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id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1초

Geoid of Western Mongolia from airborne gravity data 2004

  • Forsberg, Rene;Olesen, A.;Dalkhaa, Munkhtsetseg;Begzsuren, Amarzaya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5년도 아시아 태평양 국제 GSIS 학술발표회
    • /
    • pp.93-99
    • /
    • 2005
  • This paper summarizes a preliminary geoid computation for western Mongolia, utilizing the airborne data collected fall 2004, as part of the NGA-DNSC-ALAGaC-MonMap cooperative airborne gravity project. A gravimetric geoid has been computed using the airborne gravity data, SRTM terrain models and GRACE/EGM global fields. The gravimetric geoid has subsequently been fitted to GPS-leveling data across Western Mongolia, as well as for a special Ulaanbaatar city geoid model.

  • PDF

항공라이다데이터 정표고 변환을 위한 정밀지오이드 모델 이용 (Utilizing Precise Geoid Model for Conversion of Airborne LiDAR Data into Orthometric Height)

  • 이원춘;위광재;정태준;권오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1-357
    • /
    • 2011
  • 연구에서는 라이다 데이터의 정표고 변환 작업에 있어서 정밀 지오이드 모델의 활용 가능성 및 항공라이다 측량 작업을 위한 최적 지오이드 모델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KGEOID08, EGM2008, EIGEN-CG03C 모델을 대상으로 하여 여기서 산출된 지오이드고와 실측을 통해 계산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를 비교 분석한 결과 0.152m의 RMSE를 나타낸 KGEOID08 모델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KGEOID08 모델을 사용하여 라이다 데이터의 정표고 변환 작업을 수행할 경우, 이를 위해 필요한 기준점의 배치 및 수량 등의 기준점 선점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Geoid Determination in South Korea from a Combination of Terrestrial and Airborne Gravity Anomaly Data

  • Jekeli, Christopher;Yang, Hyo Jin;Kwon, Jay Hyoun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6_2호
    • /
    • pp.567-576
    • /
    • 2013
  • The determination of the geoid in South Korea is a national imperative for the modernization of height datums, specifically the orthometric height and the dynamic height, that are used to monitor hydrological systems and environments with accuracy and easy revision, if necessary. The geometric heights above a reference ellipsoid, routinely obtained by GPS, lead immediately to vertical control with respect to the geoid for hydrological purposes if the geoid height above the ellipsoid is known accurately. The geoid height is determined from gravimetric data, traditionally ground data, but in recent times also from airborne data. This paper illustrates the basic concepts for combining these two types of data and gives a preliminary performance assessment of either set or their combin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geoid in South Korea. It is shown that the most critical aspect of the combination is the gravitational effect of the topographic masses above the geoid, which, if not properly taken into account, introduces a significant bias of about 8 mgal in the gravity anomalies, and which can lead to geoid height bias errors of up to 10 cm. It is further confirmed and concluded that achieving better than 5 cm precision in geoid heights from gravimetry remains a challenge that can be surmounted only with the proper combination of terrestrial and airborne data, thus realizing higher data resolution over most of South Korea than currently available solely from the airborne data.

필리핀 지오이드모델의 개발방안 연구 (A Study on Geoid Model Development Method in Philipphines)

  • 이석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9-710
    • /
    • 2009
  • 한 국가에서 지오이드모델은 그 나라의 일관된 표고기준면을 제공함으로써 정확한 정표고를 결정할 수 있게 하며, 국가기준점의 평면위치 결정시 지오이드고를 고려한 측지망 조정계산을 실시함으로써 좌표결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와 비슷한 조건의 동남아시아 국가인 필리핀이 자국의 지오이드모델을 어떻게 개발하는 것이 최선인지 그 방법론을 연구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지오이드 결정이론을 살펴보고, 아시아 국가들에서의 지오이드 개발사례를 통하여 필리핀 일원에 가장 적합한 지오이드 모델 개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필리핀 일원에서 최신의 지구중력장 모델인 EGM2008을 해석하여 지오이드고와 중력이상을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항공중력방법에 기반한 중력 지오이드모델을 개발하고, 200점 내외의 GPS/leveling데이터에 의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를 합성하여 하이브리드 지오이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스토크스적분의 수행은 4밴드 구면 FFT방법이, 중력지오이드모델 개발에는 EGM2008과 SRTM에 의한 remove and restore 기법이, 하이브리드 지오이드모델의 개발에는 Least square collocation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벳셀타원체 기준의 남한지역 지오이드 모델(KGM95) (Geoid Models Referred to the Bessel Ellipsoid of South Korea)

  • 이영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5-133
    • /
    • 1995
  • 지오이드고는 천문측지자료, 중력자료, 위성자료 등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연직선편차와 지오이드고 제약조건을 사용하여 곡면다항식법에 따라 동경원점계인 벳셀지오이드 모델(KGM95-A)을 산정하고 지심계인 중력지오이드 모델 KGM 93-C로 부터 동경원점 변환요소에 의해 변환된 벳셀지오이드(KGM95-D)와 비교하였으며 우리나라 측지망에서의 적용에 대한 토의가 제시되었다.

