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ll-net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1초

자망에 있어서 망지의 성형률 변화에 따른 어획성능 특성 (Fishing performance for a gill net in accordance with changing of the net hanging ratio)

  • 김성훈;김병관;정성재;이경훈;오우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4호
    • /
    • pp.279-286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netting hanging ratio on fishing performance of gillnet. A total of six tests was carried out using three kinds of gillnets with different horizontal hanging ratios (0.3, 0.5 and 0.7) on the basis commercial gillnet of mesh size of 60 mm used in Yeosu Dolsan. As a result of the test fishing operation, catches of the net with hanging ratio 0.3 and the shortest float length was 1.34 times larger than the net with hanging ratio 0.7. The caught species in experimental testes was lager in the net with hanging ratio 0.3 than the net with hanging ratio 0.7. The catch rate per unit area (CPUE) is on the silver croaker with the largest catches in tests as follows. The net with hanging ratio 0.3 net was $89.45g/m^2$, hanging ratio 0.5 net was $41.63g/m^2$, and hanging ratio 0.7 net was $24.50g/m^2$. The net with hanging ratio 0.3 (float line length of 45 m) exhibited the largest CPUE value.

한반도 연안의 낫돌고래 혼획 특성 연구 (A study of bycatch characteristics of Pacific white-sided dolphins in Korean waters)

  • 박겸준;김민주;이미경;이종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9권4호
    • /
    • pp.399-406
    • /
    • 2023
  • This study presents an analysis of bycatch data concerning Pacific white-sided dolphins (Lagenorhynchus obliquidens) along the Korean coast from 2016 to 2021. A total of 503 bycatches were examined, encompassing data on year, month, body length, sex, latitude (N), longitude (E), and fishing gear. Bycatch was the most frequent in waters with a longitude of less than 130°E, particularly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at a latitude of 35.5°N, with a higher likelihood of bycatch in lower latitudes. Since 2017, a decreasing trend in bycatches has been observed. The sex distribution of bycaught dolphins showed a predominance of males (40%), followed by females (31%), with an unclassified category at 29%, thoug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p > 0.05). Seasonal analysis indicated that bycatch predominantly occurred during the winter months, with significant monthly variations (p < 0.01). Pacific white-sided dolphins were primarily ensnared in gill nets and, to a lesser extent, in stationary nets. Statistical analysis by gear type revealed a significant preference for gill nets (p < 0.001). Considering body length composition in relation to latitude, it is suggested that Pacific white-sided dolphins may utilize the southern waters of the East Sea as a potential nursery ground, though this was not confirmed at a significant level, emphasizing the need for further in-depth monitoring and ecological investigations. Given that there are approximately 27 different types of gill nets associated with the majority of bycatches, more detailed research is warranted to divide these gear types into finer subcategories for estimating bycatch relationships, ultimatel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First Record of the Antrorse Spined Gurnard Pterygotrigla multiocellata (Triglidae, Scorpaeniformes) from Korea

  • Kim, Joon Sang;Song, Choon Bo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283-286
    • /
    • 2015
  •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terygotrigla multiocellata from the family Triglidae, collected in Korea. The specimen (314 mm in standard length) was caught in a gill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on 11 February 2010.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morphological traits: head large and triangular, bony plates absent along the base of the second dorsal fin, antrorse rostral spine long, and cleithral spine long. We suggest a new Korean name, "Gin-ppul-mit-seong-dae" for P. multiocellata.

삼중자망에 의한 삼천포 신수도연안 천해어류 군집의 구조 (Fish assemblage collected by gill net in the coastal shallow water off Shinsudo, Samchonpo)

  • 김종관;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9-110
    • /
    • 1991
  • 본 연구는 연안생물군집에서 먹이 그물과 영양단계간 물질의 이동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경상남도 삼천포시 신수도 연안에서 1차적으로 어류군집의 구조를 파악한 것이다. 어류는 1984년 2월부터 1985년 1월 사이에 삼중자강으로 해월 1회이상 채집하였다. 조사해역에서 동정된 어종수는 32종이며, 월평균 출현종수는 11종이었다. 이 중 연중 출현하면서 풍도가 높은 어종은 노래미, 쥐노래미, 볼락 및 농어이었고, 기타 어종은 특정 계절에 국한하여 일시적으로 출현하였다 어류군집에서 이들 4종이 차지하는 연평균 조성비는 개체수에서 $73.9\%$, 중량에서 $78.1\%$였다. 채집시기중 5월에 출현량이 가장 많았고, 1월에 가장 적었다. 월평균 종다양도 지수는 1.856이었고, 종다양도 지수가 가장 높은 달은 10월(H'=2.255), 가장 낮은 달은 4월이었다(H'=1.340). 그리고 우점 4종의 연령조성을 보면, 노래미와 볼락은 0세부터 4세까지, 쥐노래미는 0세부터 3세까지, 농어는 0세부터 2세까지이다.

