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ucoamylase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4초

김치유산균인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lacticin YH-10,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 Isolated from Kimchi)

  • Park, Eun-Min;Kim, Young-Hwa;Park, So-Jin;Kim, Yun-Im;Ha, Yu-Mi;Kim, Sung-K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83-688
    • /
    • 2004
  • API test를 통해서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이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의 한 종임 을 확인하고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이라 명명하고, 생산된 박테리오신을 lacticin YH-10으로 명명하였다.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을 $25^{\circ}C$, 3$0^{\circ}C$와 37$^{\circ}C$에서 배양한 결과 $25^{\circ}C$에서 박테리오신을 생성하였다. Lacticin YH-10은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항균활성을 소실하였으므로, 단백질로된 박테리오신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alpha$-amylase, $\beta$-amylase, glucoamylase의 처리에도 활성을 일부 소실하였으므로 박테리오신의 분류 중 classIV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 Ammonium sulfate정제한 후 SDS-PAGE를 통해 박테리오신의 분자량이 대략 14kDa임이 확인되었다. Lacticin YH-10은 단백질계 물질로서 인체 내에서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화학 보존제 보다 인체에 안정함을 알 수 있다. Lacticin YH-10은 낮은 pH와 높은 온도에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식품보존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

효소 종류에 따른 참죽 추출물의 산화방지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of Cedrela sinensis Hydrolysates Prepared Using Various Enzymes)

  • 오민희;장혜림;임예진;윤경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13-4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높은 참죽을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각 효소에 따른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산화방지 활성을 측정하였다. Viscozyme 추출물이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AMG 효소 추출물을 제외한 효소 처리군이 효소 비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Viscozyme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AMG, Shearzyme, Celluclast 추출물의 순으로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추출물을 희석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처리군에서 9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Fe^{2+}$ 킬레이트 효과는 Viscozyme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 Shearzyme, Celluclast, 비효소, AMG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환원력은 Shearzyme과 Viscozyme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비효소, AMG, Celluclast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효소를 이용하여 참죽을 추출할 경우 효소를 처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높은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Viscozyme 처리 시 가장 높은 수율과 산화방지 활성을 나타내어 참죽의 기능성 식품 소재화를 위해 기능성 성분 추출 시 효소의 이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icrobial Diversity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ing Starter, Nuruk, Collected in 2013 and 2014

  • Seo, Jeong Ah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1-11
    • /
    • 2015
  • A total of sixty-six samples of Nuruk, a fermention starter used to make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were collected from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in 2013 and 2014. We classified two groups of the Nuruk samples, "commercial" and "home-mad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dure and purpose of use. Commercial Nuruks were made in a controlled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fixed and the final product is supplied to Makgeolli manufacturers. Home-made Nuruks were made under uncontrolled conditions in the naturally opened environment and were intend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small amounts of home-brewed Makgeolli. We obtained more than five hundred isolates including filamentous fungi and yeasts from the Nuruk samples followed by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Also we stored glycerol stocks of each single isolate at $-70^{\circ}C$. We identified the species of each isolate based on the sequences of ITS regions amplified with two different universal primer pairs. We also performe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filamentous fungi and yeast species through observations under the microscope. We investigated the major fungal species of commercial and home-made Nuruks by counting the colony forming units (CFU) and analyzing the occurrence tendency of fungal species. While commercial Nuruks contained mostly high CFU of yeasts, home-made Nuruks showed relatively high occurrence of filamentous fungi. One of the representative Nuruk manufacturers used both domestic wheat bran and imported ones, mainly from US, as raw material. Depending on the source of ingredient, the fungal diversity was somewhat different. Another commercial Nuruk sample was collected twice, once in 2013 and again in 2014, and showed different diversity of fungal species in each year. Nuruks obtained from the southern regions of Korea and Jeju island showed high frequency of yeast such as Saccharomycopsis fibuligera and Pichia species as well as unique filamentous fungus, Monascus species. S. fibuligera was easily found in many Nuruk samples with high CFU. The major filamentous fungi were Aspergillus, Lichtheimia, Mucor and Penicillium species. In order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the isolates and their potential industrial applications, we assayed three enzymes, alpha amylase, glucoamylase and acid protease from 140 isolates out of about five hundred isolates and selected about 10 excellent strains with high enzyme activities. With these fungal isolates, we will perform omics analyses including genomics, transcriptomics, metabolic pathway analyses, and metabolomics followed by whole genome sequencing of unique isolates associated with the basic research of Nuruk and that also has applications in the Makgeolli making process.

