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547건 처리시간 0.025초

Strategy for Application of Geospatial One-Stop (GOS) in Korea

  • Kyung Won-Choi;Kiyun Yu;Jung Ok-Kim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99-305
    • /
    • 2004
  • 지리정보시스템(GIS)의 구축으로 보다 효과적인 지형공간정보의 취득 및 관리와 분석이 용이해짐에 따라 정보의 활용과 사회적인 효과에 대한 관심과 요구 또한 증가하였다. 그 결과 공간정보의 접근, 사용 및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 차원의 공간정보기반(SDI)의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선진국들은 각국의 상황과 목적에 따라 세계공간정보기반(GSDI)의 구축$cdot$운영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의 Geospatial One-Stop과 유럽의 Geo-Portal이 있다. 이들 통합유통체계는 국제 표준을 준수하여 구축되고 있어 지리정보에 대한 표준화 및 상호호환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국가지리정보유통망, 해양GIS유통시스템, 위성영상정보 통합관리소 등 각 부서에서 독자적으로 유통체계를 구축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형공간정보의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유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유통체계인 Geospatial One-Stop (GOS)을 국내에 도입하기 위한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입방안은 기술과 정책의 두 가지 측면에서 고려되었으며, 표준화에 초점을 두고 국내의 유통체계와 미국, 유럽의 구축 사례를 비교$\cdot$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기반을 둔 GOS의 구축으로 정보의 용이한 검색 및 접근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지형공간정보의 대중화를 촉진함과 동시에 GIS선진국으로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 PDF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환경공간정보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by Environmental Spatial-Information Using Text-Mining Technology)

  • 오관영;이명진;박보영;이정호;윤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3-12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환경 분야의 환경공간정보 활용 연구 동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을 통하여 획득한 국내 논문으로 총 869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논문에서 추출된 단어들은 "환경일반", "기후", "대기", 등 환경 분야 10개, "위성영상", "수치지도", "재난재해" 등 환경공간정보 20개로 설정된 분류체계에 따라 재분류 되었다. 재분류된 분류 키워드를 통해, 논문에서 해당 키워드의 출현 빈도 및 시계열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상호 간 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환경 분야에서는 "환경일반"(40.85%)이 환경공간정보에서는 "위성영상" (24.87%)이 가장 높은 활용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환경 분야에 대한 시계열 분석 결과 1996년부터 2000년까지는 "기후"에 대한 연구 비중이 높았으나, 2001년부터는 "환경일반"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환경공간정보에서는 "위성영상"에 대한 수요가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높았으며, 활용 비율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환경 분야와 환경공간정보에 대한 연관분석 결과 총 80개의 연관 규칙이 생성되었으며, 환경 분야 중 "환경일반"이 "위성영상", "전자지도" 등 총 17개의 환경공간정보와 가장 많은 수의 연관 규칙을 생성하였다.

3차원 지하공간통합지도를 활용한 지하시설물 현장 측량 시스템 구축 및 적용 (Constrution and Applic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Survey System using the 3D Integration Map of Underground Geospatial Information)

  • 송석진;조해용;허현민;김성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64-173
    • /
    • 2021
  • 최근 도심지의 지반함몰 및 침하, 노후 지하시설물 파손 등 지하공간에 대한 안전 이슈가 증가하고 있어 지하시설물의 정확한 관리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취득하는 지하시설물 실시간 측량 데이터 또는 지하시설물 탐사 후 현장 측량으로 취득한 지하시설물 측량 데이터를 지하공간통합지도 상에 가시화하고, 측량성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지하공간통합지도 연계 현장 측량 성과 활용 기능을 사용하여 서울시 은평구 상수관로 매설공사 현장에서 토탈스테이션으로 획득한 측량성과를 지하공간통합지도상에 가시화 하고, 공간정보 성과파일로 변환 및 지하공간통합지도 모바일 센터로 전송하는 현장실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가 구축된 지역에서 측량성과를 활용하는 작업 절차를 검증할 수 있었으며, 향후 개선 방향을 검토할 수 있었다.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전자지도와 POI 정보의 매칭 방법 (Matching Method of Digital Map and POI for Geospatial Web Platform)

  • 김정옥;허용;이원희;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29
    • /
    • 2009
  • 최근 포털사이트 및 여러 분야에서 제공하는 지도서비스로 쉽게 공간정보를 이용할 수 있어 다양한 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의 통합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종의 공간정보를 통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간정보의 통합과정은 다른 제공기관에서의 공간정보 추출과 동일좌표계로의 변환 그리고 대응되는 공간객체쌍을 찾는 단계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마지막 단계인 실세계의 대응되는 공간객체를 매칭하는 연구를 중심으로, 전자지도와 POI와 같은 이종의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네 개의 매칭 종류와 그에 따른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이종의 공간객체에 대한 매칭을 위해 공간정보 및 부가적인 속성정보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는 것이다.