  • PDF

Evaluation of Ultra-high and High Degree Geopotential Models for Improving the KGEOID98

  • Yun, Hong-Sic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2권1호
    • /
    • pp.7-15
    • /
    • 2002
  • Recent development of ultra-high and high degree Earth geopotential model opens new avenues to determine the Earth gravity field through spectral techniques to a very high accuracy and resolution. However, due to data availability, quality, and type, the performance of these new EGMs needs to be validated in regional or local scale geoid modeling. For establishing the best reference surface of geoid determination, recent geopotential models are evaluated using GPS/Leveling-derived geometric geoid and the Korean gravimetrical GEOID (KGEOID98) developed by National Geography Institute in 1998. Graphical and statistical comparisons are made for EGM96, GFZ97, PGM2000A and GPM98A model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difference between geometric height and geoid undulation calculated from GFZ97 are $1.9\pm{46.7}\;cm$. It is shown that the GFZ97 and the GPM98A models are better than the others in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the GFZ97 has a smaller bias. It means that the KGEOID98 needs some improvement using the GFZ97 instead of EGM96.

  • PDF

Precise Geoid Model for Korea from Gravity and GPS Data

  • 최광선;;신영홍
    • 지구물리
    • /
    • 제9권3호
    • /
    • pp.181-188
    • /
    • 2006
  • The data, methodology, and the resulting accurate gravimetric geoid model for the Korean Peninsula (latitude from 32˚ N to 40˚ N and longitude from 124˚ E to 131˚ E) are presented in this study. The types of used data were a high degree geopotential model (the EGM96 spherical harmonic coefficient set), a set of 12,615 land gravity observations, 1,056,075 shipborne gravity observations, and KMS2002 gravity anomalies from satellite altimetry. The remove-restore technique was successfully applied to combining the above mentioned data sets using up to degree and order 112 of the EGM96 coefficient. The residual geoid was calculated with residual Free-Air anomaly values using the spherical Stokes' formula with a 37-km integration cap radius. The geoid model was referred to WGS84 geodetic system and was tested using a set of GPS/levelling geoid undulations. The absolute accuracy is 0.132 m and some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NU95 geoid model was found.

  • PDF

한국의 잔여지오이드고 모델링을 위한 FFT 및 LSC 방법 비교 (Comparison between FFT and LSC Method for the Residual Geoid Height Modeling in Korea)

  • 이동하;윤홍식;서용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D호
    • /
    • pp.323-3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중력지오이드 모델 결정방법인 Remove-Restore(R-R) 기법 적용 시 FFT 방법 및 LSC 방법에 의한 잔여지오이드고 모델링을 각각 적용하고, 이에 대한 정확도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지오이드 결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육상 및 해상에서 측정된 총 6,296점의 중력관측자료에 대하여 Stokes 공식을 적용한 다중밴드 구면 FFT 방법 및 통계적 결정방법인 LSC 방법을 각각 적용하였으며, 503점의 GPS/Levelling 자료에서 획득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를 이용하여 모델링시 계산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결정되어야 하는 다양한 계산요소 및 적합한 계산과정을 결정하였다. 그 후 각 방법에 의하여 계산된 잔여지오이드고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의 지오이드 결정을 위하여 적합한 잔여지오이드고 모델링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LSC 방법의 경우 중력관측자료의 오차, 분포밀도의 부족 및 공분산 해석시 지역별 특성의 영향으로 정확한 잔여지오이드고의 모델링이 적용되지 못하였으며, 다중밴드 구면 FFT 방법의 경우 Stokes 적분을 위한 적절한 적분반경 및 수정 kernel의 적용을 통해 LSC 방법보다 약 10cm 이상의 정확도가 향상된 잔여지오이드고가 계산되었다.

제주도 지역의 정밀지오이드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cise Geoid Model in Jeju Island)

  • 이동하;위광재;황학;윤홍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61
    • /
    • 2008
  • 제주도 지역의 정밀지오이드 모델의 개발은 이원화된 수직기준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륙과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전지구적 중력장모델을 분석하여 제주도 일원에서의 최적의 중력장모델로 EGM96 모델을 선정하고, 이를 GRS80 타원체에 최대차수 360으로 해석한 기준면을 사용하여 지형효과 및 잔여중력효과를 고려한 중력지오이드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 후 총 17개의 GPS/Levelling 자료에서 구한 지오이드고와 중력지오이드고의 차이를 LSC방법에 의하여 보정하여 최종적인 제주 지역(위도 $33^{\circ}{\sim}33.8^{\circ}N$ 및 경도 $125.8^{\circ}{\sim}127.2^{\circ}E$)의 정밀지오이드 모델(Jeju_GEOID07)을 격자간격 $0.75'{\times}1'$(약 $1.4km{\times}1.5km$)로 개발하였으며, 모델의 정확도는 약 $-1cm{\pm}3cm$로 계산되었다. 향후 한반도 전체의 통일된 정밀지오이드 모델의 개발을 위해서는 내륙 및 제주도 지역의 지오이드 모델을 분리하여 개발한 후 합성하거나, 장기간의 정밀한 조석관측자료 및 GPS 정밀측정을 이용한 수직기준의 통합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정밀지오이드 구축을 위한 지형자료 및 중력자료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DEM and Gravity Effect for Precision Geoid Determination in Korea)

  • 이보미;이지선;권재현;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19-527
    • /
    • 2008
  • 정밀한 지오이드 구축의 기본적인 요건은 필요한 정확도와 분포를 가진 지형 및 중력자료의 확보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오이드 구축에 가용한 지형모델과 중력자료를 이용하여 지형 및 중력자료의 분포와 정확도가 지오이드의 정확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형자료의 경우 정확도 보다 자료의 간격이 지오이드의 정밀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위성레이다를 통하여 구축된 SRTM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TM (Digital Terrain Model)을 지오이드 구축에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반면 중력자료의 경우 자료의 분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지형으로 인한 알리아싱 (Aliasing) 효과에 의해 큰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어 중력자료의 밀도가 낮은 북동부 산악 지역에 우선적으로 지상중력측정을 실시하여 자료를 보완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판단되었다.