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morphological order ratio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초

안면도 바람아래 할미섬 주변의 시계열적 침식·퇴적환경 변화 분석 (A Time-Series Analysis of the Erosion and Deposition around Halmi-island, Baramarae)

  • 유재진;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7-60
    • /
    • 2016
  • In this study, datum points measurement have been collected and then weather data have been analyzed to figure out erosion and deposition environmental change around Halmi-island, Baramarae. First of all, it was difficult to analyze geomorphological change which is caused by climate change because of quite short term of collection period of data. However, differences in spatial distribu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have locally been shown. In all season, the wind is blowing in north and north-west direction mostly except in summer which is shifted to south direction. However, since its ratio which are above 5m/s is much lower than the north and north-west wind, its effect on geomorphological process is very tiny. In order to look at a tendency of erosion and deposition environmental change around Baramarae Halmi-island, the periphery of Halmi-island was classified to east and west part, then accumulated erosion and deposition values have been calculated. As a result, generally, the datum points are located in the west part which are mostly depositional sites. On the other hand, the datum points are located in east part showed the dominant erosion patterns.

GIS 기반 우도비를 이용한 호남지역 암괴류와 애추지형의 분포 특성 분석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Block Stream and Talus Landform by Using GIS-based Likelihood Ratio in the Honam Region)

  • 장동호;김찬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4
    • /
    • 201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properties of the locational environment for each debris type by calculating likelihood ratio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ributions for each type of debris landform. A total of 8 thematic maps, like as elevation, slope, aspect, curvature, topographic wetness index (TWI), soil drainage, geology, and landcover including with GIS spatial information generally used in this type of debris landform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block stream had a high likelihood ratio compared to talus in areas with relatively high elevation; and concerning slope, the block stream had a high likelihood ratio in a relatively low region than talus. Concerning aspect, a clear correlation could not be analyzed for each debristype, and concerning curvature, the block stream displayed a developed slope on the more concave valley than the talus. Analysis concerning TWI, the block stream displayed a higher likelihood ratio in wider sections than talus, and concerning soil drainage, the talus and block stream both displayed a high likelihood ratio in regions with well-drained soil. The talus displayed a high likelihood ratio in the order of metamorphic rocks, sedimentary rocks, and granite, while the block stream displayed a high likelihood ratio in the order of volcanic rocks, granite, and sedimentary rocks. In addition, concerning landcover, the likelihood ratio had the most concentrated distributed compared to natural bare land only concerning talus. Based on the likelihood ratio resul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xtracting the possible areas of distribution for each debris type through the GIS spatial integration method.

지형학적 순간단위도(GIUH)에 의한 강우-유출해석 (A Study on Rainfall-Runoff Analysis by Geomorphological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IUH))

  • 최흥식;박정수;문형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49-58
    • /
    • 2006
  • 본 연구는 미계측이나 자료가 결핍된 유역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역의 지형학적 매개변수를 얻어 유도된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에 의한 강우-유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횡성댐 상류 섬강시험유역에서 얻어진 실측자료를 사용하였고, 직접유출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변기울기법을 이용하였다. 아울러 4차 하천유역인 섬강시험유역은 Horton-Strahler의 차수법칙에 따라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발달한 수계임을 확인하였다. GIUH의 사용에 따른 섬강시험유역의 규모계수 결정식의 변형을 하였고, 유출특성속도는 1.0m/s으로 나타났다. 4차 하천유역인 섬강시험유역의 출구인 매일교수위국과 3차 하천유역의 출구인 소군교와 농거리교수위국에서의 GIUH에 의한 수문곡선은 첨두시간이후의 유역의 저류능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나, 실측값과의 비교에서 잘 일치하였다. 아울러 유역을 보다 세분화하여 적용한 GIUH모형에 의한 수문곡선을 상류유입수문곡선으로 하여 HEC-HMS를 이용하여 수문 추적한 결과가 전체유역을 대상으로 한 GIUH모형에 의한 수문곡선보다 실측치에 잘 일치하였다. 전반적으로 GIUH에 의한 강우-유출해석은 미계측 유역에 사용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애추 분포 가능지역 추출 -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중심으로 - (Extraction of the Talus Distribution Potential Area Using the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 Focusing on the Weight of Evidence Model -)

