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senoside Rc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6초

Ginsenosides Attenuate Formalin-Induced Pains Through Spinal and Supraspinal Sites

  • Yoon, So-Rah;Park, Seok;Jung, Se-Yeon;Kim, Seok-Chang;Ko, Sung-Ryong;Nam, Ki-Yeul;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43-147
    • /
    • 2000
  • 앞의 연구에서 우리는 진세노사이드 Rc, Rd, Re 및 Rr를 복강내 전 처리할 경우 포르말린으로 유도된 통증을 억제하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진세노사이드가 어느 위치에서 항통증작용을 발휘하는가에 대하여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진세노사이드를 뇌실내, 척수강내 혹은 피하내 전처리한 다음 포르밀린에 의하여 유도되는 통증이 어느 위치에서 억제되는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 진세노사이드는 척수강내 전처리할 경우 포르말린에 의하여 유도되는 통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 통증 phase에서 ED$_{50}$는 Rc가 1.0 (0.SS~l.75mg/kg)이었고, Rd가 1.15 (0.6~2.25 mg/kg)이었고, Re가 8.9(3.9~20.5 mg/kg)이었다. 지속성 통증 phase에서 ED$_{50}$는 Rc가0.3 (0.1~0.85 mg/kg)이었고, Rd가 0.6 (0.35~l.1 mg/kg)이었고, Re가 2.45 (1.2s~4.65 mg/kg)이었고, Rf가 1.9(1.5~4.25 mg/kg)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뇌실내 전처리할 경우에도 이들 진세노사이드들은 포르말린에 의하여 유도되는 통증을 억제하였다. 급성통증 phase에서 ED$_{50}$는 Rc가 0.9 (0.55~l.4 mg/kg)이었고, Rd가0.9 (0.45~l.7 mg/kg)이었고, Re가 0.93 (0.Sol.75 mg/kg), Rf가1.85 (0.95~3.5 mg/kg)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성 통증 phase에서는 ED$_{50}$는 Rc가 0.7 (0.45~l.05 mg/kg)이었고, Rd가 1.25(0.7~2.2 mg/kg)이었고, Re가 0.85 (0.45~l.6 mg/kg)이었고, H의 경우에는 0.8 (0.4~l.45 mg/kg) 이었다. 항통증 효능 potency는 두 가지 투여 경로에 있어서 Rc$\geq$Rd>Re>Rf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피하내 주사는 포르말린에 의하여 유도되는 통증을 억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세노사이드에 의한 항통증 작용은 척수 수준 및 척수위 수준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보여주고 있다.

  • PDF

가정용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간편 홍삼 제조 (Easy Red Ginseng Production Using Household Microwave Ovens)

  • 김미현;김경탁;조장원;노정해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23-6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홍삼을 제조하고 제조된 홍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홍삼 제조 방법은 가정용 전자레인지의 '해동기능' 13분(A), 가정용 전자레인지의 '조리기능' 6분(B), 가정용 전자레인지의 '해동기능' 44분(C)로 하였다. 전자레인지로 제조된 홍삼의 외관, 분말의 색, 사포닌 조성, 홍삼 제조 시 용출된 사포닌의 양 등을 기존의 일반 홍삼과 비교하였다. 가정용 전자레인지의 '조리기능' 6분(B)과 '해동기능' 44분(C)으로 만든 홍삼은 일반 홍삼과 유사한 색을 가졌다. 전자레인지에 의한 홍삼 제조 시에는 기존 일반 홍삼 제조에 비해 사포닌 손실이 거의 없었다. 전자레인지 홍삼의 총페놀 함량은 일반 홍삼과 유사하였으며, 전자레인지 홍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일반 홍삼보다 높았다. 전자레인지 홍삼(A, B)의 진세노사이드 $Rg_1$, Re, Rf, $Rg_2+Rh_1$, $Rb_1$, Rc, $Rb_2$, $Rb_3$, Rd, $Rg_3$ 함량은 일반 홍삼보다 높았으며, 해동 기능 44분의 홍삼(C)은 진세노사이드 $Rg_1$, Re, $Rg_2+Rh_1$, Rc, $Rb_2$, $Rb_3$, Rd, $Rg_3$의 값이 일반 홍삼보다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용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고기능성의 홍삼을 만드는 방법을 살펴보았고 이로써 인삼 소비 증진 등이 기대된다.

