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logical age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7초

화성 연안의 중세온난기 이후 해수면 변동에 연동된 침식·퇴적 흔적 연구 (A Study on the Erosion and Sedimentation Traces According to the Sea Level Changes Since the Medieval Warm Period in the Hwaseong Coast)

  • 양동윤;한민;김진철;박수정;임재수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9-54
    • /
    • 2019
  • In this paper, based on evidence of coastal sediment, we show that erosion and sedimentation environments are very sensitive to sea level changes during the Medieval Warm Period (MWP) and the Little Ice Age (LIA). We identified four sedimentary units(4.57-3.07m), which formed in the Dark Age Cool Period (DACP), MWP and LIA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lithostratigraphy, grain size distribution, magnetic susceptibility and geochemistry of a drilling core taken from the west coast of Hwaseong City. The unconformity surfaces as boundaries of the units were also identified by the lithostratigraphy shown on the drilling core. We propoese that sedimentation was dominant in the area during the periods of sea level rise, whereas erosion prevailed during the periods of sea level fall. Particularly, extreme events, such as floods and typhoons are believed to have accelerated these processes, and we found the associated evidence in sediments of two units. This study provides an example of estimating the relative sea level variation using coastal sediments and may be useful for studying past sea level chang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옥천층군(沃川層群)의 지질시대(地質時代)에 관(關)하여"에 대(對)한 회답(回答) (Reply to the Article "On the Geological Age of the Ogcheon Group" by C.M. Son)

  • 김옥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3권3호
    • /
    • pp.187-191
    • /
    • 1970
  • There is a discrepancy in opinion regarding geological age of Okchon system among professor C.M. Son and the writer who represent the two school of thought in precambrian stratigraphy in Korea as a whole. This brief article is a reply to the recent paper by C.M. Son titled "On the geological age of the Ogcheon Group" The discrepancy in opinion on the age Okchon system is based mainly on the difference in opinion about the age of Majeonri, Hwachonri and Kounri formations, the age of which professor Son believes as post-ordovician and regards them as a part of the Great Limestone series and the base of the Ogchon Group. The writer is in a opinion that Okchon system belong to precambrian in age and Majeonri-, Hwachonri-, and Kounri formations are the same formation composing an upper member of Okchon system. The writer's opinion is based on the facts that i) stratigraphical sequence of Okchon system established by the writer was accepted by C.M. Son who used believed the reverse order in sequence and confessed his mistake in his article; and ii) regional stratigraphy and structure strongly support's to writer's opinion. The writer pointed out and discussed in this paper various facts which do not support Son's idea by any means.

  • PDF

GEOLOGICAL AGE AND THICKNESS ESTIMATION OF LAVA AT MARE CRISIUM BY LUNAR SURFACE GIS

  • Kazama, Yoriko;Matsunaga, Tsune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333-336
    • /
    • 2007
  • SELENE, a Japanese lunar mission, has been launched this year. There are large volumes of images that were already archived and will be archived by missions such as SELENE. Automatic image analysis systems, which extract useful information from large amounts of data, are now required. The authors propose Lunar Surface GIS, which archives lunar surface information collected by lunar orbiting spacecraft and conducts geological analysis automatically. This system includes automatic crater detection, automatic age determination, and lava thickness estimation methods. In this paper,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age and estimating the lava thickness of lunar mare are described. The lunar surface age was determined by analyzing data of detected crater size and number using a crater chronology method. Lava thickness was estimated by the extent of the overlying material around the crater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underlying terrain units. In this result, the age map at Mare Crisium suggests the mare had been formed 3.0-3.7 b.y. ago. The lava thickness result suggests the thickest part of the mare is distributed around the center of the mare. The Lunar Surface GIS can produce a geological map, age map, and mare lava thickness map, for example.

  • PDF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 및 불신 연구: 지질자원기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rust and Distrust on Science and Technology: Focusing on Geological Resource Technology)

  • 김찬석;이현선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6호
    • /
    • pp.605-616
    • /
    • 2019
  • 본 연구는 과학기술에 대하여 우리 사회가 갖는 신뢰와 불신 인식을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와 불신을 살펴보는 것과 동시에 지질자원기술에 대하여 신뢰와 불신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기술과 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신뢰와 불신의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지질자원기술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서 근무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남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과학기술 및 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신뢰와 불신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응답자들은 과학기술 및 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신뢰를 보통 수준 이상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라서는 과학기술 및 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신뢰 및 불신에 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기술과 지질자원 기술에 대한 신뢰 및 불신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응답자들은 지질자원 기술보다 과학기술에 대한 신뢰도 점수가 좀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영남육괴 중부에 분포하는 해인사화강암의 SHRIMP U-Pb 저어콘 연대 (SHRIMP U-Pb Zircon Ages of the Haeinsa Granite from Central Part of the Yeongnam Massif)

  • 김선웅;최정윤;김진섭
    • 암석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1-407
    • /
    • 2016
  • 영남육괴 중부에 분포하는 시대미상의 해인사화강암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거창군 일대의 해인사화강암에서 채취한 7개의 시료에 대한 연대 측정 결과, 5개 시료에서는$192.4{\pm}1.4{\sim}195.5{\pm}1.9Ma$로 대부분 오차범위 내에서 중첩되는 결과를 보이는 반면, 시료 H-11과 12의 시료에서는 각각 $187.7{\pm}3.3Ma$, $188.2{\pm}3.6Ma$의 연령을 보여 비교적 젊은 시기를 지시한다.