  • PDF

건표고의 외관특징 인식 및 추출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Robust Feature Recognition and Extraction Algorithm for Dried Oak Mushrooms)

  • 이충호;황헌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3호
    • /
    • pp.325-335
    • /
    • 1996
  • 표고의 외관 특징들은 표고의 재배 시 생육상태의 정량적 측정을 위해서, 표고의 건조 시 건조 성능을 나타내는 정량적 지표로서, 그리고 건표고의 품질을 판정하는 요인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시각시스템 및 신경회로망 기술을 적용하여 표고의 갓 및 내피에 고루 분포되어 있는 외관특징을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영상 처리 과정에서 유도되는 경험적 판정규칙 또는 명확한 수치적 판정조건에 의한 등급판정은 입력데이타의 결핍 또는 애매모호성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영상인식 기능을 도입함으로써 다양하고 애매모호한 표고의 외관 영상특징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기존 영상처리 알고리즘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표고의 갓과 내피면의 인식 및 특징 분할, 꼭지부의 검출, 제거 및 재생 등을 포함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에 의거하여 건표고의 등급판정에 주요한 품질인자들을 추출하고 정량화 하였다. 그리고 알고리즘의 개발은 흑백의 다치입력영상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 PDF

저층 삼중자망에 대한 동해안산 고무꺽정이 (Dasycottus setiger)의 망목 선택성 (Mesh selectivity of the bottom trammel net for spinyhead sculpin Dasycottus setiger in the eastern coastal sea of Korea)

  • 박창두;배재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4호
    • /
    • pp.317-326
    • /
    • 2017
  • Comparative fish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near Uljin, Korea from 2002 to 2004, using the experimental trammel nets to estimate the selectivity for spinyhead sculpin Dasycottus setiger. The inner panels of the nets were made of nylon monofilament with four mesh sizes (82.2, 89.4, 104.8, and 120.2 mm) while its two outer panels were made of twisted nylon multifilament with a mesh size of 510 mm. The SELECT (Share Each Length's Catch Total) procedure with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applied to obtain a master selection curve. The different functional models (normal, lognormal, bi-normal, and logistic model) were fitted to the catch data. The lognormal model with the fixed relative fishing intensity was chosen as the best-fitted selection curve through comparison of model deviance and AIC (Akaike's Information Criterion). The optimum relative length (the ratio of fish total length to mesh size) with the maximum relative efficiency was obtained as 2.492.

가뭄에 의한 주암호의 수위 및 어류 군집 변동 (Changes in Water Level and Fish Communities in Juam Reservoir According to Drought Conditions)

  • 오건희;유태식;지창우;박영석;곽인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899-908
    • /
    • 2023
  • Droughts can alter the dynamics of aquatic ecosystems, including fish communities. This study compared the variations in fish communities in Juam reservoir before and after drought events. Fish sampling was conducted five times from April 2021 to April 2023 using three different sampling methods (kick net, cast net, and gill net). The water level in the reservoir reached its peak (103.73 EL.m, 62.2% capacity) in September 2021, before the drought, and dropped to its lowest point (88.84 EL.m, 17.6% capacity) in April 2023. The dissolved oxygen content in the reservoir decreased from 27 to 6.3 mg/L between the period with the lowest water level (April 2023) and the period with the highest water level (September 2021). In September 2021, 466 fish were collected, but after one year of drought, the number of individuals decreased to 105. Further, the number of fish collected and water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Dominant species exhibited a population decline of over 60% with decreasing water level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ishery resource management during drought periods.

남해 거문도 해역 어류의 출현종과 분포특성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in the Water off Geomun Island of the Southern Sea, Korea, 2006)

