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tamic Acid

검색결과 2,007건 처리시간 0.031초

침지액을 달리한 발아현미의 GABA와 비타민 함량의 비교 (Comparison of GABA and Vitamin Contents of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Different Soaking Solution)

  • 문승희;이근보;한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1-515
    • /
    • 2010
  • It was conducted to assess GABA(${\gamma}$-aminobutyric acid) producing capacity and vitamin contents of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different soaking solutions. For germination, samples were soaked in 5% glutamic acid solution and 5% lactic acid solution as test group to investigate GABA producing capacity, and samples soaked in the solution without glutamic acid and lactic acid were set as control groups(rice and non-germinated brown rice). The GABA contents of the samples were $44.80\;{\mu}g/g$ for rice, $59.90\;{\mu}g/g$ for non-germinated brown rice, $146.70\;{\mu}g/g$ for germinated brown rice, $203.20\;{\mu}g/g$ for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glutamic acid solution and $222.5\;{\mu}g/g$ for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lactic acid solution, resulting in a significant difference(p<0.05). GABA producing capacity was enhanced by the addition of glutamic acid and lactic acid in the soaking solution for brown rice germination. The GABA contents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lactic acid solution greatly increased, along with increases in niacin and vitamin E contents without losing vitamin $B_1$.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lactic acid in soaking solution is most suitable for germination of brown rice.

채취시기에 따른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 식품 성분의 변화 (Changes of Food Compopents in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e), Gashiparae (Enteromorpha prolifera), and Cheonggak (Codium fragile) Depending on Harvest Times)

  • 정규진;정춘희;변재형;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87-693
    • /
    • 2005
  •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에 있는 식품성분을 조사할 목적으로 매생이와 가시파래의 수확기인 12월부터 3월, 그리고 청각은 6월부터 8월까지 월별로 채취하여 채취 시기별 일반성분, 총 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 지방산 조성, 무기질 함량 및 클로로필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매생이와 가시파래는 조단백질 함량이 특히 높아서 각각 $34.1\~43.8\%$$22.5\~35.7\%$이었다. 매생이, 가시파래 및 청각의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의 순으로 높았다. 매생이의 유리 아미노산은 proline과 alan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가시파래는 asparagine과 glutamic acid의 함량이 특히 높았으며, 3월에 asparagine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한 반면 sarcosine이 크게 증가하였다. 청각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hydroxyproline, glutamic acid 및 alanine이었다. 매생이, 가시 파래와 청각의 폴리엔산 비율은 각각 $63.91\~74.05\%,\;62.87\~68.23\%,\;40.25\~44.61\%$였다. 대표적인 무기질은 Ca, K, Mg와 Fe이었으며, 매생이와 가시 파래의 chlorophyll a와 b는 3월에 크게 감소하였다. 매생이와 가시파래는 고단백질 해조 식품으로 개발이 기대되며, 특히 가시파래에 다량 함유된 asparagine은 약리 성분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솔잎혹파리 유충 체액의 생화학적 변화 (Biochemical Changes in the Hemolymph of the Larvae of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 et Inouye)

  • 이경노;이종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69-178
    • /
    • 1976
  • 솔잎혹파리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 et Inouye)의 충영속 유충과 충영을 탈출하여 낙하한 토중의 유충을 대상으로 체액을 분석, 측정코저 종이 크로마토그라피법, micro-Kjeldahl법, 박층 크로카토그라피 법, 왈부르그 검압계법, Bessey-Lowry법과 Reitman-Frankel법으로 측정 또는 분석하였다. 충영과 유충과 토중의 유충에 따라 유리 아미노산, 총 질소함량의 변화, 탄수화물의 변화, 지질의 종류와 변화, 호흡능, phosphatase, GOT, ?의 활성도가 측정되었다. 유리 아미노산, 총 질소함량, 지질함량, 호흡능, acid phosphatase의 황성, GPT의 활성은 충영속의 유충에서 토중의 유충으로 진행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trehalose의 함량과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혐기처리 녹차의 처리조건에 따른 ${\gamma}-Aminobutyric$ Acid(GABA) 및 주요 성분의 변화 (Changes in ${\gamma}-Aminobutyric$ Acid(GABA) and the Main Constituents by a Treatment Conditions and of Anaerobically Treated Green Tea Leaves)