  • 유재진;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3-147
    • /
    • 2014
  • 애추와 같이 인간의 접근이 쉽지 않은 지형의 현장조사에서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실제 현장조사 전에 대상 지형자원의 범위를 줄이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형자원의 현장조사 범위를 줄이기 위해 기존 지형의 위치와 기타 GIS 정보 사이의 관계를 확률로 표현하는 자료유도형(target-driven) 공간통계기법인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적용하였다. Weight of Evidence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애추와 관련된 지형요소를 선정한 후 지형요소와 GIS 정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근거로 우도비를 산출하였다. 각각의 주제도에 대한 경우의 수를 산정한 후, SRC 및 AUC 방법을 이용하여 애추 분포 가능지수가 가장 큰 조합을 찾았다. 애추 분포 가능지수가 가장 큰 주제도의 조합은 사면향도와 지질도, 경사도, 토지피복도, 유효토심도, 토양배수도의 조합으로, 애추 분포 가능지 면적비가 74.47%로 나타나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제주도 스코리아콘의 유출 특성 - 어승생오름 소유역을 사례로 - (Runoff Characteristics of a Small Catchment in Eoseungsaeng-oreum, Jeju Island)

  • 김태호;안중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5-65
    • /
    • 2008
  • 한라산 어승생오름에서 수문 관측을 실시하여 제주도 스코리아콘 소유역의 유출 특성을 규명하였다. 실험유역은 면적이 5.1ha이며, 식생은 서어나무와 졸참나무가 우점하고 있다. 실험 유역에서는 전 기간에 걸쳐 유출이 발생하였으며, 기저 유출은 4월부터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10월 이후에 다시 감소하였다. 강우량이 현저하게 작거나 선행 강우가 없는 일부 강우 이벤트를 제외하면 강우 발생시에는 대부분 유출의 피크가 출현하였다. 또한 하이드로그래프의 상승 곡선과 하강 곡선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섬광적인 유출 특성을 보이며, 지체 시간도 매우 짧아 평균 35.8분에 불과하다. 연속 강우량이 증가하면 빠른 유출 성분의 유출률도 증가하나, 그 증가율은 크지 않고 최대 유출률도 24.7%에 불과하다. 또한 68.3%의 강우 이벤트에서 빠른 유출 성분의 유출률은 1%를 넘지 못할 만큼 총강우량에 대하여 빠른 유출 성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높지 않다. 비교적 지속 시간이 긴 강우 이벤트에서는 측방침투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는 완만한 2차 피크도 출현하였다. 이런 유출 특성에는 실험 유역의 국지적인 불투수층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스타그램 해시태그(Hashtags) 분석을 통한 방문객들의 지오사이트 인식에 대한 분석 (Understanding Visitor's Recognition of Geosites by Analyzing Instagram Hashtags)

  • 박민영;박경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3-104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wo fold: firstly, we analyzed how the Geoparks have been run since the first one had been designated on December 31th, 2015. We then investigated how visitors' geographical and geological recognitions on the parks have changes. We visited geosites and investigated how well these sites accorded with the conditions for running Geoparks. In addition, scenery pictures and hashtags uploaded in Instagram between 2015 and 2016 were collected in order to analyze visitors preferences on the geosites along the, Hantan Imjingang River Geopark. Results showed that the hotspots were Bidulginang Waterall, Art Valley, and Jaein Waterfall. Compared to the ratio of geographical and geological references in 2015, the hashtags in all of these three geosites increased. The increases were as much as 3% in Bidulginang Falls, 0.6% in Art Valley, and 5% in Jaein Falls. In labelling the geographical and geological terms in Bidulginang Falls and Jaein Fall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hashtags was "columnar joint", followed by "natural monument", "Geopark", and "basalt canyon". This study includes the study of visitors recogni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ut somehow neglected factor for the geopark's management.