  • 차병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8-178
    • /
    • 2010
  • 2006년 2월부터 10월까지 남해 거문도 연안의 암반초와 비 암반 정점의 어류 종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어류자료는 밤에는 삼중자망으로 수집하였고, 낮에는 스쿠버 잠수관찰로 수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세 정점에서 삼중자망에는 총 40종, 380마리, 71,426.9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어획된 어종 가운데 전갱이가 최우점하였으며, 그 외 홍어, 노랑가오리, 쥐치, 전기가오리, 참돔, 볼락, 꼬치고기 등이 많이 채집되었다. 암반 초 정점에서는 26종, 264마리, 46,776.7 g의 어류가 채집되었고, 우점종은 전갱이이었다. 다음으로 비 암반 정점 1에서는 17종, 45마리, 10,535.1 g의 어류가, 비 암반 정점 2에서는 19종, 71 마리, 14,11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스쿠버 다이빙에 의한 3정점 잠수조사에서는 13종, 1,749마리의 어류가 관찰되었다. 주로 관찰된 어종은 자리돔이며, 기타 범돔, 쥐치, 망상어, 육동가리돔, 뱅에돔, 용치놀래기, 노래미, 쥐돔, 볼락, 혹돔 등이 관찰되었다. 암반초에서 어류의 풍도는 어종수 7종, 개체수 1,739마리이며, 이는 전체의 99.4%를 차지하는 것이다. 거문도 해역에서 어류군집은 많은 암초성 어류들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전갱이, 고등어 같은 회유성 어종들도 다량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암반초에서 어류의 풍도는 다른 비암반 정점들에 비해 높았으며, 암초성 어종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지만 낮과 밤 간에 우점종은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거문도 해 역의 높은 어류 풍도는 암반초와 같은 물리적 구조물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는 암반초지역이 많은 어류에게 주요 서식처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멸치 자망 어획량의 계절변동 및 어장형성 (The Seasonal Variation of Catch by the Anchovy Gill Net and Formation of Fishing Ground)

  • 손태준;이병기;장호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2-100
    • /
    • 1984
  • 우리 나라 연근해에서 최근 14개년간($1969{\sim}1982$년)의 멸치 자망에 의한 어획통계자료와 해양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어획량의 계절변동, 어장의 중심 및 분산, 해양환경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멸치자망에 의한 어획량은 춘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에 약 $3,000\frac{M}{T}$으로 최대가 되나, 하계에는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한다. 추계에는 기장-구룡포와 속초-주문진 근해에서 다소 어획량이 증가하여 10월에 약 $1,500\frac{M}{T}$으로 극대치를 나타내나, 동계에는 어획이 저조하다. 월별 어획량분포로부터 추정한 어장은 대체로 춘${\cdot}$하계에 전해역으로 확산되나, 추${\cdot}$동계에는 연안으로 접근한다. $37^{\circ}N$ 이북 해역에서는 주년 어장의 중심이 속초-주문진 근해에 위치하고, 어장의 분산은 경도방향과 위도방향이 각각 연평균 8마일과 10마일로써 거의 비슷하다. $35^{\circ}N{\sim}37^{\circ}N$ 해역에서는 중심이 기장-구룡포 연안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위치하여 경도방향의 이동은 거의 없고 위도방향의 이동이 크며, 분산은 경도방향과 위도방향이 각각 년평균 10마일과 20마일로써 위도방향이 크다. $35^{\circ}N$ 이남 해역에서는 중심이 춘${\cdot}$하계에는 외해쪽에 위치하고 추${\cdot}$계에는 연안으로 접근하며, 분산은 경도방향과 위도방향이 각각 35마일과 8마일로써 경도방향이 현저하게 크다. 자망에 의한 멸치의 어획적수온은 $14{\sim}20^{\circ}C$, 염분은 $33.0{\sim}34.0\%0$이며, $12^{\circ}C$이하의 저온과 $34.4\%$ 이상의 고염분 및 $20^{\circ}C$ 이상의 고온과 $32.6\%0$이하의 저염분에서는 어획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동해안 청어 (Clupea pallasii) 자망의 망목선택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ize selectivity of a gillnet for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in the eastern sea of Korea)

  • 안희춘;배재현;김성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4호
    • /
    • pp.360-367
    • /
    • 2013
  • The mesh selectivity of the gillnet for Pacific herring (Clupea pallasii) was examined in field experiments with four different mesh sizes (63, 69, 75 and 81mm) from June to July, 2013 in the coastal areas of Imwon in Gangwon province. The fishing performance tests were conducted with a commercial Pacific herring gillnet and a biodegradable gillnet for Pacific herring together selectivity tests. The filed tests were carried out the total 11 times. The master curve of selectivity was estimated by the extended Kitahara's method. In the results, the catch number of Pacific herring was 9,409 (2,203kg) and occupied 84.2% in total catches weight. The optimal mesh size for 50% retention on first maturity size (female, 250mm) of Pacific herring was estimated as 64.5mm by master selectivity curves. The fishing performance of the biodegradable gillnet was showed to be equivalent with commercial gill for Pacific her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