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lass lens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6초

소형 Magnetron sputtering 방법에 의한 썬글라스 렌즈용 Ti 박막의 특성연구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 of Ti Thin Film Using Small Magnetron Sputtering Method for Sunglass Lens)

  • 박문찬;정부영;이종근;주경복;이화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9-63
    • /
    • 2008
  • 목적: 소형 magnetron sputtering 장치를 이용하여 CR-39 안경렌즈와 glass위에 코팅한 썬글라스 렌즈용 Ti박막의 광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방법: SEM 단면 사진으로 Ti 코팅 박막의 두께를 측정하였고,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Ti 박막의 투과율과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Variable angle spectroscopic ellipsometry (VASE)를 이용하여 파장에 따라 Ti 박막의 굴절률과 소멸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두께가 60 nm, 120 nm, 140 nm인 시료에 대한 투과율은 가시광선 영역인 파장 400 nm에서 750 nm까지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모두 silver tone에 가까운 color를 보였다. 가까운 파장 400 nm 근처에서 약간 올라가는 경향을 보였고, He d선 (587.6 nm)을 기준으로 할 때 Ti 박막의 두께가 60 nm에서 투과율이 33%, 두께가 120 nm에서 투과율이 25%, 두께가 140 nm에서 투과율이 20%를 보였다. 결론: Ti 박막의 경우 60~140 nm의 모든 두께에서 선글라스용으로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i박막에 대한 굴절률이 작게 나오는 것은 Ti박막의 두께가 얇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 PDF

하지전신계측검사에서 자세의 변화에 따른 방사선량 및 영상평가 (Radiation Dose and Image Evaluation for Position Change in Low Extremity Teleography)

  • 김영천;송종남;최남길;정연;한재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409-415
    • /
    • 2014
  • 하지전신계측검사(low extremity teleography)에서 자세 변화에 따른 중요장기의 방사선량을 측정하고 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검사방법에 따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하지전신계측검사를 시행한 성인남자 10명을 대상하였고 촬영조건은 관전압 73 kVp, 관전류량 32 mAs, SID 180 cm로 설정하였다. 방사선량 측정은 란도 팬텀을 이용하여 수정체, 갑상선, 생식선 부위에 유리선량계(glass dosimeter)를 부착한 후 전후방향자세와 후전방향자세를 각각 5번씩 시행하여 부위별로 방사선량을 측정한 후 Paired T-test로 비교 분석 하였다. 영상평가는 전후방향자세와 후전방향자세를 시행한 영상을 blind test를 실시하여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전후방향자세검사에 비해 후전방향자세검사가 수정체 약 6%, 갑상선 약 6%, 생식선에 미치는 방사선량을 약 27%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영상평가에서도 두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어, 하지전신계측검사에서 전후방향자세검사보다 후전방향자세검사가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적외선 카메라-레이저 공통광학계의 레이저빔 열 영향성 분석 (Analysis of Laser-beam Thermal Effects In an Infrared Camera and Laser Common-path Optical System)

  • 김성재
    • 한국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53-157
    • /
    • 2017
  • 지향성적외선방해장비의 정렬 정밀도를 높히고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적용된 적외선 카메라-레이저 공통광학계 구조에서 영상 성능 저하를 야기시키는 레이저빔 열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레이저빔이 광부품에 흡수되면 열이 발생하고 온도가 상승한다. 공통광학계 광부품 표면에서 발생한 열은 시스템 투과율을 감소시켜 적외선 카메라의 영상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지향성적외선방해장비의 운용개념을 고려하여 파장 $4{\mu}m$, 출력 3 W의 레이저빔이 10초간 미러(알루미늄, 실리카 글래스, 실리콘) 및 렌즈(사파이어, 셀레늄화아연, 실리콘, 게르마늄) 재료에 조사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온도 분포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미러 재료로는 실리카 글래스, 렌즈 재료로는 사파이어의 온도 상승이 상대적으로 컸고, 재료 온도 분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재료의 레이저빔 흡수율과 열전도도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적외선 카메라-레이저 공통광학계에 사용하는 광부품은 흡수율이 낮고 열전도도가 높은 특성을 갖도록 선정되어야 광부품 온도 상승에 의한 적외선 카메라의 영상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Eyewear Design에 있어 형태와 기능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문화사적 배경과 안경디자인사를 중심으로 - (Research about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function and form in the eyewear design -Around the cultural history background and eyewear design history-)

