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nger oleoresin (GO)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초임계유체 추출에 의한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이명희;이경혜;김경탁;김성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9-1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추출과 초임계추출(SFE) 조건에 따른 생강 oleresin(GO) 추출물의 Gram 양성균(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과 Gram 음성균(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활성을 살펴보았다. GO 에탄올추출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clear zone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의 항균성은 Gram 양성균이 Gram 음성균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Listeria monocytogenes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생강분말과 에탄올의 추출비율이 1:6인 E-III 처리구가 항균활성이 높았다. GO 에탄올추출물의 항균성은$80^{\circ}C$ 조건에서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고, 추출시간 (1시간~7시간)은 처리구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초임계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은 Listeria monocytogenes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초임계추출물에서는 100 bar $35^{\circ}C$, 250 bar $35^{\circ}C$, 250 bar $65^{\circ}C$ 조건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그리고 용매추출물의 경우 추출조건에 따라서 항균활성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초임계추출물의 경우 추출압력 100 bar, 500 bar 처리구와 추출온도 $35^{\circ}C$, $65^{\circ}C$ 처리구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초임계유체 추출에 의한 생가 (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Oleoresin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 이명희;이경혜;최상윤;김경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6-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압력(100 bar, 250 bar, 500 bar)과 온도($35^{\circ}C$, $50^{\circ}C$, $60^{\circ}C$)조건을 달리 하여 초임계 유체 추출한 생강 oleoresin의 각 추출조건에 대한 수율, 색도, 향기성분 및 유용성분을 살펴보았다. 초임계 유체 추출한 생강 oleoresin의 수율은 추출압력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수율이 높게 나타났고, 가장 높은 추출 수율을 보인 조건은 500 bar $65^{\circ}C$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수율이 8.96%로 나타났다. 생강 oleoresin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추출압력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색도(${\Delta}E$)값이 감소하였고, 추출압력 100 bar 조건의 경우에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전반적인 색도(${\Delta}E$)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임계 유체 추출한 생강 oleoresin 중의 6-gingerol, 8-gingerol, 10-gingerol, 6-shogaol 및 curcumin을 분석한 결과 동일 압력 조건에서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유용성분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추출압력이 높을수록 유용성분의 함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강 oleoresin 중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요 성분으로 zingiberene, ${\beta}$-sesquiphellandre, ${\beta}$-phellandrene, ${\alpha}{\gamma}$-curcumene, 2,3-butanediol 및 ${\beta}$-bisabolene 등이 검출되었고, 각 추출조건에 따라 향기성분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