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umcheon Format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강원도 태백 지역의 중부 석탄계 코노돈트 생층서 (Conodont Biostratigraphy of the Middle Carboniferous System in the Taebaek Area, Kangwondo, Korea)

  • 박수인;선승대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58-570
    • /
    • 2001
  • 강원도 태백시 일대에 분포하는 중기 석탄기의 만항층과 금천층은 사암과 셰일로 구성되며, 여러 매의 석회암이 협재되어 있다. 만항층과 금천층의 석회암에서는 코노돈트와 그 밖의 화석이 풍부하게 산출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1) 만항층과 금천층의 코노돈트 화석군을 조사하고, (2) 이를 근거로 코노돈트 생층서대를 확정하며, (3) 코노돈트 화석군과 생층서에 근거하여 만항층과 금천층의 지질시대를 보다 명확히 밝히는 데 있다. 만항층과 금천층의 석회암에서는 6속 11종의 코노돈트가 산출된다. 만항층의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는 Idiognathodus delicatus, Hindeodus minutus, Streptognathodus sp.,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N. bothrops 및 N. medexultimus이고, 이들 코노돈트에 근거하면 만항층의 코노돈트 생층서대는 Neognathodus bothrops 대로 지정될 수 있다. 만항층의 코노돈트와 Neognathodus bothrops 대에 근거하면 만항층의 지질시대는 북아메리카의 일리노이 분지에 분포하는 중기 석탄기의 아토칸조(Atokan stage)에 대비된다. 금천층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는 Idiognathodus delicatus, N. medexultimus, N. roundyi, N. dilatus, Diplognathodus edentulus, Hindeodus minutus,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및 Gondolella bella이고, 이들 코노돈트는 Neognathodus roundyi 대에서 산출되는 종들이다. EK라서 금천층의 코노돈트 생층서대는 Neognathodus roundyi 대로 지정될수있다. 이 생층서대와 금천층 코노돈트는 금천층의 지질시대가 북아메리카의 일리노이 분지에 분포하는 중기 석탄기의 더모이네시안 조(Desmoinesian stage)에 대비됨을 지시한다.

  • PDF

강원도 태백 지역의 중기 석탄계의 코노돈트와 고생태 (Conodont Fauna and Its Paleoecology of the Middle Carboniferous System in Taebaek Area, Gangwon, Korea)

  • 박수인;오재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7-348
    • /
    • 2000
  • 강원도 태백 일대에 분포하는 중기 석탄기의 만항층과 금천층은 주로 셰일, 사암 및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이 층들의 석회암에서 코노돈트, 방추충, 해백합, 완족류, 산호, 태선동물, 개형충 등이 풍부하게 산출된다. 이 연구는 연구 지역의 만항층과 금천충의 석회암 암상을 조사하고 이들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의 종류와 수를 조사하여 코노돈트의 고생태를밝혔다. 또한, 만항층과 금천층에서 산출되는 여러 종류의 화석을 바탕으로 이들의 퇴적환경을 구명하였다.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만항층과 금천층의 석회암은 해백합과 여러 종류의 생물 파편을 많이 포함한 와케스톤(wackestone)과 팩스톤(packst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금천층 일부 석회암 내에서는 따뜻한 천해환경을 지시하는 Chaetetes산호화석이 발견된다. 연구 지역의 석탄계에서 발견된 코노돈트는 6속 12종이며, 이들 코노돈트는 대부분 생물 파편을 많이 포함한 팩스톤이나 와케스톤에서 많이 산출된다. 만항층 석회암에서는 Neognathodus bothrops, N. medexultimus, Hindeodus minutus,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Idiognathodus delicatus,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S. sp. 등이 산출되며, 금천층의 석회암에서는 Neognathodus medexultimus, N. roundyi, N. dilatus, Gondolella bella,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Hindeodus minutus, Idiognathodus delicatus, and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등의 코노돈트가 산출된다. 이들 코노돈트 중 Hindeodus minutus,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등은 얕은 바다에서 생성된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종들이다. 따라서 연구 지역의 만항층과 금천층 석회암의 암상과 이들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는 이들 석회암이 해수의 순환이 좋은 얕은 바다에서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 PDF