  • PDF

공간정보산업 해외진출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산업 간 융합 방안 연구 (Inter-Industries Convergence Strategies of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based on Cloud Computing Technologies for Overseas Expansion)

  • 임용민;이재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769-3777
    • /
    • 2015
  • 포화상태인 국내 공간정보산업시장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해외 진출이 필수적이나, 현재의 공간정보산업 해외 진출 방식은 시장 확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산업 간 융합을 통한 공간정보산업 해외 진출은 인접 ODA 재원을 활용한 해외 진출을 가능하게 하고 국제 경쟁력을 보유한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선진국 진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 확장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산업 간 융합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적합한 산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업간 융합을 위해서는 융합 용이성, 정보의 보안성, 열악한 인프라 극복, 다양한 수요 대응체계, 유지 보수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히고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융합 기반을 모색하였다. 융합 기반은 클라우드 기반의 공간정보 융합 공통 프레임워크, 공간정보-타 산업 간 융합 모델 및 융합 상품의 해외진출 지원체계로 구성하였고, 각각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formance Test Model for Intelligent Urban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 김은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3-31
    • /
    • 2011
  • 최근 u-City와 같은 신도시는 물론 기존 도시에서도 다양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면서, 이들 서비스간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의 보급 및 서비스 적합성 평가가 요구된다.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표준 확산을 목적으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를 일관성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이 필요하다. 이 평가모델 수립은 기존의 적합성 개념 검토 등 개념정의에서부터 출발하여 국내외 적합성 관련 사례조사 및 분석을 토대로,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및 서비스 표준체계에 입각하여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을 제시하였다. 이어 구체적으로 상황인지 상수도 상수유량모니터링에 이를 적용해 봄으로써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확산 및 서비스 적합성 평가모델의 적용방향을 모색하였다.

거주인구의 시공간 변화 및 영향요인 분석: 전라북도 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Spatio-temporal Patterns of Popula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in Jeonju)

  • 양지철;김주애;조국;이상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51-258
    • /
    • 2023
  • This study (1) explored spatio-temporal population distribution patterns in Jeonju by using emerging hot spot analysis and (2) identified the influential factors to determine the spatio-temporal patterns by using multinomial logit model.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merging hot spo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100*100m grid in the urban area of Jeonju was found to have a category of hot spots, whereas most of the cold spot series was concentrated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Also, new towns such as Jeonju Eco City, Jeonbuk Innovation City, and Hyocheon District were persistent or intensifying hot spots, Third,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t model reveal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deterrmining the spatio-temporal patterns were accessibility to schools, hospitals, parks, and walfare services. This study offered a deeper understanding of urbanization and regional changes in Jeonju, and important information for urban planning.

공간 위계별 공간정보 융·복합 추진방안 (Realization Strategy of Convergence GIS based on Spatial Hierarchy)

  • 조춘만;황성남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83-91
    • /
    • 2013
  •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에 따라 실시간성, 이동성 및 맞춤성 등의 특성으로 대표될 수 있는 오늘날 스마트 사회에서는 공간정보 분야가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적 필요성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공간정보는 모든 사람활동의 기반이 되는 매우 중요한 기반인프라로서 정보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사회적 기반(Social Infrastructure)으로까지 승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이미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콘텐츠와 기기 등이 결합된 융복합 공간정보 관련 제도기반으로서 공간정보산업진흥법이 마련되어 있다(법제2조7항, 법제4조5항). 그러나 보다 구체적으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명확한 정의 및 세부 지원방안 등이 향후 발전과제로 남이 있다. 이상과 같은 시대적 배경 하에 본 연구수행의 목적은 스마트사회에 요구되는 공간정보서비스로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추진방향과 실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최근 공간정보 수요는 글로벌, 국가 및 지역 등 다양한 공간위계에서 융복합화의 필요성이 재기되고 실제 실행서비스들이 구현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직적 공간위계별로 스마트사회의 특성과 공간정보의 역할변화를 고찰하고, 사회적 수요에 대응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의 기본방향과 실현방안을 제시하였다.

복합 공간데이터베이스 적용을 통한 해안 시설영역 지진 유발 지반재해의 가시적 평가 (Visible Assessment of Earthquake-induced Geotechnical Hazards by Adopting Integrated Geospatial Database in Coastal Facility Areas)

  • 김한샘;선창국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171-180
    • /
    • 2016
  • Earthquake event keep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recent cases of earthquake hazards invoke the necessity of seismic study in Korea, as geotechnical earthquake hazards, such as strong ground motion, liquefaction and landslides, are a significant threat to structures in industrial hub areas including coastal facilities. In this study, systemized framework of integrated assessment of earthquake-induced geotechnical hazard was established using advanced geospatial database. And a visible simulation of the framework was specifically conducted at two coastal facility areas in Incheon. First, the geospatial-grid information in the 3D domain were constructed with geostatistical interpolation method composed of multiple geospatial coverage mapping and 3D integration of geo-layer construction considering spatial outliers and geotechnical uncertainty. Second, the behavior of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s were assessed by incorporating the depth to bedrock, mean shear wave velocity of the upper 30 m, and characteristic site period based on the geospatial-grid. Third, the normalized correlations between rock-outcrop accelerations and the maximum accelerations of each grid were determined considering the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characteristics. Fourth, the potential damage due to liquefaction was estimated by combining the geospatial-grid and accelerations correlation grid based on the simplified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evaluation method.

고품질 공간정보를 이용한 토석류 분석을 통한 산사태위험지도의 갱신방안 - 춘천지역을 중심으로 - (An upgrade of Landslide Hazard Map with Analysis of Debris Flow using High-Quality Geospatial Information)

  • 양인태;유영걸;박건;박재국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춘천지역을 대상으로 집중호우에 의해 발생된 산사태 및 토석류에 대한 분석을 위해 고해상도 디지털항공사진영상과 항공 LiDAR 자료를 이용하여 생성된 고품질 3차원 공간정보를 활용하였다. 또한 산사태 발생 지역에 대한 기존 산사태 위험등급도와 산사태 관련인자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으며 집중호우에 의해 토석류를 동반한 산사태 피해가 많이 발생된 지역을 대상으로 토석류의 분석결과를 검토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의 산사태 위험지도를 효과적으로 갱신하고 산사태 위험지역에 대한 관리에 고품질 공간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