  • 장지신;이병순;김영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5-319
    • /
    • 1992
  • 제주도 다원에서 생산된 녹차 생엽을 적채 시기별(1번차, 2번차, 3번차)로 혐기적으로 처리하여, ${\gamma}-aminobutyric$ acid(GABA) 및 기타 주요성분의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차엽의 질소가스 치환처리 및 진공처리 모두 GABA와 alanine의 함량은 현저하게 증가한 반면에 glutamic acid는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theanine, arginine, caffein 및 polyphenol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vit.C의 함량은 혐기처리 시간의 경과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압강하작용 성분인 GABA의 생성량은 원엽의 아미노산의 함량, 특히 glutamic acid의 함량에 비례하였으며, 최적 혐기처리 시간은 약 12시간으로 나타났다. 한편, 차엽의 혐기적 처리조건에 있어서 질소가스 치환 처리와 진공처리 사이의 효과에 있어서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 PDF

화학수식제에 의한 Bacillus alcalophilus AX2000 유래 Xylanase의 활성에 관여하는 아미노산 잔기의 확인 (Identification of Amino Acid Residues Involved in Xylanase Activity from Bacillus alcalophilus AX2000 by Chemical Modifiers)

  • 박영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1-128
    • /
    • 2006
  • Bacillus alcalophilus AX2000으로부터 xylanase를 정제한 후 효소의 활성부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화학수식제를 사용하여 효소활성의 저해도를 측정하였다. 여러 가지 화학 수식제 중에서 carbodiimide와 N-bromosuccinimide가 효소 활성을 완전히 저해시켜 glutamic acid또는 aspartic acid 잔기와 tryptophan 잔기가 효소의 활성부위에 관여하리라 추측되었다. 각각의 경우에 효소 실활은 수식제의 첨가농도에 따라 pseudo first-order kinetics 양식을 보여주었으며, carbodiimide와 N-bromosuccinimide는 각각 비경쟁적 저해와 경쟁적 저해방식을 나타내었다. 기질첨가에 의한 효소활성 보호실험을 통하여 tryptophan 잔기가 기질결합부위라 판단 되었다. 효소 실활속도의 분석에 의해 효소활성에는 2개의 glutamic acid 또는 aspartic acid 잔기와 1개의 tryptophan 잔기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건(煮乾)멸치 자숙액중(煮熟液中)의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의 조성(組成)과 칼슘 및 철분의 함량(含量) (Free Amino Acid Composition and Calcium, Iron Contents of Boiled-dried Anchovy)

  • 유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6
    • /
    • 1982
  • 식생활(食生活)에 많이 이용(利用)되고 있는 자건(煮乾)멸치국물에 대한 조리시간(調理時間)의 조건(條件)을 밝힐 목적(目的)으로 멸치국물을 우러내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자건(煮乾)멸치중 대멸과 중멸을 원료(原料)로 하여 조리시간(調理時間)에 따른 국물중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그리고 칼슘과 철에 대한 용출량(溶出量)을 실험(實驗)하였다. 대멸과 중멸 원료(原料)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함량차이(含量差異)는 다소 있었으나 함량(含量)이 높은 순(順)은 histidine, alanine, lysine, leucine, glycine, glutamic acid이며 전유리(全遊離)아미노산(酸)의 $67.1%{\sim}76.6%$를 차지하였다. 조리시간별(調理時間別)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용출량(溶出量)은 10분간(分間)보다 30분간(分間)의 용출량(溶出量)이 많았고 많이 용출(溶出)되는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은 histidine, alanine, lysine, leucine, glycine 및 glutamic acid로써 이들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이 국물의 풍미(風味)에 중요(重要)한 구실을 할 것이라고 보아진다. 칼슘과 철은 대멸과 중멸간에 함량차이(含量差異)는 거의 없으며 조리시간별(調理時間別) 용출량(溶出量)은 10분간(分間)이 가장 낮았으며, 30분간(分間)과 40분간(分間)에는 차이(差異)가 거의 없으므로 이들 조리시간(調理時間)은 30분간(分間)이 가장 좋았다.