Fusulinids from the Carboniferous strata in the Gangdong area of Samcheok coalfield, Korea

  • Lee, Chang-Zin;Kim, Jun-Ho;Lee, Sang-Mi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68-777
    • /
    • 200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fusulinid biostratigraphy of the Carboniferous limestones distributed in the Gangdong area of Samcheok coalfield, Korea. The Carboniferous strata of the study area mainly comprise alternaton of dark gray shale, dark gray and reddish sandstone, and gray limestone. The limestones consist mainly of wackestonepackstone containing various fossil fragments such as crinoid, coral, brachiopod, foraminifera, fusulinid, and bryozoa; this observation thus suggests that the study site was the shallow marine environments. A tital of 12 species belonging to 5 genera of fusulinids are identified from the limestones of the Gangdong geologic section: Ozawainella turgida Sheng, Ozawainella sp. A, Ozawainella magna Sheng, Pseudostaffella antiqua (Dutkevich), Pseudostaffella paracompressa Safonova, Pseudostaffella kimi Cheong, Pseudostaffella sp., Beedeina lanceolata (Lee and Chen), Beedeina samarica (Rauser-Chernoussova), Beedeina sp. A, Neostaffella sphaeroidea cuboides Rauser-Chernoussova, and Hanostaffella hanensis Cheong. Such fusulinids species were repor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Geumcheon Formation in Samcheok coalfield and the middle Moscovian stage in Eurasia. On the basis of the fusulinid biostratigraphic correlation of the Gangdong geologic sections (A) to (C), the limestone should be overlapped by faults and folds. Moreover the stratigraphic thickness of the limestone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limestone outcrop of the Gangdong geologic section. Therefore, the stratigraphic sequence of the Gangdong geologic section is represented as the Gangdong geologic section (A).

후기(後期) 석탄기(石炭紀) 테티스해내(海內) 한국 삼척탄전(三涉炭田)의 천해류(淺海流) 분석(分折) (Neritic Paleocurrent Analysis of Pennsylvanian Tethyan Sea at Samcheog Coalfield, Korea)

  • 김항묵
    • 자원환경지질
    • /
    • 제11권1호
    • /
    • pp.21-37
    • /
    • 1978
  •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Manhang and the Geumcheon Formation of the Pennsylvanian Gomog Croup is revealed to the shallow neritic marine milieu in this paper also as the results of Park (1963), Cheong(1975) and Kim (1976), through the analyses of stratigraphy, paleocurrent, properties of cross-beddings and sedimentational features. The formations contains some possible terrestrial sediments suggesting the paralic environment, which are however not recognized definitely within them. The paleocurrent analysis is made to the Manhang Formation only. The paleocurrent of the formation is known to belong to the shallow neritic longshore current. The paleocurrent analysis is based chiefly on the cross-bedding analysis, and subordinately on the texture of elastic coarse sediments. The paleocurrent mean is determined to $269^{\circ}$, that is, from east to west, of which direction is interpreted to the right angle to the slope of the basinal depository plane and also the parallel with die depositional strike, according to Klein (1960) and Selley's (1968) criteria. The variance value of paleocurrent directions of the Manhang Formation in the whole area studied is 6,374, and the values range from 3,394 to 6,957 according to the dirstricts. The paleocurreut pattern of the whole area shows polymodel, and the patterns in each district range from trimodel to quadrimodel. Those models approach to the shallow marine or paralic model of Tohill and Picard (1966), Picard and High (1968 a), Pisnak (1957) and Pettijohn (1962). The mean value of maximum inclinations of cross-beddings of the whole area is $19.9^{\circ}$ with the standard deviation of 8.4, and ranges from $15.6^{\circ}$ to $21.7^{\circ}$ in the districts. Comparing the histogram show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maximum inclinations of cross-beddings of the Manhang Formation with the Pettijohn's (1962) histogram, it is found that the model approaches to his marine model. The Pennsylvanian Gomog Group of the coalfield is considered to have had been deposited in the pseudogeosynclinal zone on the plateau by the transgression of the Tethyan sea caused by the epirogenic movements during the Pennsylvanian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