  • PDF

메주의 발효기간에 따른 재래식 고추장 숙성 중 미생물과 효소력의 변화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a Meju of Different Fermentation Period during Aging)

  • 오훈일;박종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58-116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고추장의 품질향상과 전통고추장과 유사한 관능적 요인을 갖는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해 찹쌀고추장으로 유명한 전라북도 순창지방의 고추장을 모델로 설정하여 순창 현지의 미생물, 기후 등의 자연환경을 반영한 메주를 0, 20, 40, 60일 발효한 후 고추장을 제조하여 발효기간을 달리한 메주가 고추장 숙성 중 미생물과 효소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세균은 모든 시험구에서 숙성 30일에 최대균수를 보였으며, 곰팡이는 0, 20일 발효 메주로 제조한 고추장에서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숙성 60일 경에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40, 60일 발효 메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고추장은 숙성 초기 $10^5$의 생균수를 나타냈으나 숙성 60일 까지 급격히 감소한 후 $10^2$의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한편 효모는 0, 20일 발효 메주고추장에서는 숙성 전기간 통안 발견되지 않았으며, 40, 60일 발효 메주고추장에서는 숙성 15일부터 발견되기 시작한 후 계속 감소하였다. 0, 20일 발효 메주를 이용한 고추장의 경우 모든 amylase역가가 숙성초기부터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40, 60일 발효 메주를 이용한 고추장에서는 ${\alpha}-amylase$의 경우 숙성 15일에 각각 115.83, 113.85 unit/g 으로 최대 역가를 보였으며, ${\beta}-amylase$는 숙성 30일경에 각각 7.37, 6.57 unit/g으로 최대 역가를 보였다. glucoamylase는 40일 발효 메주고추장의 경우 숙성 초기 4.78 unit/g에서 숙성 45일의 2.23 unit/g까지 53.33%가량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여 숙성 90일경 에는 2.49 unit/g의 역가를 보였다. 산성 protease는 숙성 30일경에 모든 고추장에서 최대값을 보였으나, 중성 protease는 숙성 15일 경에 최대값을 보였다. 즉 모든 amylase, protease의 역가는 40일 발효 메주고추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 PDF

타피오카와 겉보리 혼합원료의 당화 및 알코올 발효의 특성 연구 (Saccharification and alcoh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 mixture of tapioca and hulled barley)

  • 김선혜;오종수;강성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8-23
    • /
    • 2019
  • 알코올 발효에 이용되는 타피오카와 겉보리 혼합원료의 효소당화액을 제조하여 알코올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타피오카와 겉보리 혼합원료를 내열성 액화효소인 Spezyme Fred를 0.04% 사용하여 액화하고 글루코아밀레이스(G), 단백질가수분해효소(P), 베타글루칸 가수분해효소(B)를 혼합한 당화효소제(GPB)를 사용하여 당화하였다. 타피오카와 겉보리 혼합원료(7:3, w/w)를 $50^{\circ}C$에서 150분간 당화하였을 때 당화액의 포도당 함량은 11.9%였고 점도는 26 cp로 나타났다. 베타글루칸 가수분해효소(B)의 첨가는 당화액의 포도당 수율의 증가와 점성의 저하에 도움을 주었다. 타피오카와 겉보리의 혼합비율을 7:3(w/w)으로 하였을 때 다른 비율의 당화액에 비하여 점도가 낮으며 포도당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타피오카와 겉보리 혼합원료에 300%의 가수량으로 확립된 조건에서 당화하고 $30^{\circ}C$에서 72시간 알코올 발효를 수행한 결과 타피오카와 겉보리 혼합원료를 이용한 알코올 발효에 적합한 발효액의 알코올 및 포도당 함량은 각각 9.0과 0.02%였고, pH와 산도는 각각 pH 4.3과 0.3%이었다.

제주민속 좁쌀약주 발효를 위한 우수균주의 선발 (Screening of Brewing Yeasts and Saccharifying Molds for Foxtail Millet-Wine Making)