  • PDF

재배기간에 따른 콩나물의 아미노산 조성 변화 (Amino Acid Composition Changes in Soybean Sprouts during Cultivation)

  • 송범석;김민정;김강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81-687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산 나물콩(쥐눈이, 수박태, 유태, 백태)의 재배기간에 따른 아미노산 조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재배기간에 따른 시료 콩나물의 총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모든 시료에서 1일째 다소 감소하였으나 재배기간이 증가할수록 완만히 증가하였다. 재배일수에 따른 콩나물 부위 별 아미노산 조성분석 결과 0일차 원료콩의 전체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과 aspartic acid이 30%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쥐눈이는 5일 이후 그리고 나머지 품종들은 3일째 이후부터 배축과 뿌리의 aspartic acid 함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 자엽의 glutamic acid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aspartic acid 함량비는 부위별로는 배축, 뿌리, 자엽의 순으로 높았으며 품종별로는 유태, 백태, 쥐눈이, 수박태 순으로 높았다.

굴비 가공(加工)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Free Amino Acids of Yellow Corvenia, Pseudosciaena manchurica, during Gulbi Processing)

  • 이응호;성낙주;하진환;정승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5-229
    • /
    • 1976
  • 우리나라의 독특(獨特)한 수산가공품(水産加工品)의 일종(一種)인 굴비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참조기, Pseudosciaena manchurica,를 원료(原料)로 하여 굴비가공(加工) 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였다. 참조기의 유리아미노산 조성(組成)을 보면,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 alanine, lysine이고, 다음이 leucine, glycine, serine, threonine이고, 함량이 적은 것은 isoleucine, histidine, aspartic acid이며, proline, val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은 함량이 극히 적었다. 굴비가공(加工)중 유리아미노산 조성(組成)에는 변화(變化)가 없었다. 그리고 굴비가공(加工)중 유리아미노산 총량(總量)은 원료(原料)에 비하여 3.6배(倍)로 증가(增加)하였다. 염장공정(鹽藏工程)중 유리아미노산이 원료(原料)에 비하여 3.5배(倍)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염장후(鹽藏後) 건조공정(乾燥工程)중에는 원료(原料)에 비하여 양적으로 1%증가(增加)하여 거의 변화(變化)가없었다. 굴비제품(製品)에는 전(全)유리아미노산중 glutamic acid가 20.0%, lysine이 12.9%, leucine이 11.1%, alanine 이 10.1%, valine이 8.5%로서 이들 5종(種)의 아미노산이 전(全)유리아미노산의 62.6%를 차지하였다. 굴비의 유리아미노산중에는 좋은 맛을 가진 glutamic acid, 단맛을 가진 lysine, alanine 그리고 쓴맛을 가진 leucine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 유리아미노산이 굴비의 독특(獨特)한 풍미(風味)에 중요(重要)한 구실을 할 것이라는 결론(結論)을 얻었다.

  • PDF

Optimization of ${\gamma}-Polyglutamic$ Acid Production by Bacillus subtilis ZJU-7 Using a Surface-response Methodology

  • Shi, Feng;Xu, Zhinan;Cen, Peili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3호
    • /
    • pp.251-257
    • /
    • 2006
  • The components of the media used to elicit the biosynthesis of $poly-{\gamma}-glutamic$ acid $({\gamma}-PGA)$ by Bacillus subtilis ZJU-7 were investigated, particularly th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Of the 7 carbon sources investigated, sucrose induced the highest rate of ${\gamma}-PGA$ productivity; among the nitrogen sources, tryptone had the best effect for ${\gamma}-PGA$ production. A $2^{6-2}$ fractional factorial design was used to screen factors that influence ${\gamma}-PGA$ production significantly, and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finally adopted to formulate the optimal medium. ${\gamma}-PGA$ productivity improved approximately 2-fold when the optimal medium was used compared with the original nonoptimized medium, and volumetric productivity reached a maximum of 58.2 g/L after a 24-h cultivation period.

Rate Enhancement by Micelle Encapsulation for Oxidation of L-Glutamic Acid in Aqueous Media at Room Temperature

  • Mukherjee, Kakali;Saha, Bidyut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25-431
    • /
    • 2013
  • Oxidation of glutamic acid is performed in aqueous acid media at $30^{\circ}C$ under the kinetic condition [glutamic acid]$_T{\gg}[Cr(VI)]_T$. Effect of combination of micellar catalyst (SDS, TX-100) and promoter (PA, bpy, phen) has been studied. Among the promoters phen accelerates the reaction most in aqueous media. But the rate acceleration is small in the case. Combination of promoter and catalyst produces much better result. Maximum rate enhancement occurs in presence of the combination of bpy and S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