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547건 처리시간 0.039초

Basic Elements and Implication of Software Metadata in the Intelligent Geospatial Web

  • 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59-569
    • /
    • 2009
  • During over decades, metadata on spatial data have been developed, and they have been widely applied at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metadata standards such as file structure, format, and data model. However, in the web 2.0 paradigm toward user participation and openness, sources and contents of geospatial products are also diversified, not being limited to well-organized and structured data sets or databases. Especially, software products in both open source software and commercially packaged software are considered into important resources in the geospatial domain. But there are no reports or studies regarding software metadata from the side of software engineering or information technology, till now. The motivation of this study is based on practical needs to build search engine in the intelligent geospatial web. Brief review on current metadata standards is presented, and necessity for software metadata is discussed as well as related works. Basic elements, initially considered, of software metadata are presented. This work is the first attempt for software metadata, although it just covers geospatial software products. Further practical works to meet industrial demands need to actual applications of software metadata.

공간정보산업 해외진출을 위한 산업 간 융합 방안 연구 (Inter-Industry Convergence Strategies of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for Overseas Expansion)

  • 정진도;사공호상;이재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5-119
    • /
    • 2015
  • 포화상태인 국내 공간정보산업시장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해외 진출이 필수적이나, 현재의 공간정보산업 해외 진출 방식은 시장 확장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산업 간 융합을 통한 공간정보산업 해외 진출은 인접 ODA 재원을 활용한 해외 진출을 가능하게 하고 국제 경쟁력을 보유한 산업과의 융합을 통한 선진국 진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 확장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산업 간 융합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먼저 복수의 해외 국가에 대한 상세 현황 조사를 수행하여 개발도상국 및 선진국의 수요를 분석하였다. 수요 분석 결과 산업 간 융합을 위해서 는 융합 용이성, 표준에 기반한 정보의 보안성, 열악한 인프라 극복, 다양한 수요 대응체계, 유지 보수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히고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술적/방법론적/법제도적 융합 기반을 모색하였다.

과학적인 산림자원관리를 위한 해외 산림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동향 조사 (Research on the Trend of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Overseas Forest Geospatial Information for Scientific Forest Resource Management)

  • 박준규;이근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377-382
    • /
    • 2021
  • 산림자원관리의 선진화를 위해서는 산림 관련 산업 종사자의 고령화와 인력 중심의 현장조사 체계 등의 문제해결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인 산림자원관리를 위해 최신 기술이 적용된 해외 산림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동향을 조사하여 국내 적용 방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외에서는 산림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에 사진측량 및 LiDAR 기술이 활용되고 있었다. 사진측량의 경우 식생의 체적, 흉고직경, 수고 측정 등에 이용되었으며, LiDAR는 흉고직경 및 수고 측정에 적용된 사례가 있었다. 해외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진측량 및 LiDAR를 활용한 산림공간정보 구축방안을 파악하였으며, LiDAR가 사진측량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LiDAR 센서를 이용한 산림공간정보의 구축을 수행하고, 정확도 및 작업 효율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산림공간정보 구축에 있어 새로운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무인항공 영상을 이용한 공간정보 응용 시스템 활용 방안 (Applic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Image)

  • 이근왕;박준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01-206
    • /
    • 2019
  • 우리나라는 공간정보 활용을 위해 업무별 공간정보 응용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나 정보에 대한 공유 및 활용도가 낮아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공간정보 시스템의 공동활용을 위한 체계 구축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간정보 응용 시스템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고, 무인항공 영상을 이용한 공간정보 응용 시스템의 공동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기존의 공간정보 응용 시스템의 기능이 대민서비스에 집중되어 있고, 행정부서 간 데이터 공유 및 활용이 어려운 실정임을 파악하였다. 또한, 공간정보 응용 시스템의 공동활용을 위해 무인항공영상 기반의 임차 및 전용면적 차이 산출, 무단 점유지 정보 확인 등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공간정보 응용 시스템 공동활용을 위한 벡터 표시, 면적계산, 보고서 생성 등 추가 기능을 도출하였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공간정보 응용 시스템의 기능 추가가 이루어진다면 관련 분야의 현장실태조사 및 정책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공간정보 분야의 경험이 없는 비전문가도 정확도 높은 공간정보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WebGIS 기반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위한 지리공간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Geospatial Simulation Framework for WebGIS-based Simulation System)

  • 이성규;김영섭;최철웅;서용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119-131
    • /
    • 2010
  • 연구자가 공간자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자료 포맷 분석, 리포맷팅, 지도투영 변환 등의 반복된 작업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자와 함께 웹 기반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공간자료를 이용하는 웹 기반의 시스템에 적절한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가 없어 효율적인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지리 공간 시뮬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제안하였다. 프레임워크의 모듈은 웹 매핑 서비스,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매핑, 통계, 모델, 프로세싱, 그래픽, 공간 데이터세트 등 7개의 모듈로 구성되었다. 프레임워크의 효율성 평가를 위해 도시 성장을 사례로 검증하였으며, 공간정보분야에 전문지식이 없는 비전문가라도 공간자료를 활용한 웹 기반의 시스템 구축이 쉬울 것으로 생각한다.

