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rmanium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8초

수소화합물 발생법-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방출 분광기를 이용한 암석및 퇴적물중 미량의 게르마늄 분석 (Determination of Trace Amount of Germanium in Rocks and Sediments by Hydride Vapor Generation-ICP-AES)

  • 신형선;최만식;김강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399-405
    • /
    • 1997
  • 수소화합물 발생법-유도결합플라스마 원자방출 분광기로 암석및 퇴적물 시료중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게르마늄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찾는 실험이다. 고체시료를 산분해하여 용액화할 때 게르마늄은 휘발성이 강한 화합물을 형성하지만 $H_3PO_4$가 존재하면 휘발이 억제되므로 $HF-HNO_3-H_3PO_4$의 혼합산을 사용하면 게르마늄의 휘발없이 open digestion system으로 고체 시료의 완전 용해가 가능하다. 또한 이 용액으로 다른 전처리 과정없이 수소화합물 발생법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게르마늄 수소화합물 발생법에서는 보조산으로 5M $H_3PO_4$와 환원제로 1% $NaBH_4$을 사용하여 검출한계를 0.08 ppb까지 얻을 수 있었으며 이 조건에서는 시료중에 과량으로 존재하는 공존원소의 방해도 무시할 수 있었다. 표준시료의 분석값이 보고된 값과 잘 일치하였으며 ICP-MS의 용액시료 도입법으로 측정한 값과도 잘 일치하였다.

  • PDF

게르마늄 수용액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ity of Soybean Sprouts Cultured with Germanium)

  • 김은정;이경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30-935
    • /
    • 2004
  • Ames test와 SOS chromotest를 이용하여 유기 게르마늄과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였다. 균주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AFB$_1$에 의하여 유발된 돌연변이는 Ge-132와 게르마늄 가루에 의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기 게르마늄을 20 mg/plate 첨가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87%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똑같은 실험계에서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즙액과 methanol 추출물은 수돗물로 재배한 콩나물에 비하여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와 4-NQO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는 일반콩나물의 즙액을 200 $\mu$L/plate 첨가하였을 때 각각 37∼39%, 38∼48%의 저해효과를 나타낸 반면 같은 농도에서 게르마늄 콩나물의 즙액은 61%와 75%의 억제율을 나타내어 게르마늄 첨가 콩나물은 간접 돌연변이원뿐만 아니라 직접 돌연변이원에 의해서 유발된 돌연변이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E. coli PQ37 균주를 사용한 SOS chromotest에서 유기 게르마늄은 사용된 농도의 증가에 따라 돌연변이 유발억제작용이 증가하였으며, 게르마늄 콩나물의 methanol 추출물은 일반 콩나물에 비하여 높은 돌연변이 유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Ames test와 SOS chromotest를 통하여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은 수돗물로 재배한 콩나물에 비하여 항돌연변이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LPS에 의한 급성 폐손상에서 게르마늄에 의한 호중구 세포사와 큰포식세포의 포식능 증가 (The Increase of Apoptotic Neutrophils and Phagocytic Macrophage by Germanium in Acute Lung Injury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 이윤정;조현국;전경희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4호
    • /
    • pp.293-306
    • /
    • 2008
  • 주로 패혈증후군에 의해 동반되는 급성 폐손상인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의 가장 큰 원인은 폐조직 내에 축적된 호중구라 보고 게르마늄을 ARDS 발병 전에 투여했을 때 게르마늄의 항염증 효과로 폐손상이 감소되는지, 그리고 폐손상 억제에 산화질소가 관여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생리식염수를 기도로 투여한 대조군 (CON), 동량의 내독소 5시간 투여군(LPS), 그리고 게르마늄을 1시간 전처리 후 내독소 5시간 투여군(Ge+LPS)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실험동물을 이용한 실험결과 내독소의 주입으로 유도된 급성 폐손상에서 기관지폐세척액 내 호중구의 침윤은 게르마늄을 전처리함으로써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게르마늄 전처리군의 폐조직은 내독소 처리군에 비해 정상적으로 잘 보존된 편이었고, Tunel 염색에 뚜렷한 양성반응을 보이는 호중구가 많이 관찰되어 호중구의 세포사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지폐세척액 내 세포의 미세구조변화의 관찰에서도 게르마늄 전처리군에서는 내독소 투여군에 비해 호중구를 탐식한 폐포강 큰포식세포들이 수적으로 증가되었고, 탐식된 호중구들은 대부분 핵이 응축된 모습이었으며, DNA 분절과 세포소기관의 소실을 보이는 세포사한 호중구도 세포간질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산화질소는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증가현상을 보였지만 내독소 투여군과는 달리 게르마늄 전처리군에서만 비만세포의 탈과립화가 적어지고, 호중구의 세포사가 증가하는 등의 산화질소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산화질소가 분비되기 전 게르마늄의 전처리에 의해 실험동물의 체내 환경의 변화가 야기되었고, 변화 후 작용한 산화질소에 의해 항염증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어, 게르마늄의 전처리에 의해 큰포식세포로부터 생성된 산화질소가 폐손상을 완화시키는 데 관여할 것이라 추측된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로 볼 때, 호중구의 폐 침윤에 의한 폐포-모세혈관 장벽의 손상으로 초래되는 급성 폐손상에서 게르마늄의 항염증 작용, 즉 호중구의 유주현상 방해, 호중구의 세포사 유도 그리고 세포사한 호중구를 탐식하도록 큰포식세포의 탐식능을 증가시키는 효과로 호중구의 수가 감소되어 폐손상이 억제되고, 게르마늄에 의해 활성화된 큰포식세포에서 분비되는 산화질소가 폐손상을 억제시키는 데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게르마늄 흑운모의 시험관 내에서의 E. coli와 Salmonella spp.에 대한 흡착력 및 성장 억제 효능 평가 (The effects of Germanium biotite on the adsorptive and inhibition of growth abilities against E. coli and Salmonella spp. in vitro)