강원도(江原道) 임계지역(臨溪地域)의 지질구조(地質構造)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Imgye Area, Kangweondo, Korea)

  • 김정환;기원서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1호
    • /
    • pp.43-55
    • /
    • 1991
  • The Imgye area, in the NE Taebaegsan Region, consists of Precambrian granites and schist complex at the base and Paleozoic sedimentary rocks and amphibolite at cover. The granites in the area were previously thought to be Paleozoic in age, but recent geochronological data yields isotopic age ranging from $1837{\pm}82Ma$ to $2108{\pm}82Ma$ by Rb-Sr whole rock method. Therefore, basement-cover relations in the area should be reexamined. During the study, mylonite zone recognized along the contact boundary between Precambrian granites and Cambrian Jangsan Quartzite Formation. Mylonite zone has 150 - 250 m in width. Mylonitic rocks can divide into two groups; quartz mylonite derived from Jangsan Formation and mylonitic granites from Precambrian granites. Intensity of mylonitic foliation decreased toward the north. Amphibolite occurs as an intrusive sills within mylonite zone. Mineral fabrics and small scale shear zones are commonly seen in amphibolite. It indicates that intrusive age of amphibolite is synchronous to the formation of mylonite zone. Mylonite zone was reactivated as ductile thrust faults and forms the hinterland dipping imbricate zone during the Cretaceous Bulkuksa Orogeny. The near parallelism of mineral stretching lineation and long axis of strain ellipes indicates that the area is affected by a homogeneous pure shear flattening together with the variable components of simple shear.

  • PDF

국외 심지층 처분장 부지선정기준 분석 (I) : 지질 (Analysis of Siting Criteria of Overseas Geological Repository (I): Geology)

  • 정해룡;김현주;김민정;정재열;정의영;이은용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05-31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심지층 처분장 부지선정 시에 고려되는 요소를 지질, 수리지질, 지화학 등으로 분류하고 그 첫 번째 단계로 지질분야의 세부 항목을 지형, 토양층, 암종, 구조지질, 역학적 안정성, 지질학적사건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항목에 대한 국외 기준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지선정요소(Siting factor)에 대한 기준(Criteria)은 각 국가의 처한 지질환경에 따라 다른 조건 혹은 값을 제시하고 있다. 화산 및 지진활동이 빈번한 일본에서는 이에 대한 기준을 상대적으로 자세히 기술하고 있으며, 빙하작용이 예상되는 스웨덴에서는 빙하작용에 의한 지반 융기 침식에 대한 영향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 결과는 향후 국내의 심지층 처분장 부지선정 기준 수립시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동남부 마이오세 포항분지 내 달전현무암의 층서적 의미 (Stratigraphic Implication of the Daljeon Basalt in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 송철우;김현정;김종선;김민철;손문
    • 암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3-335
    • /
    • 2015
  • 달전현무암은 포항분지의 발달사 해석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나 야외 산상, 층서적 위치, 동위원소 연대 등에서 연구자들 간에 많은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란을 해결하기 위해 상세한 야외조사를 통해 이 암석의 분포와 연일층군과의 접촉관계를 밝히고 지화학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40}Ar/^{39}Ar$ 동위연소 연대를 측정하였다. 달전저수지 주변에는 연일층군과 관입접촉 관계를 가지는 3매의 현무암체와 10여 개의 소규모 암맥과 암상이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경하관찰에서 이들은 감람석과 휘석을 반정으로 하는 반상조직을 보이며 기질은 사장석, 감람석, 휘석 등으로 구성된 알칼리 현무암의 특징을 보인다. 기존 지화학 분석결과를 재구성한 결과, 3 매의 암체와 소규모 관입암들은 TAS 도표, 미량원소와 희토류원소 패턴, Zr-Ti 도표상에서 모두 동일한 지화학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모두 알칼리 계열로 도시되며, 부화된 해양성 현무암 또는 지판 내의 알칼리 현무암과 유사한 원소별 패턴을 보인다. 또한 $^{40}Ar/^{39}Ar$ 동위연소 연대측정 결과, 13.82 Ma의 등시선 연대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종합하면, 달전현무암은 알칼리 현무암으로써 층서적으로 연일층군을 관입한 포항분지 충전물에 속하는 것으로 결론지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