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i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Localization of Germin Genes and Their Products in Developing Wheat Coleoptiles

  • Caliskan, Mahmut;Ozcan, Birgul;Turan, Cemal;Cuming, Andrew C.
    • BMB Reports
    • /
    • 제37권3호
    • /
    • pp.339-342
    • /
    • 2004
  • Germination is a process which characterized with nescient synthesis of genes. Among the genes synthesized during the germination of wheat embryos, germin genes, proteins and their enzymatic activity were defined. Germin is a water soluble homopentameric glycoprotein which is remarkable resistant to degradation by a broad range of proteases including pepsin. Germin proteins found to have strong oxalate oxidase activity which produces hydrogen peroxide by degrading oxalic acid. The current study, aimed to localize the germin genes, proteins and enzymatic activities in developing coleoptiles which is a rapidly growing protective tissue of leaf primordium and shoot apex. Non-radioactively abeled germin riboprobes were employed to localize germin mRNAs in situ. 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 and alkaline phosphatase linked anti-germin antibodies were used to localize germin proteins under the fluorescence and light microscopy and finally germin enzymatic activity was localized by using appropriate enzyme assay. The results revealed that in coleoptiles germin genes, proteins and their enzymatic activity were predominantly associated with the cells of epidermis and vascular bundle sheath cells.

Isolation and Localization of New Germination-related Sequences from Wheat Embryos

  • Caliskan, Mahmut;Bashiardes, Stavros;Ozcan, Birgul;Cuming, Andrew C.
    • BMB Reports
    • /
    • 제36권6호
    • /
    • pp.580-585
    • /
    • 2003
  • Subtractive library hybridization was used to isolate the cDNA clones that corresponded to the transcripts that were specifically up-regulated during wheat embryo germination. The clones with numbers 5, 6, 7, 8, 24, and 26 appeared to be more abundant in germinating wheat embryos. Among the isolated clones, we identified four new members of the wheat "germin" gene family. We also identified two novel sequences which exhibited distinct germination up-regulation, and displayed characteristic spatial patterns of expression. One of these, represented by clone pSB10, was principally expressed in the root tissue of germinating embryos. The second was represented by the pSB7 clone and was expressed in both the root and shoot primordia of the embryonic axis, as well as within the coleoptile.

벼 성숙종자로부터 배상체 캘러스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에 DNA methylation 억제제인 5-azacytidine의 영향 (Effects of 5-azacytidine, a DNA methylation inhibitor, on embryogenic callus formation and shoot regeneration from rice mature seeds)

  • 이연희;이정숙;김수윤;손성한;김둘이;윤인선;권순종;서석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133-140
    • /
    • 2008
  • DNA와 histone 단백질의 변형은 식물 발달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 조직 배양 및 식물 발달 단계에서 methylation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벼 종자로부터 캘러스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 단계에서 demethylation 물질인 5-azacytidine을 처리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식물체로의 재분화 능력이 있는 벼 배상체 캘러스는 5-azaC가 첨가된 H6A 배지에서는 형성되지 않았으며 갈색을 띠는 캘러스가 형성되었다. 또한 정상적인 캘러스를 5-azaC가 첨가된 MSRA 재분화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도 대조구와는 달리 식물체 재분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5-azaC가 정상적인 배상체 캘러스 및 shoot 분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냈으며 따라서 DNA methylation이 식물 조직배양에서의 정상적인 세포 dedifferentiation과 differentiation에 필수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벼 캘러스 형성 및 재분화 과정 동안의 methylation 영향을 알아보고자 각 단계별로 5-azaC를 처리 후 $GeneFishig^{TM}$ DEG와 DNA chip을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Epigenetic regulation, 전자전달, 핵산대사,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일부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현 차이가 있는 일부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확인하였고 RT-PCR 및 northern 분석으로 각 단계에서의 발현 차이를 할인하였다.

잠재적 효소식품 원료로서 발아현미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Microwave Vacuum Drying of Germinated Brown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Enzyme Food)

  • 김석신;김상용;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107-1113
    • /
    • 1998
  • 품질이 우수한 효소식품으로의 활용가능성 검토를 위해 현미를 발아시킨 후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로 건조하고 그 건조특성과 품질특성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그리고 동결건조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경우 열전달속도가 빨라 건조 개시후 5분 경과후 $60^{\circ}C$에 도달하였고 건조시간 내내 $60{\pm}2^{\circ}C$를 유지하였으나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개시 60분 경과 후, 진공건조의 경우는 2시간 경과 후에야 $60^{\circ}C$에 도달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의 경우 건조 3시간 후 수분함량 0.08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2의 경우 총건조시간 2시간만에 수분함량 0.O6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다. 열풍건조의 경우 건조시간 4시간만에 수분함량 0.14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최소한 2시간은 더 건조시켜야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초기 건조속도는 0.05 kg water/kg solid/min이었으며 처음부터 건조속도가 계속 감소하는 감률건조를 보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초기 건조속도가 0.0057 kg water/kg solid/min으로서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1/10 수준이었으며 건조개시 30분까지 항률건조를 보이다가 임계수분함량 0.81 kg water/kg solid 부근부터 감률건조가 시작되었다. 건조시료의 ${\alpha}-amylase$ 활성 및 protease 활성은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및 열풍건조의 순서를 보였고, diastatic activity의 경우 동결건조와 마이크로파 진공전조가 거의 대등한 품질보존효과를 보여 주었다. 이로부터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를 이용하여 건조할 경우 최소한 동결건조와 대등한 품질의 건조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리라 예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