  • 정명환;차승빈;신승원;이원정;신민경;유안나;유한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3-38
    • /
    • 2012
  • Germanium biotite, a natural mineral, has been used as a feed supplement to reinforce innate immune ability.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germanium biotite on the adsorptive and inhibition of growth abilities against Escherichia (E.) coli and Salmonella spp. in vitro. Two strains of enterotoxigenic E. coli and four strains of two Salmonella serotypes (Salmonella Derby and Salmonella Typhimurium), major bacterial diarrheal pathogens,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absorptive ability of germanium biotite against most Salmonella used in present experiment was observed weakly. The germanium biotite, however, showed significant effect of bacterial growth inhibition in most experiment bacter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the germanium biotite as feed supplement could alleviate diarrhea following inhibition of bacteria growth. It is also presumed that antibiotics usage for farm animals, considered as causes of antibiotic residue in meat and emerging antibiotic resistance, could be reduced through the use of germanium biotite as a feed supplement, in place of antibiotics used for the prevention of diarrhea.

게르마늄 함유 감성의류용 직물의 원적외선 방출 특성 (Far-Infrare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Germanium Included Fabrics for Emotional Garment)

  • 김현아;김승진
    • 감성과학
    • /
    • 제13권4호
    • /
    • pp.687-69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 방출 직불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 나노사이즈 게르마늄 업자와 PET chip을 마스터 배치 칩으로 제조하고 이를 PET와 용융 방사하여 sheath-core conjugate 복합사를 제조하여 이들의 물성과 이들 복합사로 제조한 직물의 원적외선 방출특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또한 게르마늄을 함유한 필라멘트와 직물의 물성을 측정하고 이들 물성이 사가공 공정의 중요공정 인자인 벨트각과 사속비 등의 공정인자와 직물 설계에서의 경사와 위사의 밀도에 관계하는 직물 밀도 계수 등의 설계 조건에 의해 직물 역학 특성과 직물 촉감등의 물성이 어떠한 변화를 가져 오는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최적 방사조건에 의한 core부에 게르마늄이 함유된 sheath-core형 PET복합사를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절단강신도 모두 일반 PET계(系)의 물성치를 보였으며 DTY는 제직성에 문제가 없는 강신도를 보였고 습건열 수축률은 일반 PET사 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게르마늄 함유 직물의 원적외선 방사강도는 $5{\sim}20{\mu}m$ 파장 영역에서 $3.53{\times}10^2W/m^2$을 보였으며 방사율은 0.874를 보였다. 그리고 최적 사가공 공정 조건 설정과 최적 직물밀도 설계로 직물의 역학 특성치와 촉감 특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게르마늄 처리가 콩나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rmanium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f Soybean Sprouts)

  • 김은정;이경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15-620
    • /
    • 2002
  • 전통식품으로서 콩나물의 고급화와 기능성 강화를 목적으로 대표적인 나물콩 3품종을 시료로 하여 종실의 특성을 분석하고, 일반적인 수돗물과 게르마늄 용해수 그리고 지하수를 이용한 3가지 방법으로 콩나물을 재배하여 콩나물의 수율을 비롯한 생육 특성을 조사하였다. 100립중은 은하콩이 11.2$\pm$1.3 g이었고, 서목태는 11.7$\pm$1.2 g, 수박태는 11.7$\pm$1.9 g이었다. 콩나물 수율은 은하콩과 수박태가 각각 705%, 738%로 서목태의 683%보다 높았으며 게르마늄 용해수로 재배한 게르마늄 콩나물이 각 품종별로 10~20% 더 높았다. 재배일수가 증가함에 따라 배축의 길이는 급격하게 신장되었고, 품종과 게르마늄 함유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지만 배축의 두께에 있어 게르마늄 콩나물이 더 굵게 나타났다. 색도의 측정 결과 품종간의 차이는 약간 있으나 게르마늄 콩나물이 대조군보다 녹색과 황색의 수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exture특성은 서목태의 줄기의 경도가 강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세 품종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게르마늄 콩나물이 자엽, 줄기 및 뿌리의 경도가 강하였다. 콩나물의 관능 평가를 실시한 결과 외관에서는 각 품종별로 게르마늄 콩나물이 대조군에 비해 좋게 나타났으며 비린내와 비린맛은 약하고 고소한 맛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질감에 있어서는 대조군에 비해 아삭아삭한 느낌이 더 강하였으며, 종합적인 평가에서도 게르마늄 콩나물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게르마늄은 콩나물의 재배과정에 영향을 미쳐 성장을 촉진시키며 외관 및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무기 게르마늄 GeO2의 첨가가 액체 배양 중 인삼 부정근의 생장과 게르마늄 및 사포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Inorganic Germanium, GeO2 on the Growth, Germanium and Saponin Contents of Ginseng Adventitious Root in Submerged Culture)

