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se tolerance test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43초

Relationship among Nutritional Intake, Duration of Outdoor Activities, Vitamin D Status and Bone Health in High School Girls

  • Kim, Ji Young;Kim, Oh Yoen;Hyun, Yae Jung;Koo, Sun Mo;Song, Sang Hoon;Jang, Yangsoo;Lee, Jong Ho
    • Nutritional Sciences
    • /
    • 제7권4호
    • /
    • pp.208-213
    • /
    • 2004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dietary 1,3-diacylglycerol (DG) compared to conventional triacylglycerol (TG) oil on the postprandial response of total and chylomicron TG, glucose, insulin, and free fatty acid (FFA).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ross-over design. Nine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high-fat meal tolerance test wher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consume two experimental sandwiches containing mayonnaise with TG or DG oil with a seven-day interv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ingestion and at 2, 3, 4 and 6 hr time point after ingestion and analyzed for total and chylomicron TG, glucose, insulin, FFA and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Both TG and DG ingestion had similar effects on postprandial TG response, but a different response from chylomicron TG. Compared with the TG group, TG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only at 6 hr time point in the DG group. On the other hand, chylomicron TG rose steeply at 2 hr time point and decreased faster in this group. Also, the adjusted value to fasting levels was the same as the unadjusted level. Fasting levels and net differences in insulin were significantly lower at 3 hr time point where chylomicron TG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DG group. But those of glucose and FFA in the TG and DG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asting and postprandial level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serum phospholipids in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one could reduce the magnitude of postprandial lipemia without influencing glucose metabolism by consumning DG oil as a substitute for TG oil. Based on the correla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postprandial lipemia, dietary DG ingestion might have a beneficial effect in treating such a diseas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long-tenn effects of dietary DG on blood lipid levels in humans.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에서 Pioglitazone이 인슐린 민감도, 난소 기능, 난소 기질 내 혈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oglitazone on Insulin Sensitivity, Ovarian Function and Intraovarian Stromal Blood Flow in Women with Polycystic Ovary Syndrome)

  • 이향아;김정훈;최정원;박선정;이수정;최은선;김성훈;채희동;손영수;강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55-164
    • /
    • 2005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oglitazone, an insulin sensitizing agent, on insulin resistance, ovarian function and intraovarian stromal blood flow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 Material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PCOS, aged 18~34 years, were recruited. Criteria for diagnosis of PCOS were as defined in 2003 Rotterdam consensus. They were treated for 6 months with pioglitazone at a dose of 30 mg/day orally. The hormonal blood profile, fasting serum glucose levels, a glycemic response to 75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nd an ovarian stromal artery (OSA) blood flow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fter 6 months of treatment. Results: Eighteen (60.0%) of 30 patients treated with pioglitazone demonstrated a spontaneous ovulation After pioglitazone treatment, fasting insulin concentrations, serum glucose levels after 75 g OGTT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p=0.04, respectively), and fasting glucose to insulin (G/I) ratio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The pioglitazone treatment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LH, testosterone (T) and free T levels (p<0.001, p=0.02, p=0.002, respectively). The resistance index (RI) values of OSA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eatment (p<0.001). In analyzing pioglitazone-treated patients according to their body mass index (BMI), nonobese group as well as obe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sting G/I ratio (p<0.01). The pioglitazone treatment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serum LH and free T levels in nonobese group (p<0.001, p<0.05, respectively) as well as obese group (p=0.001, p<0.05, respectively). The RI values of OSA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nonobese and obese groups after pioglitazone treatment (p<0.001, p=0.003, respectively). Conclusions: Pioglitazone could ameliorate the glycoinsulinemic metabolism, and this beneficial effects of this drug could improve the endocrine-reproductive condition associated with the decrease of ovarian stromal artery blood flow, in both nonobese and obese patients with PCOS.