  • 박승온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71-380
    • /
    • 2004
  • 안경의 역사는 인쇄술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맨 처음 안경은 가죽으로 만들어 졌다. 그 이후 나무나 뿔, 혹은 뼈로서 안경테를 만들고, 수정이나 유리로 렌즈를 만들어 끼운 단 안경 두 개의 대못으로 연결시킨 대못안경(Riveted Spectacles)이 개발된 이래 안경테는 수많은 스타일로 변화되어 왔다. 그 후 코다리(Bridge)의 개발, 다리 (Temple)의 등장으로 오늘날의 안경의 형태가 나오기 시작했고, 오늘날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들이 개발되면서 실용적이며 안경의 스타일에 이르게 되었다. 그럼으로, 안경제조업체와 안경디자이너들은 새로운 안경패션 트랜드를 리드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안경테가 있기 까지 역사적 발달과정을 통한 다양한 스타일의 안경테를 분석하고, 디자인의 목적인 형태와 기능의 관점에서 안경디자인의 방법적 요소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 PDF

ELID 연삭을 이용한 비축 비구면 렌즈의 초정밀 가공 (Ultra-Precision Machining of Off-Axis Asymmetric Large-area Reflecting Mirror Using ELID Grinding Process)

  • 정명원;신건휘;김건희;오오모리 히토시;곽태수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5
    • /
    • 2019
  • This study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ELID mirror-surface grinding technology to the manufacture of off-axis asymmetric large-area reflecting mirrors made of BK7 glass. The size of the parts, such as asymmetric large-area mirrors or lens, made form-accuracy or roughness especially hard to measure after machining because of the measuring range limit of measurement devices. In this study, the ELID grinding system has been set up for mirror-surface machining experiments manufacturing off-axis asymmetric lenses. A measuring method using a reference workpiece has been suggested to measure the form-accuracy and roughnes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even when using only a reference workpiece, it is confirmed that the surface roughness was 8 nmRa and form-accuracy was 80 nmRMS, with a best fit asymmetric radius when using a grinding wheel of #8,000. It is found that the accuracy of large-area parts could be estimated by the proposed process.

ITO(Indium Tin Oxide) 전극상의 전기화학적 Nickel 박막형성 (Growth of Electrochemical Nickel Thin Film on ITO(Indium Tin Oxide) Electrode)

  • 김우성;성정섭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5-161
    • /
    • 2002
  • 전도성 혹은 비전도성 지지체에서 전기변색이 가능한 수 nm에서 수액 nm 두께의 금속 니켈 박막 형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광학렌즈나 혹은 LCD에 사용되는 ITO, 실리콘 웨이퍼에 박막 형성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두께의 니켈 박막은 자체로서의 응용 가능성 뿐 아니라, 광전기화학 소자, 특히 선글라스로 대변되는 변색 소자에의 응용 가능성이 아주 크다. 이러한 소자들은 나노 기술 응용과 양자점의 응용 등으로 경박단소형의 렌즈나 전지, 유리 그리고 태양 선지 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전기화학적으로 니켈 금속을 ITO 유리위에 코팅한 후, AFM, XRD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확인하고, 순환전압전류법, 시간대전류법,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이들의 전기화학적 박막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Jellison Modine 분산식을 이용한 ZnS의 광학상수 결정 (Determination of Optical Constants of ZnS Using Jellison-Modine Dispersion Relation)