  • 김지용;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78-84
    • /
    • 2004
  • 제주민속주인 좁쌀약주의 주질 개선을 위하여 전국에서 수집된 35종의 누룩으로부터 우수 곰팡이와 효모를 분리하였다. 수집된 누룩의 균수는 1 g당 곰팡이가 $6.4{\times}10^5{\sim}4.5{\times}10^7$개, 효모는 $1.4{\times}10^4{\sim}7.7{\times}10^7$개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곰팡이 169균주, 효모 103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전분당화력이 좋은 곰팡이 16균주와 내당성 및 내알로올성이 강한 효모 1균주를 선발하였다. 분리된 곰팡이 균주들의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A8-3이 glucoamylase활성, 액화력, xylanase 활성이 가장 높았고, B23-3은 당화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우수효모를 선발하기 위하여 pH,무게 감량, 내당성, 내알코올성 등을 측정한 결과, Saccharomyces속으로 추정된 A10-4가 가장 우수하였다. 같은 원료비율로 만든 누룩에 우수균주를 접종하였을 때, 단일 균주를 처리할 때보다 A8-3과 B23-3인 두 균주를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가 당화력이 높게 나타났다. 누룩을 원반형의 누룩과 팰릿(개량형) 형태로 만들어 혼합종균 배양액을 접종한 후 당화력을 측정한 결과, 비슷한 당화력을 나타내었다. 개량형 누룩을 사용하여 양조하는 경우, 좁쌀주 양조에 발효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집된 누룩은 수분이 $10{\sim}13%$, 총당은 $55{\sim}70%$조 단백질은 $10{\sim}18%$조지방은 $0.2{\sim}1.0%$,회분은 $1.8{\sim}2.1%$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누룩은 수분이 $12{\sim}15%$,총 당은 $61{\sim}71%$, 조단백질은 $15{\sim}20%$, 조지방은 $0.4{\sim}1.5%$, 회분은 $1.1{\sim}1.5%$이었다.

고온성(高溫性) 사상균(絲狀菌) Mucor Sp.에 의(依)한 Amylase의 생산(生産) (Production of Amylase by a Thermophi1ic Fungus, Mucor Sp.)

  • 이상호;박윤중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53-163
    • /
    • 1988
  • Amylase 생산능(生産能)이 강(强)한 사상균(絲狀菌)을 얻기 위하여 온천부근(溫泉附近)의 공기(空氣), 토양(土壤), 퇴비(堆肥) 등(等)을 분리원(分離源)으로 하여 $45^{\circ}C$ 이상(以上)의 고온(高溫)에서 생육(生育)하는 200여(餘) 균주(菌株)를 분리(分離)하고 이 중(中)에서 amylase 생산능(生産能)이 우수(優秀)한 균주(菌株) L-11을 선정(選定)하여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Mucor sp.로 동정(同定)되었다.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밀기울 고체배지(固體培地)를 사용(使用)하여 효소(酵素)의 생산조건(生産條件)과 작용조건(作用條件)을 검토(檢討)하였고, 더욱 효소(酵素)를 정제(精製)하고, 그 정제효소(精製酵素)의 성질(性質)들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선정균주(選定菌株)의 amylase 생산최적조건(生産最適條件)은 밀기울에 대(對)한 수분첨가율(水分添加量)이 80~100%이고, $50^{\circ}C$에서 2일간(日間) 배양(培養)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2. 선정균주(選定菌株) L-11의 조효소액(粗酵素液)을 DEAE-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법(法)으로 정제(精製)하여 2종(種)의 amylase활성(活性) peak를 얻었으며 그 중(中) 1종(種)이 주효소(主醒素)(B peak enzyme) 이었다. 3. 선정균주(選定園妹)의 주요(主要) amylase의 정제효소(精製醒素)(B peak enzyme)는 전기영동적(電氣泳動的)으로 단일효소(單-醒素)라고 인정(認定)되었다. 4. 주요(主要) amylase의 정제효소(精製醒素)에 의(依)한 soluble starch의 분해반응(分解反應)에 있어서, 초기(初期)에는 소당류(小糖類)로서 주(主)로 maltose와 maltotriose를 생성(生成)하였으며, 반응(反應)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glucose와 maltose의 생성량(生成量)이 증가(增加)되었다. 5. 공식균주(供試菌株)는 주(主)로 ${\alpha}-amylase$를 강력(强力)하게 생산(生産)하며 glucoamylse는 거의 생산(生産)하지 않는 특이(特異)한 균주(菌株)라고 인정(認定)되었다. 6 주요(主要) amylase(B peak enzyme)인 정제(精製) ${\alpha}-amylase$의 작용(作俑) 최적(最適) pH는 4.0, 작용(作用) 최적(最適) 온도(溫度)는 $60{\sim}65^{\circ}C$, 안정(安定) pH 범위(範圍)는 4.0~9.0, 내열성(耐熱性)은 $70^{\circ}C$ 이상(以上)이었다.