운동 강도 차이가 고지방식이 Sprague-Dawley Rat의 골격근 내 PGC-1α, PPAR-γ 및 인슐린 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on PGC-1α, PPAR-γ, and Insulin Resistance in Skeletal Muscle of High Fat Diet-fed Sprague-Dawley Rats)

  • 정현령;강호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963-97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4주간의 고지방식이와 지구성 운동이 골격근의 PGC-$1{\alpha}$, PPAR-${\gamma}$ 및 인슐린 저항성(glucose uptake, GLUT-4)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슐린 민감도 지표인 혈당내성검사에서는 일반식이와 비교하여 고지방식이에서 포도당 투여 후 30분과 60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운동집단에서는 일반식이와 고지방식이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골격근의 포도당 운반률, PGC-$1{\alpha}$, GLUT-4, PPAR-${\gamma}$의 결과에서는 일반식이에 비해 고지방식이집단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집단(저/중/고강도운동)에서는 일반/고지방식이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집단의 운동강도 차이에서 GLUT-4와 PPAR-${\gamma}$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골격근의 포도당 운반률과 PGC-$1{\alpha}$ 단백질 발현은 저/중강도 운동과 비교하여 고강도 운동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4주간의 고지방식이는 whole body의 인슐린 저항성을 발생시켰으나 근육 내 인슐린 저항에는 영향을 미치는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추후 고지방식이의 함량, 섭취 기간 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4주간의 지속적인 지구성 운동이 고지방식이로 인해 발생된 골격근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으로 나타났으나 운동 강도에 따른 골격근의 포도당 운반률, PGC-$1{\alpha}$, GLUT-4, PPAR-${\gamma}$의 변화가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시켰다고 설명하기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추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운동 형태(운동 기간, 운동강도)에 따른 골격근의 PGC-$1{\alpha}$와 insulin signalling pathway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솔잎증류액의 투여가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당뇨쥐에서 혈당, 구강내당능검사,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nus densiflora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 OGTT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김신희;황석연;박오성;김무강;정영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73-979
    • /
    • 2005
  • 한국에서 자생하는 흑송의 솔잎을 재료로 하여 항당뇨효능에 대한 생리 활성을 규명하고자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 에 솔잎증류액을 15일간 복강투여 후 체중, 혈당, OGTT, 혈액성분에 미치는 영향 및 간과 췌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솔잎 투여군의 체중은 솔잎투여 6일째에 잠시 체중의 상승이 나타났을 뿐 그 이후에는 DM군에서와 같이 체중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공복혈당은 DM군에 비해 솔잎투여군에서 용량효과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5일째에 HP군에서 NC군의 수준으로 근접하였다. 구강내당능 검사결과 혈당곡선은 DM군에 비해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솔잎투여군에서 투여용량에 따라 감소경향을 보였다. 간기능관련지수로서 혈장내 total protein, albumin, AST는 솔잎투여에 따른 변화가 없었고, ALP와 ALT는 솔잎투여군 모두에서 DM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신장기능 관련지수에서는 creatinine, uric acid, calcium, IP는 개선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BUN에서는 DM과 비교시 솔잎투여군 모두에서 용량효과적으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지질대사관련지수로서 total cholesterol, TG, HDL-C, LDL-C 농도는 모든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 조직과 췌장조직 병리학적 관찰결과 간조직의 경우 DM군과 솔잎투여군의 일부에서 염증세포의 침윤이 부분적으로 관찰되었고 췌도세포에서는 DM군은 췌장실질의 괴사, 출혈성 병변, 지방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으나 솔잎투여군 모두에서 DM군에 비해 억제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솔잎추출물 투여 에 의 괘 공복혈당이 낮아지고 당내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간기능 지표 중 ALP와 ALT, 신장기능지표 중 BUN만이 솔잎 투여에 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혈중 지질 개선효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팽화발효홍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혈당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ffed and Fermented Red Ginseng on Blood Glucose-related Biomark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박주헌;성기승;김성수;심건섭;한찬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30-637
    • /
    • 2012
  • 팽화발효홍삼이 당뇨쥐의 혈당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SD계 수컷 흰쥐에게 STZ로 당뇨를 유발시킨 후 당뇨대조군(DC), 일반홍삼군(300 mg/kg, RG), 팽화 후 유산균 $Bifidobacterium$ $breve$$Lactobacillus$ $delbrueckii$의 혼합균주로 발효한 팽화발효홍삼군-1(300 mg/kg, BL) 및 Enterococcus faecalis로 발효한 팽화발효홍삼군-2(300 mg/kg, EF)로 나누어 각 실험시료를 5주간 경구투여한 결과, 실험기간 동안 BL군의 혈당은 DC, RG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며(p<0.05), 실험 5주째의 경우 DC, RG군뿐만 아니라 EF군보다도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경구당부하 검사 결과에서도 BL군이 통계적으로 가장 낮은 혈당수준을 유지하였고(p<0.05), 혈당 곡선하면적(AUC)은 DC군에 비해 BL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실험종료 후 공복혈당은 BL군이 DC, RG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p<0.05), 혈청 인슐린 농도 역시 BL군이 DC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낮게 나타났으며(p<0.05), 인슐린저항성은 DC군에 비해 BL, EF군이 유의하게 낮았고(p<0.05), 그중 BL군은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당화혈색소(HbA1c) 함량은 BL군이 DC, RG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청 총콜레스테롤(TC) 농도는 DC군에 비해 RG, BL, EF군이 통계적으로 낮았고(p<0.05),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BL군이 DC군보다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에서 $B.$ $breve$$L.$ $delbrueckii$의 혼합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팽화발효홍삼은 혈당농도를 낮추고 혈당관련 지표성분 및 혈청 지질농도 개선에도 다소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KME)의 2형 당뇨 억제 및 근육세포 미토콘드리아 생성 증가 효과 (Inhibition of Type II Diabetes in ob/ob Mice and Enhancement of Mitochodrial Biogenesis in C2C12 Myotubes by Korean Mistletoe Extract)