  • 박명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5-90
    • /
    • 2007
  • 안경렌즈의 무반사 코팅물질로 사용되는 황화아연(Zinc Sulphide : ZnS)의 단일박막을 실리콘과 슬라이드 유리 기판위에 스핀코팅방법으로 증착하였다. 박막 증착 후 변입사각분광타원계(VASE : Variable Angle Spectroscopic Ellipsometer)를 사용하여 1.5~5.0 eV 광 에너지 영역에서 타원 각(ellipsometry angle) ${\Delta}$, ${\Psi}$를 측정하였다. 이 측정결과들을 Jellison Modine 분산관계식을 사용하여 최적맞춤하고, 매개변수들을 구하여 박막의 광학상수인 굴절계수 $n({\lambda})$와 소광계수 $k({\lambda})$를 결정하였다.

  • PDF

VLSI Implementation of Adaptive Shading Correction System Supporting Multi-Resolution for Mobile Camera

  • Ha, Joo-Young;Lee, Sung-Mok;Jang, Won-Woo;Yang, Hoon-Gee;Kang, Bong-Soon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2C호
    • /
    • pp.1201-1207
    • /
    • 2006
  • In this paper, we say the adaptive shading correction system supporting multi-resolution for mobile camera. The shading effect is caused by non-uniform illumination, non-uniform camera sensitivity, or even dirt and dust on glass (lens) surfaces. In general this shading effect is undesirable [1-3]. Eliminating it is frequently necessary for subsequent processing and especially when quantitative microscopy is the fine goal. The proposed system is available on thirty nine kinds of image resolutions scanned by interlaced and progressive type. Moreover, the system is using forty kinds of continuous quadratic equations instead of using the piece-wise linear curve which is composed of multiple line segments. Finally, the system could correct the shading effect without discontinuity in any image resolution.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in VLSI with cell library based on Hynix $0.25{\mu}m$ CMOS technology.

Optical Simulation Study on the Effect of Diffusing Substrate and Pillow Lenses on the Outcoupling Efficiency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Jeong, Su Seong;Ko, Jae-Hyeo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7권3호
    • /
    • pp.269-274
    • /
    • 2013
  • The effect of diffusing substrate and pillow lenses on the outcoupling efficiency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was studied by optical simulation based on the point-dipole model. The diffusing substrate included Mie scatterers by which the condition of total internal reflection could be broken. The 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was used to obtain the intensity distribution on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an OLED, which was used as a light source to carry out a ray-tracing simulation of the OLED and the diffusing substrate. It was found that the outcoupling efficiency of the OLED was sensitive to the thickness of organic layers and could be increased by 21.0% by adopting a diffusing substrate in which Mie scatterers whose radius was $2.0{\mu}m$ were included at the density of $10^7mm^{-3}$ and by 65.5% by forming one pillow lens with the radius of 2 mm on the front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utcoupling efficiency could be improved by adopting diffusing substrate and pillow lenses along with the optimization of the thickness of each layer in the OLED.

나노 스테레오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한 불투명 기판에서의 3차원 마이크로 형상 제작 방법에 관한 연구 (Direct Patterning of 3D Microstructures on an Opaque Substrate Using Nano-Stereolithography)

  • 손용;임태우;하철우;양동열;정병제;공홍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93-99
    • /
    • 2010
  • A nano-stereolithography is the direct patterning process with a nanoscale resolution using twophoton absorption induced by a femtosecond laser. However, in the majority of the works, the fabrication of 3D microstructures have been done only onto transparent glass due to the use of an oil immersion objective lens for achieving a high resolution. In this work, the coaxial illumination and the auto-focusing system are proposed for the direct patterning of nano-precision patterns on an opaque substrate such as a silicon wafer and a metal substrate. Through this work, 3D polymer structures and metallic patterns are fabricated on a silicon wafer using the developed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