지방자치단체 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지능형 상.하수도 관리시스템 연계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telligent Water and Sewer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Urban Underground Facilities by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 김정훈;조춘만;한재일;이미숙;오효경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춘계학술대회
    • /
    • pp.217-226
    • /
    • 2008
  • 최근 들어 U-City 구축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대다수의 지자체에서는 U-City건설지원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U-도시기반시설의 서비스 모델을 정립하고 체계화 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중 공간정보 수요가 높은 도로, 상 하수도 시설물은 국토해양부의 주관하에 90년말부터 현재까지 매칭펀드 사업을 통해 DB 및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유도해 왔다. 그러나 정부차원의 이러한 사업이 지자체 지리정보 담당부서와 지하시설물 관리 담당 공무원들 중심으로 단순히 공간정보의 조회 및 편집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어 활용에 대한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토해양부에서 주관하고 있는 '지능형 도시 지하시설물 관리 기술 개발' R&D 사업을 통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기존 상 하수도 단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조회 및 편집기능이외에도 USN 및 RFID를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지능화된 지하시설물 관리업무를 도출하고, 기존 상 하수도 단위시스템과의 연계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regulation Necessity for the Invigoration of Drone Utilization in the Geospatial Information Field

  • Heo, Joonghyeok;Park, Joonkyu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51-357
    • /
    • 2022
  • In this study, a direction for deregulation that can increase the use of drones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is presented. Regulations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drone operation showed similar procedures in Japa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such as reporting flight equipment, driver's license, and prohibition of flying within a specific flight zone. In the United States, policies to encourage the use of commercial drones have been implemented, and Japan has slightly tightened regulations on drone operation to protect the Olympics and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area where drone operation is restricted for geospatial data construction, Korea was setting the largest area, and GIS analysis showed that Korea's drone flight restricted area was more than 19.4% of the country's land area.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drones i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drone flight restriction zone and reduce the area of the drone flight restriction zon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has formal and specific regulations on geospati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truc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drones, it is necessary to ease GSD (Ground Sample Distance)regulations.

공간정보 분야의 원격대학 교육과정 개발 (Curriculum Developments of Geospatial Information Studies for the Cyber University)

  • 서동조;이성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912-922
    • /
    • 2009
  • 정부는 '국가GIS기본계획'과 관련 법률을 통하여 공간정보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특히 온라인 교육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성인에 대한 재교육 기관으로서, 실용도 높은 온라인 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원격대학을 통해서는 공간정보의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원격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의 교육과정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은 전문성에 따라 기초, 응용, 심화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개념적 기초 이론을 토대로 시스템 개발 및 구축, 주제도 제작 및 공간자료 구축, 분석 도구의 실습 및 활용 등 세 가지 트랙으로 분류하여 제시되었다. 기초 개념에서부터 최신의 유용한 신기술을 반영하였으며, 모듈화된 구조로 되어 있어 교육 수요의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능형 도시 공간정보 서비스제공을 위한 상황인지 기술동향 및 개발전략 (The Trends and Strategies of Context-Aware Technology for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and Service)

  • 김은형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101-107
    • /
    • 2010
  • 상황인지(context awareness)기술은 유비쿼터스 컴퓨팅환경의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핵심기술이다. 상황인지기술은 상황정보 모델링 기술과 상황정보 센싱기술, 상황인식 서비스 미들웨어기술 등 다양하다. 특히, 상황정보를 모델링하고 추상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온톨로지(ontology)가 매우 유용하다. 온톨로지를 통해 다양한 도메인이나 환경에서 유연하게 상황을 분석,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는 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이런 기존의 상황인지기술 및 이를 위한 온톨로지 개발 동향을 파악, 지능형 도시 공간정보 서비스제공을 위한 개념적 아키텍쳐를 수립하고, 이에 근거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및 개발전략을 제시하였다.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분석 (Value Chain Analysis of Geospatial Web Service for VGI Application)

  • 최원욱;홍상기;안종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73-87
    • /
    • 2014
  • 일반적으로 공급중심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은 정보의 최신성, 다양성, 활용성의 한계를 수반한다. 최근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웹서비스에 사용자 경험과 참여기반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를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VGI를 지원하는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10C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또한 10C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참여를 통하여 VGI를 생산하는 23개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가치사슬체계를 분석하였다. 가치사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VGI의 생산, 수집, 전달, 이용 측면에서 공공 공간정보의 가치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