생물반응기에서 배양된 인삼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Ginseng Cultured in Bioreactor System)

  • 김경은;정용진;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9-7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기에 배양된 인삼의 품질 특성 및 이를 이용한 액상차 제조에 관한 연구를 행하였다. 생물반응기에서 배양된 인삼 추출물에 대한 품질특성은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조사포닌 함량이 각각 31.80%, 1.94%로 나타나 재배 인삼보다는 함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농축액의 조사포닌 함량은 4.77%이었으며 ginsenoside Rc, Re 및 Rg$_1$은 7.36, 4.40 및 1.75 mg/g으로 나타났으며 재배인삼에 많은 함량을 차지하는 ginsenoside Rb$_1$과 Rb$_2$는 검출되지 않았다. 생물반응기에서 배양된 인삼의 활용방안으로 추출.농축액을 이용하여 액상차를 제조하여 최적 배합비를 설정하였다. 액상차제조의 최적 배합비 범위는 농축액 함량 9.0~10.4%, 사과식초 함량 6.8~8.1%, 과당 함량 40%로 예측되었다. 또한 배양 인삼 농축액과 재배인삼 농축액으로 제조된 액상차의 관능적 품질을 재배인산 농축액으로 제조된 액상차의 관능적 품질을 비교하고자 예측된 임의의 조건(농축액 10%, 사과 식초 7%, 과당 40%)으로 동일하게 제조하여 비교하였을 때 관능적 품질은 재배인삼이 생물반응기에 배양된 인삼보다 높은 관능평점을 나타내었다.

경색별인삼근(莖色別人蔘根)의 Ginsenoside 함량(含量) (Relationship Between Ginsenoside Content and Stem Color Intensity of Panax ginseng)

  • 박훈;박귀희;유기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4호
    • /
    • pp.211-217
    • /
    • 1982
  • 경색정도(莖色程度)가 다른 자경종인삼근동체(紫莖種人蔘根胴體)의 표피일주피(表皮一周皮)(외부(外部))와 도관일수(導管一隋)(내부(內部))의 진세노사이드를 조사하였다. 진세노사이드의 양상(樣相), 다이올계와 트리올계의 비(比)(PT/PD) 및 총(總)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두 부위간(部位間)에만 유의성(有意性) 있는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경색도(莖色度)와는 관계(關係)를 보이지 아니하였다. 자색도(紫色度) 감소에 따른 총(總) 진세노사이드 함량(含量)의 증가경향(增加傾向)은 시료수(試料數)를 증대(增大)하여 조사(調査)할 필요(必要)가 있다. 진세노사이드의 함량(含量) 순서는 외부(外部)에서 $R_{b1}>R_{g1}>R_{e}>R_{c}>R_{g2}>R_{b2}>R_{f}>R_{d}$였고 내부(內部)에서는 $R_{g1}>R_{b1}>R_{g2}>R_{e}>R_{b2}>R_{c}>R_{f}>R_{d}$였다. PT/PD는 외부(外部)에서 1.08 내부(內部)에서 1.95였다. 총(總) 진세노사이드 함량(含量)은 외부(外部)가 내부(內部)보다 3배(倍) 높고 두 부위(部位)의 무게는 비슷하므로 동체(胴體)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외부(外部)의 함량에 의존된다.