  • 정회윤;유영춘;김인보;성낙윤;최옥병;최보화;김종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24-33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C57BL/6J ob/ob 마우스를 이용하여 한국산 겨우살이 냉수 추출물(KME)의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50 혹은 100 mg/kg의 KME를 1일 1회씩 경구투여 한 결과 KME 투여 개시 5일 후부터 ob/ob 마우스의 혈당이 유의하게 억제되었으며, 10일 후부터 안정된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대조군에 비해 20% 이상의 혈당강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경구 당부하 실험(OGTT)에서는 KME 경구투여 마우스에서 유효한 당부하 억제 활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KME 경구 투여는 ob/ob 당뇨 마우스의 혈액 내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질의 농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2C12 근육세포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 KME를 처리함으로써 glucose uptake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한편 매우 흥미롭게도 KME를 처리한 C2C12 근육세포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생성과 산화대사 조절물질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 1-${\alpha}(PGC-1{\alpha})$를 비롯하여 glucose transporter type 4(GLUT4), estrogen-related receptor-${\alpha}(ERR-{\alpha})$, nuclear respiratory factor-1(NRF-1) 그리고 mitochondrial transcription factor A(TmfA)와 같은 $PGC-1{\alpha}$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KME가 2형 당뇨에 대한 치료물질로서의 작용을 지니며 이러한 KME의 항당뇨 활성은 미토콘드리아 생성의 조절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OLETF 쥐에서 칠면초와 세발나물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The Effects of Several Halophytes on Insulin Resistance in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Rats)

  • 조정용;;박선영;박경희;배동근;김소영;김행란;함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0-10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인 칠면초와 세발나물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OLETF쥐는 CCK-1 수용체의 결함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을 걸쳐 제 2형 당뇨병이 유발되는데, 인슐린 저항성이 진행되는 10주령부터 28주령이 될 때까지 칠면초와 세발나물을 18주 동안 섭취시켰다. 염생식물식이군들의 체중이나 공복혈당 변화는 식이기간 동안 전반적으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Oral glucose tolerance test에서 염생식물 섭취가 당 내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그 혈당 변화를 면적으로 환산하였을 때 각 식이군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insulin 및 HbA1c 수치는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adiponectin 수치는 높고 leptin과 ghrelin 수치는 낮았으나 현저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세발나물식이군의 혈중 중성지질과 총 cholesterol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혈중 지질산화물 함량은 각 식이군 간 유의차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염생식물식이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NF-${\kappa}B$ p65는 지방조직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발현량을 보였다. 또한 두 염생식물식이군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의 negative regulator인 $pIRS1^{Ser307}$의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해 더 낮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칠면초와 세발나물은 생후 성장하면서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는 OLETF쥐의 인슐린 저항성을 현저하게 줄여주지는 못하였으나 그 개선 효과는 있는 것으로 시사되며, 두 염생식물의 급여 기간을 늘려 제 2형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에 대한 섬세한 검토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ssociation between gestational age at delivery and lymphocyte-monocyte ratio in the routine second trimester complete blood cell count