  • 장은정;오훈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3호
    • /
    • pp.145-151
    • /
    • 2005
  • 식물조직배양기술을 이용하여 Ge를 함유한 인삼 root를 생산하고자, 0.5mg/L BAP와 3.0mg/L NAA조합의 식물생장 조절물질로 유도된 인삼 root를 이용하여 배양을 위한 최적 $GeO_2$농도, $GeO_2$ 첨가시기 및 배지의 pH를 조사하였다. 인삼 root의 생장에 가장 좋은 $GeO_2$ 농도는 10ppm, $GeO_2$ 첨가시기는 배양 초기(0주), pH는 5.5였고, 인삼 root내 Ge의 함량이 가장 높았을 때의 $GeO_2$농도는 100ppm이었다. $GeO_2$를 첨가하여 배양한 기간이 길수록 Ge함량이 증가하였으나 6주 이후부터 생장율이 둔화되어 $GeO_2$ 100ppm에서는 생장율이 아주 낮아 대조구의 1/2 정도였다. 배양 초기에 $GeO_2$를 첨가하여 8주간 배양한 인삼 root의 Ge 함량이 $29.4mg\%$인데 반해, 배양 2주째에 $GeO_2$를 첨가한 인삼 root의 경우는 Ge 함량이 $38.6mg\%$이므로, 배양 후 2주 후에 $GeO_2$를 첨가하는 것이 인삼 root의 Ge흡수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Ge흡수가 가장 잘 이루어지는 최적 pH는 5.5였으며 사포닌 함량은 $GeO_2$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아토피양 접촉피부염 유발 NC/Nga mouse에서 도고 온천수에 첨가한 게르마늄 성분의 효과 (Effect of DOGO phreatic water containing germanium on Atopic Dermatitis in NC/Nga mouse)

  • 이진욱;고가연;정찬호;유선종;김윤희;안택원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41-157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OGO phreatic water containing germanium on Atopic Dermatitis in NC/Nga mouse. Methods : We made DOGO phreatic water added germanium. After making atopic dermatitis caused by sensitizing NC/Nga mouse to DNCB(dinitrochlorobenzene), we made mouse swim in tanks each filled with distilled water, tap water, DOGO phreatic water, DOGO phreatic water(added germanium) for 30minutes everyday. 3weeks later, we analyzed skin clinical score, total IgE levels(by ELISA), WBC differential counting(Neutrophils, Monocytes), absolute cell number of $Neutrophil^+Gr-1^+$, CCR3 mRNA expressions(by Real-time PCR), IL-4, IFN-${\gamma}$ production levels(by ELISA), histologic test(by H&E staining, toluidine blue staining). Results : The results of making NC/Nga mouse induced atopic dermatitis swim in tanks filled with DOGO phreatic water(contain germanium) are as follows. 1. Skin clinical score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2. Total IgG level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3. WBC differential counting(Neutrophils, Monocyte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4. Absolute cell number of $Neutrophil^+Gr-1^+$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5. CCR3 mRNA expression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6. IL-4, IFN-${\gamma}$ production level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7. The epithelial tissue thickness, leucocytes infiltration, erythema, edema, excoriation, scaling, mast cells infiltrations in dorsal skin were decreased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OGO phreatic water(contain germanium) can be used for helping treat atopic dermatitis.

흡착벗김 전압전류법에 의한 국내산 약용식물에 함유된 게르마늄의 분석 (Determination of Germanium (IV) Content in the Korean Medicinal Herbs by Adsorption Stripping Voltammetry)

  • 정승일;천현자;김일광
    • 분석과학
    • /
    • 제11권5호
    • /
    • pp.400-403
    • /
    • 1998
  • The germanium content of the cultivated Korean medicinal herbs in several growing district was determined by adsorption stripping voltammetry. The optimum conditions in germanium determination were as following: deposition time; 120 sec, deposition potential; -0.9 volts vs. Ag/AgCl, and frequency; 100 Hz in $5.0{\times}10^{-2}M$ perchloric acid supporting electrolyte solution containing $8.0{\times}10^{-2}M$ catechol. Calibration curve was shown a good lineality in the range of 0.4 ppb to 2.0 ppm and the detection limit was 0.08 ppb.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in content of the cultivated hermit leaf according to growing district such as 29.7~385.7 ppm and the content of nontreated hermit leaf was higher than the processed health foodstuffs. The content of the Korean ginseng (5 years) was 83 ppm while the Korean herb of life was 214 pp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