  • PDF

수용액(水溶液)에서 인삼배당체(人蔘配糖體)의 분자결합양상(分子結合樣相) (Pattern of Molecular Aggregation of Ginsenosides in Aqueous Solution)

  • 박훈;이미경;박귀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98-206
    • /
    • 1986
  • 정제인삼(精製人蔘)사포닌의 수용액을 분자투석막(分子透析膜)(분자량(分子量) 12000)을 통(通)하여 투석(透析)하거나 Bio-Gel P-2(분자량(分子量) $200{\sim}2000$)gel을 통과시켜 분취(分取)하고 HPLC로 ginsenoside를 분석(分析)하였다. Ginsenoside는 분자결합양상(分子結合樣相)과 분자내(分子內) 친수성기(親水性基)의 공간배열(空間配列)에 따라 3군(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제(第) I 군(群)은 거대(巨大)미셀 형성자(形成者)로 결합분자수(結合分子數)가 10이상이며 I면친수기형(面親水基形)이고 panaxadiol인 $Ginsenoside\;Rb_1$, $Rb_2$, Rc 및 Rd가 포함된다. 제(第)II군(群)은 소(小)미셀형성자(形成者)로 결합분자수(結合分子數)가 10이상(以上)에서 1까지이고 불완전(不完全) 양면친수기형(兩面親水基形)이며 triol인 $Rg_2$와 Rf 및 diol인 $Rg_3$가 포함된다. 제(第)III군(群)은 단분자(單分子)로 존재(存在)하며 양면친수기형(兩面親水基形)이고 triol인 Re와 $Rg_1$을 포함한다.

  • PDF

무기영양변화에서 인삼근Ginsenoside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among Ginsenosides of Panax ginseng Root under the Variation of Mineral Nutrients)

  • 이미경;민진숙;박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01-107
    • /
    • 1986
  • 양분조성(N.P.K)을 달리하여 양액재배한 인삼근(2년생)에서 ginsenoside, triol(PT), diol(PD) 및 총saponin(TS)과의 관계를 단순, 다중회귀 및 standard partial regression coefficient의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ginsenoside 상호간의 밀접도는 분자구조의 유이도와 관계가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PT는 Re와 Rg1에 의존하였으며 PD의 변화는 Rb1>Rb2$\geq$Rd>Rc의 순으로 의존하였다. TS도 PD에 의존도가 커서 TS가 클수록 PT/PD가 적어졌다. PT가 커지면 PD는 더 커지므로 PT와 PT/PD는 부상관을 보였다. 근중이 커지면 모든 ginsenoside는 감소하는 경향이며 Re와는 유의성이 있었다.

  • PDF

HPLC를 이용한 인삼 진세노사이드의 최적 분석 조건 및 홍삼 제품과 원료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Optimal Analytical Conditions for Panax Ginseng Ginsenosides using HPLC and Ginsenosides Content Analysis of Red Ginseng Products and their Raw Materials)

  • 탁근만;손민희;채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418-424
    • /
    • 2009
  • 인삼사포닌인 진세노사이드의 분석조건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Gradient 조건을 변경하여 최적 분석조건을 확립하였고, 같은 조건하에서 인삼원재료와 홍삼 제품 중의 진세노사이드를 분석하였다. 원재료 중에서는 홍삼이 Rg1, Rb1, Rc, Rb2, Rd를 각각 0.29%, 0.82%, 0.33%, 0.32%, 0.11%를 함유하여 가장 높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보였으며, 여러 가지 홍삼제품 중에서는 홍삼엑기스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인삼 원료와 제품의 종류마다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차이를 보였지만 대부분의 원료와 제품에서 Re, Rb1이 그 중 에서도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국내 인삼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홍삼 파우치 제품의 사포닌 함량 및 이화학적 특성 (Saponin Cont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Ginseng Extract Pouch Products Collected from Ginseng Markets in Korea)