  • PDF

버섯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최적배지의 개발 (Development of Optimal Culture Media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Mushroom)

  • 갈상완;이상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71-76
    • /
    • 2002
  • 세균성 갈색무늬병과 푸른곰팡이 병에 길항력을 갖는 느타리버섯배지를 개발하기 위해서 자연계로부터 항균 미생물을 순수분리하였다. 분리균주가 생산하는 섬유성분해 효소 및 전분분해 효소의 활성을 검토한 결과 SD-1, 10, 11 및 16균주는 carboxy methyl cellulase(CMCase) 활성이 높았고, SD-4, 10, 14 및 15균주는 glucoamylase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분리 균주는 carboxy methyl cellulose(CMC) 및 전분 함유 평판배지에서 뚜렷한 clear zone을 형성하였다.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 SD-10과 SD-11은 Pseudomonas tolaasii ATCC-14340 및 P. tolaasii ATCC-51312의 병원균에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고, SD-1, SD-10및 SD-ll은 푸른곰팡이 병을 유발하는 Trichoderma virence와 T. harzianum에 강한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 분리균과 버섯 균사체와의 생육관계를 검토한 결과 SD-1은 Pleurotus ostreatus ASI-2042에, SD-15는 Pleurotus ostreatus ASI-2180에 약간의 생육저해를 일으킬 뿐 다른 분리균주들은 전혀 버섯균사체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분리균주의 최적생육온도는 $30{\sim}35^{\circ}C$이었고, 생육가능온도 범위는 $15^{\circ}C{\sim}55^{\circ}C$로 매우 넓었다. 분리균 중에서 SD-1, 10 및 11균주를 느타리버섯 재배현장에 적용시켰을 때 대조구에 비하여 분리균을 접종한 시험구에서는 느타리버섯의 균사 및 자실체의 성장이 매우 균일하고 버섯의 품질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분리균 중에서 SD-10과 11을 균체지방산 조성을 검토한 결과 Bacillus sp.과 아주 유사하였다. 수자원의 절약과 하천수량의 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21%), 그리고 열매에서는 ${\alpha}-pinene$ (20.24%) > 1,8-cineole (11.47%) > ${\beta}-pinene$ (9.79%) > u-terpineol (7.08%) > sabinene (3.68%) limonene (2.77%)의 순서로 조성비율이 높았다. 전반적으로 순비기나무의 잎과 열매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monoterpene류의 조성비율이 높았으나 꽃과 줄기에서는 잎이나 열매에 비해 sesquitepene류, diterpene류 이외에도 구조를 동정하지 못하였으나 diterpene류 일 것으로 예상되는 분자량이 비교적 큰 성분들의 조성비율이 높았다./TEX>에서는 TA98 균주에서 $(100{\mu}g/plate)$의 시료농도에서는 부탄올 분획물이 89.92%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TA100 균주에서는 메탄올 추출물이 77.4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암세포주(A549, Hep3B, MCF-7)에 대한 씀바귀 뿌리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페암세포주인 A549세포에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250{\mu}g/ml)$이 91.67%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간암세포주인 Hep3B에서는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 $(500{\mu}g/ml)$이 75.01%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도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500{\mu}g/ml)$이 8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정상 간세포주인 293에 대하여 시료농도에 따른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500{\mu}g/ml)$ 시료 첨가시 암세포에 대하여 대부분 50% 전후(물 분획물 제외)의

원료(原料)의 종류(種類)와 형태(形態)에 따른 Aspergillus oryzae 국(麴)의 생리활성(生理活性) 및 효소력(酵素力) (Physiological Function and Enzyme Activity of Koji Cultured by Aspergillus oryzae CNU O4-5 in the Various Grain Materials)

  • 최성현;정재홍;이상덕;손화영;성창근;오만진;김성렬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83-289
    • /
    • 1997
  • 재래식 메주로 부터 분리한 CNU O4-5를 Aspergillus oryzae로 동정하고 이 곰팡이를 장류제조에 이용하기 위해 원료를 달리하여 만든 koji의 효소 역가,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저해제의 생성과 항산화력,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을 측정하였다. ACE 저해제의 생성은 밀가루 koji, 밀가루+콩분말 koji, 콩분말 koji, 침지대두 및 쌀 koji가 모두 저해도 45-54% 정도로 비슷하였다. Lard에 의한 koji의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4일 까지는 밀가루 koji, 콩분말 koji, 밀가루+콩분말 koji, 침지 대두 koji, 쌀 koji 모두 peroxide value(POV)가 낮아 안정하였으며 6일째는 쌀 koji와 밀가루 koji는 POV가 높게 나타났고 콩가루 koji, 밀가루+콩분말 koji, 침지 대두 koji는 POV가 증가하지 않아 항산화력이 높았다. 따라서 콩을 원료로한 koji가 항산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밀가루, 밀가루+콩분말, 콩분말 koji의 SOD 활성은 2,000 units/g으로 같은 값을 보였다. 원료에 따른 Aspergillus oryzae koji의 $\alpha$-amylase와 gluco-amylase 활성은 밀가루 koji가 콩가루 koji 보다 높았으며 침지한 대두 koji와 쌀 koji는 낮은 값을 보였다. 중성 protease와 알칼리성 protease 활성은 콩분말 koji가 밀가루 koji 보다 높았고 침지한 대두 koji와 쌀 koji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