한강 유역의 형태학적 특성과 강우-유출의 상관분석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Rainfall-runoff in the Han River Basin)

  • 이지행;이웅희;최흥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237-247
    • /
    • 2018
  • 유역 특성은 유역과 하도망의 지형학적인 구성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유출 특성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형태학적 특성과 유출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한강 유역의 19개 하천의 27개 지점을 대상으로 유역 형태학적 특성을 Arc-map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하천 형태학적 특성은 선형, 면적, 기복 측면으로 구분하여 산정하였고, 강우에 의한 유역의 반응인 연평균 유출률은 실측 강수량과 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각각의 형태학적 매개변수에 대한 상관을 도식화하고, 상관특성을 분석하였다. 길이비, 형상계수, 형상인자, 면적비, 기복비, 함몰도에 의한 연간 유출률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식을 제시하였고, 결정계수는 0.691로 나타났다. 실측과 회귀분석식에 의해 계산된 연간 유출률과의 RMSE와 MAPE는 각각 0.09, 11.61%로 나타나 비교적 정확히 예측하였다.

한반도 고해수면 변동 복원을 위한 규조-환경변수 상관관계 연구: 곰소만 동부 조간대 지역을 대상으로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Diatom and Environmental Variables for Palao-Sealevel Reconstruction in the Korea Peninsula: Case Study of the Eastern Tidal Flat of Gomso Bay)

  • 김정윤;윤순옥;양동윤;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9-90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atom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tidal flat surface of the eastern part of Gomso Bay in the West coast of Korea in order to utilize the quantitative sea level record as a basic data. 24 sediment samples at 10cm intervals downstream of the Galgok Stream were used for diatom analysis, grain size analysis and CCA. As a result of diatom analysis, marine diatoms dominated at lower altitudes and the ratio of diatoms to fresh water diatoms and brackish diatoms increased toward upland. As a result of CCA, the contribution of environmental variables was analyzed as 25.3% at altitude, 21.6% at sand, 13.3% at skewness, etc. This means that altitude above sea level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diatom composition in the tidal flat surface. It suggests that the contribution of environmental variables at altitude above sea level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quantitative records for reconstruction of paleo-sea level.

하천의 프랙탈 특성을 고려한 지형학적 순간단위도 개발(I) (Development of a GIUH Model Based on River Fractal Characteristics)

  • 홍일표;고재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2권5호
    • /
    • pp.565-577
    • /
    • 1999
  • 프랙탈 기하학은 불규칙적이고 복잡한 자연 현상을 수학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자기상사성을 가지고 있는 하천의 형상을 비롯한 하도망의 구성은 프랙탈 차원을 가지고 있는 프랙탈 현상이라 할 수 있다. GIUH란 유역의 수문학적 응답인 IUH에 하천의 지형학적인 특성을 적용한 강우-유출 모형으로, Horton의 차수비를 이용하여 지형학적인 특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하천 유역에서 프랙탈 차원은 길이비, 면적비, 분기비 등 Horton의 차수비를 이용하여 산정할수 있다. 프랙탈 GIUH 모형을 제시하였다. 프랙탈 GIUH 모형은 Rosso(1984)가 제시한 GIUH-Nash 모형의 형상계수와 규모계수 등의 매개변수 산정시 유역의 자기상사성을 대변할 수 있는 프랙탈 차원을 직접 적용하였으며, 하천의 길이비와 분기비 만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 PDF

수자원 단위지도를 기반으로 한 북한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khan River Basin based on Hydrologic Unit Map)

  • 박근애;권형중;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3B호
    • /
    • pp.241-251
    • /
    • 2006
  •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하천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및 하천과 관련된 지형적 수문학적 특성인자들의 신속하고 정확한 추출이 요구된다. 최근, 원격탐사기법과 GIS기법이 도입으로 이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 기법들을 이용하여 여러 활용 가능한 자료들을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강유역을 대상으로 GIS기법에 의해 1:5,000 NGIS자료로부터 추출하여 DEM과 하천망을 생성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하천특성인자와 유역특성인자들을 추출함으로써 단위유역별 지형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상유역을 상류, 중류, 하류 지점으로 구분하여 지형학적 인자를 추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선형 및 비선형 회귀곡선을 이용하여 그 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전체유역 뿐만 아니라 상류, 중류, 하류 유역에 특별히 영향을 끼치는 하천특성인자 및 유역특성인자를 구별해 낼 수 있었다. 그 결과 하천특성인자는 전체유역, 상류, 중류, 하류 유역 모두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고, 유역특성인자 중 전체유역, 상류, 중류, 하류 유역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인자는 유역면적에 대한 총하천연장과 하천총수 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