  • Cha, Hyun-Hwa;Kim, Jong Mi;Kim, Hyun Mi;Kim, Mi Ju;Chong, Gun Oh;Seong, Won J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1호
    • /
    • pp.34-38
    • /
    • 2021
  • Background: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routine second trimester complete blood cell (CBC) count parameters, including neutrophil-lymphocyte ratio (NLR), lymphocyte-monocyte ratio (LMR), and platelet-lymphocyte ratio (PLR), could predict obstetric outcomes. Methods: We included singleton pregnancies for which the 50-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CBC were routinely performed between 24 and 28 weeks of gestation in our outpatient clinic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7.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pregnancy outcomes as follows: group 1, spontaneous preterm births, including preterm labor and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group 2, indicated preterm birth due to maternal, fetal, or placental causes (hypertensive disorder, fetal growth restriction, or placental abruption); and group 3, term deliveries, regardless of the indication of delivery. We compared the CBC parameters using a bivariate correlation test. Results: The study included 356 pregnancies. Twenty-eight subjects were in group 1, 20 in group 2, and 308 in group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in neutrophil, monocyte, lymphocyte, and platelet count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LR, LMR, and PLR between the three groups, LMR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estational age at delivery (r =-0.126, p =0.016). Conclusion: We found that a higher LMR in the second trimester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CBC parameters in the second trimester of pregnancy could be used to predict adverse obstetric outcomes.

목단피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Moutan Radicis Cortex)

  • 박선민;전동화;박춘희;장진선;박성규;고병섭;김보중;최수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72-477
    • /
    • 2004
  • 한의학에서 당뇨병(소갈) 처방으로 사용되는 육미지황환의 성분 중의 하나인 목단피의 혈당 강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목단피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XAD-4 column으로 분획하여 인슐린 민감성을 향상시키고 ${\alpha}-glucoamylase$ 활성을 억제하는 분획층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3T3-L1 지방세포에서 소량의 인슐린(1 ng/mL)의 존재하에서 20, 40, 60% 메탄올 분획층은 인슐린 작용을 증가시켜 포도당 흡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20, 40, 60, 80% 메탄올 분획층에는 ${\alpha}-glucoamyl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말토즈와 dextrin의 ${\alpha}-glucoamylase$ 결합이 분해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었다. In vivo에서 실험동물에게 목단피의 70%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한 후 말토즈와 dextrin로 경구부하 검사를 하였을 때 dextrin만이 투여하였을 때에 대조군인 셀룰로즈에 비해 혈당의 상승이 현저하게 낮았고 이것은 dextrin의 소화 흡수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효과가 있는 분획층을 더 분리하여 인슐린 민감성 물질과 ${\alpha}-glucoamylase$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유효성분을 분리하고자 한다.

피세아테놀과 레스베라트롤의 혈당조절 및 TLR4-NF-κB 경로 조절 작용 (In Vitro and In Vivo Effects of Piceatannol and Resveratrol on Glucose Control and TLR4-NF-κB Pathway)

  • 이희재;이해정;양수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67-27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팔미틴산을 처리한 지방간질환 간세포 모델과 비만/당뇨 동물 모델인 KK/HlJ 마우스를 이용하여 피세아테놀과 레스베라트롤 투여가 염증조절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4주간의 피세아테놀과 레스베라트롤 섭취는 공복혈당과 경구당부하 검사 2시간 후 AUC를 감소시켜 혈당 조절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팔미틴산을 처리한 지방간질환 간세포 모델에 피세아테놀과 레스베라트롤을 처리한 결과 염증조절 경로인자인 TLR4와 $NF-{\kappa}B$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를 in vivo 비만/당뇨 동물 모델인 KK/HlJ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 확인한 결과 피세아테놀 섭취는 NLRP3와 $NF-{\kappa}B$의 간 조직에서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고, IL-1 발현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동량의 레스베라트롤 섭취는 이와 같은 항염증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혈당 조절 개선 효과와 항염증 효과에 있어 피세아테놀이 레스베라트롤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피세아테놀의 항염증 효과는 혈당 조절 개선 효과에 부분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