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ant bullous emphysem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거대 낭포성 폐기종의 진단 3례 (Imaging Diagno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in Three Dogs with Giant Bullous Emphysema)

  • 최수영;오이세;강종일;이인;송유미;정우창;이기자;최호정;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1-245
    • /
    • 2014
  • 12년령의 미니어쳐 핀셔 1 마리와 각각 8년령, 10년령의 말티즈 2 마리가 호흡곤란을 주증으로 내원하여 흉부 방사선 촬영과 다중검출기 컴퓨터단층촬영을 실시하였다. 컴퓨터단층촬영 시, 호흡의 고정을 위하여 양압환기를 실시하여 무호흡을 유발하였다. 3 증례의 컴퓨터단층영상에서 폐의 과확장된 거대한 낭포성 가스 종괴가 확인되었으며, 종괴에 의한 전종격동 및 심장의 변위가 확인되어, 거대 낭포성 폐기종으로 진단하였다. 거대 낭포성 폐기종은 낭포성 가스 종괴가 동측 흉강의 1/3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정의되며, 다중검출기 컴퓨터단층촬영을 통한 진단으로 유용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순 흉부 X-선에서 기흉으로 오인된 거대 폐기종 1례 (A Case of Giant Emphysema Mimicking Pneumothorax in Chest X-Ray)

  • 이현경;나종천;이성순;류석종;이영민;진재용;이혁표;최수전;염호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2호
    • /
    • pp.211-216
    • /
    • 2003
  • 거대 물집성 폐기종은 그 자체로 환자에게 심한 호흡곤란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고 기흉이 동반되는 확률이 높아 이 두 상태를 감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우연히 발견된 거대 물집성 폐기종이 기흉으로 오인되어 흉관삽입술을 시행받고 이차적으로 기흉이 발생하였다가 보존적 치료로 회복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거대 기포성 폐기종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Bullous Emphysema with Giant Bullae)

  • 장재한;김민호;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08-413
    • /
    • 1996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있는 기포성 폐기종 환자의 대부분은 외과적 처치에 대한 위험성이 높지만 기포 성 폐기종이 한쪽 폐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에 외과적 치료는 안전하며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다. 따라 서 기포성 폐기종 환자의 외과적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대상환자를 정하는 것이다. 전북대 학교병 원 흉부외 과학교실에서는 1987년부터 1992년까지 거대 기포성 폐기종 환자 11명을 수술 치료 하였다. 남자가7명,여자가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19세에서 61세까지 였다. 외과적 치료의 대 상은.점 차 진행하는 호흡곤란이 있으며, 한쪽 흥강의 113 이상을 점유하는 거대 기포가 있고, 기관 및 종 격동을 환측 반대 쪽으로 밀고있는 경우로 하였다. 수술은 폐기포 절제 및 쐐기 절제술 7례, 폐구역 절제술 2례, 그리고 폐엽 절제술 2례 시행하였다.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모든 환자의 증상과 폐기능 검사소 견은 수술후 향상되 었다. 상기와 같이 선택되어진 거대 기포성 폐기종 환자에서는 외과적 치료가 안전하고 좋은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영아에 발생(發生)한 거대(巨大) 기낭성폐기종(氣囊性肺氣腫) 2례(例) 보고(報告) (2 Cases Report of Bullous Emphysema in Infancy. Treated by Surgery)

  • 김주이;최수승;이정호;유영선;유회성;박문향;박효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9권1호
    • /
    • pp.78-82
    • /
    • 1976
  • Bullous emphysema is usually associated with extensive chronic obliterative pulmonary disease. It is the disease of old age but rare in children or infancy. The bulla in this disease is acquired one. In general the symptoms are due to not the mere presence of the bulla but the extent of underlying lung pathology as emphysema or bronchitis. Occassionally giant bulla of great size may cause symptoms and in this occassion it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diseases. Especially in children or infancy pneumothorax, congenital pulmonary cyst of lobar obstructive-emphysema should be excluded. Recently we experienced 2 cases of bullous emphysema in infancy with severe respiratory symptoms because of bullae of great size. We felt difficulties in differentiating with other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review our cases thoroughly and enhance considerations of this disease.

  • PDF

정중 흉골 절개술을 통한 양측의 기종성 폐포의 절제 (Median Sterontomy for Bilateral Resection of Emphysematous Bullae)

  • 이성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720-730
    • /
    • 1990
  • The complicated pulmonary emphysema including “Giant bullae” and spontaneous pneumothorax often involve both lungs, and controversy exists concerning which is the more rational means of surgical treatment-bilateral simultaneous operation or two staged operation. We report three cases of the complicated bilateral bullous emphysema and two cases of bilateral spontaneous pneumothorax treated through median sternotomy. We performed the ligation of bullae, bullectomy, cystectomy, wedge resection, and left lower lobectomy through median sternotomy. No technical problems were encountered through this approach, which provided maximum benefit with one operation In conclusions, median sternotomy may be appropriate for resection of emphysematous bullae, specially in a severe COPD patient who may be poorly tolerated the superimposed loss of respiratory function due to incisional pain, because median sternotomy permit bilateral exploration, minimal impairment of pulmonary function, simultaneous restoration of pulmonary function, less incisional pain than routine lateral thoracotomy.

  • PDF

기낭성 폐기종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Emphysematous Bullae)

  • 김형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6권2호
    • /
    • pp.165-170
    • /
    • 1973
  • The selection and treatment with resection and drainage for patients with emphysematous bullae is discussed with reference to two patients recently. One case with bilateral multiple bullous emphysema resulting tension pneumothorax due to rupture of the bullae on right, 47 year old man with pulmonary tuberculosis history for 16 years, was treated with resection of the bullae on right including upper lobectomy and c!osed rhoracostomy drainage on left for another spontaneous pneumothorax, and result was excellent for 6 month after discharge. Another 53 year old man with giant tension air cysts occupying right whole lung field and shifting mediastinum to the left was treated with right under water sealed closed thoracostomy drainage for 7 days in vain, and resection was not performed for his poor respiratory function and general condition. The most useful preoperarive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a study of the plain chest radiogram and the surgical procedure of choice was obliteration of the bullae at thoracotom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