  • 최재을;한진수;강선주;김관후;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60-1665
    • /
    • 2010
  • 홍삼 파우치 제품의 성분 및 제조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일환으로 국내 유통 중인 홍삼 파우치의 사포닌 함량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 ginsenoside 함량은 5.5~185.7 mg/100 mL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항암효과로 알려진 ginsenoside $Rg_3$, $Rg_2$, $Rh_1$$Rh_2$의 함량 분포는 $Rg_3$는 1.6~46.3 mg/100 mL, $Rg_2$는 미검출~22.0 mg/100 mL, $Rh_1$은 미검출~4.3 mg/100 mL, $Rh_2$는 미검출~20.4 mg/100 mL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항 당뇨 효과가 있는 ginsenoside $Rb_2$와 Re의 함량분포는 $Rb_2$는 미검출~10.8 mg/100 mL, Re는 미검출~7.0 mg/100 mL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밖의 사포닌 중 ginsenoside $Rb_1$는 미검출~25.2 mg/100 mL, Rc는 미검출~12.5 mg/100 mL, Rd는 미검출~11.3 mg/100 mL, Rf는 미검출~5.9 mg/100 mL, $Rg_1$는 미검출~4.4 mg/100 mL까지의 함량 분포를 보였다. 이화학적 특성 분석결과 총당함량은 226.6~3,102.9 mg/100 mL, 당도는 $1.4\sim9.5^{\circ}Bx$, 탁도는 82.2~100.0%, pH는 4.1~5.0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국내에서 수집한 홍삼 파우치 제품의 약 50%(21~24개 제품)가 ginsenoside $Rb_1$, $Rb_2$, Rc, Rd, Re, $Rg_1$이 미검출 되었으며, 각 제품별 사포닌 함량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나, 국내유통 중인 홍삼 제품에 대한 기준 설정 및 생산방법의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raterization of Ginsenosides-induce d Antinociception in Mice

  • Jin-Ju Nah;Seo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8년도 Advances in Ginseng Research -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Ginseng -
    • /
    • pp.31-39
    • /
    • 1998
  • We have investigated the antinociceptive efficacy of ginseng saponins in mice using l% formalin, which induce two phases of pain (acute and tonic pains) and is known to induce a clinically related pain. Ginseng total saponins (GTS) relieved both phases of pain with EDso of 162 mghg for acute and 92 mg/kg for tonic pain, respectively. Both protopanaxadiol (PD) and protopanaxatriol (PT) saponins did not attenuated acute phase of pain but relieved tonic phase of pain with EDso of 45 mg/kg for PD saponins and 105 mghg for PT saponins, respectively. Moreover, ginsenoside Rc, Rd, and Re among representative ginsenosides such as Rbl, Rc, Rd, Re and Rgl relieved slightly but significantly acute phase of pain and strongly attenuated tonic phase of pain but Rf relieved only tonic phase of pain. However, PD and PT saponins, and the individual ginsenosides tested except GTS did not greatly attenuate thermal noxious pain (tail-flick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ngle ginsenoside or mixture of various ginsenosides mainly induce differential antinociception in mice.

  • PDF

Inhibitory Effects of Ginsenosides on Glutamate-Induced Swelling of Cultured Astrocytes

  • Seong, Yeon-Hee;Koh, Sang-Bum;Kim, Hack-Sea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38-142
    • /
    • 2000
  • 흰쥐 대뇌겉질로부터 별아교세포를 배양하여 흥분성아미노산인 L-glutamate에 의하여 유발되는 세포종창(astrocytic swelling)에 대한 ginsenosides의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Glutamate(0.5 mM)를 세포에 가하고 1시간동안 배양하면 swelling을 일으켜, 세포내의 물의 용적([$^3$H]OMG의 uptake량으로 측정)은 대조세포에 비하여 약 2배의 증가를 나타냈다. Glutamate와 함께 ginsenosides Rb$_2$와 Rc를 가하고 배양하면 glutamate에 의한 astrocytic swelling이 용량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세포는 Rb$_2$와 Rc(0.5 mg/ml)에 24시간까지 노출시켜도 MTT reduction이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 ginsenosides에 의한 swelling의 억제효과는 세포막의 손상에 의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Rb$_2$와 Rc는 glutamate에 의한 세포내 $Ca^{2+}$농도의 상승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Rb$_2$와 Rc는Ca$^{2+}$의 유입을 억제하므로서 glutamate에 의한 astrocytic swelling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