: Agrocybe aegerita Lectin (AAL) has been identified to have high affinity for sulfated and ${\alpha}2$-3-linked sialic acid glycoconjugates, especially the sulfated and sialyl TF (Thomsen-Friedenreich) disaccharid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linicopathological and prognostic value of AAL in identifying aberrant glycosylation in colorectal cancer (CRC). Materials and Methods: Glycoconjugate expression in 59 CRC tissues were detected using AAL-histochemistry. Clinicopathological associates of expression were analyzed with chisquare test or Fisher's exact test. Relationships between expression and the various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was estimated using Kaplan-Meier analysis and Cox regression models. Results: AAL specific glycoconjugat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umor than corresponding normal tissues (66.1% and 46.1%, respectively, p=0.037), correlating with depth of invasion (p=0.015) and TNM stage (p=0.024). Patients with lower expression levels had a significantly higher survival rate than those with higher expression (p=0.046 by log rank test and p=0.047 by Breslow test for overall survival; p=0.054 by log rank test and P=0.038 by Breslow test for progress free survival). A margin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AAL specific glycoconjugate expression and overall survival by un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p=0.059). Conclusions: Lower AAL specific glycoconjugate expression is a significant favorable prognostic factor for overall and progress free survival in CRC. This is the first report about the employment of AAL for histochemical analysis of cancer tissues. The binding characteristics of AAL means it has potential to become a powerful tool for the glycan investig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N-Nitrosodimethylamine이 흰쥐 설선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Prelectin 조직화학 (Prelectin Histochemistry for Effects of N-Nitrosodimethylamine on Glycoconjugates in the Rat Lingual Glands)

  • 조운복;조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09-519
    • /
    • 1998
  • 발암물질인 NDMA 17m/kg을 경구 투여했을 때 흰쥐설 von Ebner선과 설 점액선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을 prelectin 조직화학법인 PAS반응, AB pH 2.5 염색법, AB pH 0.4 염색법, AB pH 2.5 -PAS 염색법, AF pH 1.7-AB pH 2.5 염색법 및 HID-AB pH 2.5 염색법으로 연구하였다. NDMA 투여군의 설 von Ebner선의 형태적인 주된 변화는 장액선포의 위축 및 파괴, 장액세포의 세포질 과립의 감소 및 소실, 세포질의 공포변성 그리고 도관상피세포의 점액화였으며 NDMA 투여후 12시간군부터 72시간군까지 현저하였다. NDMA 투여군의 설점액선의 주된 형태적 변화는 점액선포의 확장, 융합, 파괴 및 점액세포의 세포질의 과립 소실 및 공포변성, 도관상피의 점액화 등이었으며 NDMA 투여후 12시간군부터 72시간군까지 현저하였다. 설 von Ebner선의 neutral glycoconjugates가 대조군에 비해 NDMA 투여후 12시간군과 72시간군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NDMA 투여후 96시간군후에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나타나지 않던 acidic glycoconju-gates가 NDMA 투여후 6시간군부터 48시간군, 그리고 120시간군에서 약간의 장액세포들에서 나타났다. 설 점액선의 neutral glycoconjugates와 acidic glycocon-jugates가 대조군에 비해 NDMA 투여후 3시간군, 24시간군, 48시간군에서 다같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후자는 NDMA 투여후 72시간군에 아주 현저히 감소하였다. Aci-dic glycoconjugates중 sulfated glycoconjugates는 대조군에 비해 NDMA 투여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NDMA 투여후 72시간군에 가장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는데 비해 sialic glycoconjugates는 NDMA 투여후 3시간군, 12시간 군 및 48시간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MGrid: 분자 시뮬레이션 그리드 시스템 (MGrid: A Molecular Simulation Grid system)

  • 정갑주;이종현;조금원;정선호;황선태;허대영;최영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7호
    • /
    • pp.380-38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MGrid 시스템과 이를 통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Glycoconjugates 시뮬레이션 데이타베이스 구축에 대한 연구를 소개한다. MGrid 시스템은 분자 시뮬레이션 계산 및 분석에 대한 그리드 서비스를 상호 운용 가능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그리드 시스템이다. e-Glycoconjugates는 당접합체류의 분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그리드 포털이다. 이 프로젝트는 MGrid 시스템을 통해 PDB와 같은 단백질 구조 데이타베이스 상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2000 여개의 glycan chain들과 100 여개의 당접합체류에 대한 분자 시뮬레이션 데이타베이스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Grid 시스템의 목표와 시스템 아키텍처, 현재 시스템의 구현과 e-Glycoconjugates의 초기 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쿼세틴 복합체의 생물학적 이용성 향상을 위한 양파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 (Bioconversion of onion extract to improve the bioavailability of quercetin glycoconjugate)

  • 윤여진;이아현;;박종태;윤상만;김재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91-399
    • /
    • 2018
  • 생물전환기법과 유산균을 사용한 발효를 이용해 쿼세틴의 회수율 증가와 비배당체(aglycone) 형태로의 전환을 통해 체내 흡수율을 높이고 풍미가 향상된 기능성 양파음료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물전환에 적합한 유산균과 효모를 발굴하고 외부환경 조건에 차이를 두어 쿼세틴의 비배당화 전환율을 최대화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L. casei, L. plantarum, K. lactis가 생물전환공정에 적합한 유산균으로 선별되었다. 양파 슬러리를 포함한 양파즙을 발효하였을 때 쿼세틴 농도는 초기 대비 K. lactis와 L. casei에서 각각 260%, 318%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48시간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quercetin hexose와 quercetin di-hexose는 최대 141%까지 증가하여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전체 총 쿼세틴 양이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양파즙의 초기 pH를 중성으로 조정하였을 때 비배당체 쿼세틴 농도는 초기에 빠르게 증가했으나 24시간 이후에는 발효가 지속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Quercetin hexose의 농도 또한 빠르게 감소해 비배당체 비율이 증가했지만 자체 농도가 감소해 중성 pH에서의 발효는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발효기를 이용한 대용량 발효 실험에서도 L. plantarum, L. casei와 K. lactis 모두 동일한 발효 효율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식품으로서의 사용을 위한 열 살균 이후에는 유산균 발효 양파즙의 쿼세틴 배당체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고온 고압 살균이 아닌 여과와 같은 다른 살균 공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식물성 유산균 발효를 통한 쿼세틴 함량 증가와 비배당체/배당체 비율의 증가를 확인하였고 고기능성 유산균/젖산균 발효 양파즙의 개발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